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과 유럽연합(EU)이 24일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당초 이틀간 예정됐던 일정은 하루로 축소됐으며, 양측이 공동성명을 채택할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2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안토니우 코스타(António Costa)와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Ursula von der Leyen)을 만나며, 리창(李强, Li Qiang) 총리는 이들과 함께 제25차 중-EU 정상회담을 공동 주재할 예정이다.
EU는 이번 회담에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정책과 전기차 산업에 대한 우려를 집중 제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중국은 유럽산 브랜디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포함해, EU의 대중국 고율 관세에 대한 명확한 입장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EU 측이 “희토류를 무기화하고 있다”는 주장을 반복해온 데 대해, 중국은 해당 자원이 국가 전략자산임을 분명히 해왔다.
양측의 입장 차는 통상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외교적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앞서 이달 초 왕이(王毅, Wang Yi)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은 카야 칼라스(Kaja Kallas) EU 외교안보 고위대표와의 회동에서, “러시아가 패배할 경우 미국의 전략적 초점이 중국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보도됐다. 이에 대해 칼라스 대표는 NHK와의 인터뷰에서 “놀라웠다”고 밝혀 사실상 발언을 확인했다.
EU는 지난 18일 채택한 제18차 대러시아 제재안에서 중국의 금융기관 2곳과 기업 5곳을 포함시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특히 두 개의 중국 은행이 이번에 처음으로 제재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이에 대해 중국 상무부는 공식 입장을 통해 “날조된 혐의”라고 반박하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상무부는 “EU의 일방적 조치는 중-EU 경제·금융 협력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통해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올해는 중국과 EU 수교 50주년이지만, 축하 분위기보다는 전략적 충돌이 더 두드러지는 형국이다. 회담 이후 발표될 가능성이 있는 공동성명 역시 기후 분야 등 일부 이슈에 국한될 것으로 외신은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