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한국 내부 문제... 정국 안정 유지 기대"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 대변인 린젠은 7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국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결정한 것에 대해 중국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린 대변인은 "중국은 이번 판결과 관련 결정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내부 문제"라며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이어 "한국이 국내 정치 일정을 질서 있게 추진하며 정국과 사회 안정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린 대변인은 "한국과 중국은 가까운 이웃이자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중국의 대(對)한국 정책은 연속성, 안정성, 확실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며 "한중 수교 이래 이어져 온 협력 정신을 굳건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린젠 대변인은 또한 미국이 전 세계 180여 개국을 대상으로 무차별 관세 인상 조치를 발표한 것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미국이 '상호주의'를 내세워 경제 패권주의를 자행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일방주의, 보호주의, 경제 괴롭힘 행위"라고 비난했다.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 스테판 두자릭은 "무역 전쟁이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취약하고 대응 능력이 부족한 국가들이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세계무역기구(WTO) 총장 응고지 오콘조이웰라는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인해 올해 세계 상품 무역량이 약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세계 경제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린 대변인은 "미국의 관세 인상은 개발도상국의 발전권을 박탈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WTO 데이터에 따르면 경제력 격차가 큰 상황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은 국가 간 빈부 격차를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차별적 세율 적용은 WTO 비차별 원칙을 위반하며, 이는 국제 경제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의 관세 인상이 국제 경제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하며, 개발도상국의 발전권을 박탈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개방과 협력의 역사를 거스르는 행위로 규정하며, 국제 사회가 이를 함께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린젠 대변인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중국 측이 독립적으로 채취한 샘플을 분석한 결과 방사성 물질 수치에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2월 일본 후쿠시마 인근 해역에서 독립적으로 채취한 해수와 해양 생물 샘플에서 트리튬, 세슘-134, 세슘-137, 스트론튬-90 등의 방사성 물질 농도에 이상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단일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고 해서 향후 검사에서도 문제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중국은 일본이 오염수 방류를 장기적으로 국제 감시 하에 두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필리핀 정부가 주장한 중국 간첩 사건과 관련해 린 대변인은 "필리핀 당국이 근거 없이 중국을 비난하고 있다"며 "사실 관계를 명확히 확인하지 않은 채 중국인을 스파이로 몰아가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린 대변인은 "중국은 필리핀 내 중국인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며 "필리핀 정부가 무분별한 정치적 공세를 멈추고 사실에 입각해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미국 소비자뉴스와 비즈니스 채널의 질문에 대해서는 "중국은 미국과의 대화를 배제하지 않으나, 압박과 위협은 대화의 올바른 방식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인상 정책에 대해서도 "미국의 경제 패권주의가 세계 경제 질서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린 대변인은 "중국은 공정하고 비차별적인 무역 환경을 원하며, 모든 국가가 다자주의를 준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