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03(목)
  • 전체메뉴보기

일대일로
Home >  일대일로  >  일대일로란?

실시간뉴스

실시간 일대일로란? 기사

  • [일대일로]시진핑의 청사진, 세계 경제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을까?
    [더지엠뉴스] 일대일로(一带一路, Yidaiyilu)는 중국이 제안한 대규모 글로벌 인프라 프로젝트로, 2013년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주석이 처음 제안했다. 육상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해상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경제 협력 구상이다.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를 통해 세계 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찾고,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자립을 돕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일대일로는 단순히 인프라 건설을 넘어서 정책 소통, 무역 촉진, 자금 융통, 민심 상통을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인 경제 프로젝트다. 2023년 기준,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이미 전 세계 140여 개 국가와 다자간 협력을 이루어냈다. 참여 국가들은 중국의 인프라 투자를 통해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무역과 물류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중파 경제 회랑(CPEC, China-Pakistan Economic Corridor)은 중국과 파키스탄을 연결하는 핵심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도로, 철도, 항만 등 다양한 인프라 건설을 통해 파키스탄의 경제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 남부 항구인 과다르(Gwadar)는 중국-파키스탄 경제 협력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 물류 허브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프로젝트로는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반둥 고속철도(Jakarta-Bandung High-Speed Railway)가 있다. 이 고속철도는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와 경제 중심지 반둥을 연결하며, 중국의 고속철도 기술력을 전 세계에 입증한 사례로 꼽힌다. 142km에 달하는 이 철도는 이동 시간을 기존 3시간에서 40분으로 단축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리스 피레우스(Piraeus) 항만은 중국의 대규모 투자로 유럽 최대 물류 허브로 탈바꿈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그리스는 경제 회복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중요한 물류 거점이 되었다. 아프리카 대륙 역시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혜택을 받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Addis Ababa-Djibouti Railway)는 중국이 투자하여 완공한 아프리카 최초의 국제 표준 철도로, 내륙 국가 에티오피아를 해상 무역로와 연결하며 경제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철도는 물류비 절감과 수출입 활성화에 기여하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견인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도상국이 경제 자립을 이루고,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에 자연스럽게 편입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특히, 중국은 공정하고 투명한 경제 협력을 강조하며, 상대국의 경제적 자립을 존중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서방의 '부채 함정 외교'라는 비판과 확연히 구별된다. 일대일로의 확장은 인프라뿐만 아니라 디지털 실크로드와 녹색 실크로드로도 이어지고 있다. 디지털 실크로드는 중국의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여 디지털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녹색 실크로드는 친환경 에너지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중심으로,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연대를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그동안 국제 사회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많은 개발도상국은 중국의 인프라 투자가 자국 경제 발전에 실질적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일부 서방 국가들은 중국이 경제력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상호 이익과 평등한 협력의 중요성을 지속 강조하며, 프로젝트의 투명성 확보와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 더지엠뉴스는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성과와 도전 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할 예정이다. 파키스탄의 CPEC,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반둥 고속철도, 그리스 피레우스 항만 프로젝트, 에티오피아-지부티 철도 등 국가별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일대일로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할 계획이다.
    • 일대일로
    • 일대일로란?
    2025-04-01
  • [일대일로]중국이 그리는 세계 연결 전략의 핵심
    [더지엠뉴스] 중국이 2013년부터 추진해온 ‘일대일로(一带一路, Yidaiyilu)’는 단순한 인프라 수출이 아니다. 이는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주석이 국제무대에서 내세운 가장 상징적이고 장기적인 외교·경제 전략이다. ‘일대’는 실크로드 경제벨트, ‘일로’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를 의미한다. 중국은 이 구상을 통해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까지 연결하고자 하며, 현재까지 150여 개 국가와 협력 MOU를 체결했고, 누적 투자 규모는 1조 달러를 넘어서고 있다. 일대일로의 핵심 가치는 “공동 논의, 공동 건설, 공동 이익”이다. 이는 서방이 주도하는 기존의 일방적 개발 모델과 달리, 참여국 중심의 협력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한다. 중국 외교부는 이를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의 실천적 경로”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대일로는 국제적 논쟁의 대상이기도 하다. 일부 서방 언론은 이를 “채무 함정 외교” 또는 “중국식 신제국주의”라고 비판한다. 이에 대해 중국은 반복해서 “일대일로는 상호 존중과 자주적 선택을 기반으로 한다”고 반박한다. 더지엠뉴스는 이 기획을 통해 일대일로가 단지 중국의 야망이 아니라, 세계 각국이 어떤 방식으로 이에 참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한국이 어디에서 접점을 가질 수 있는지를 정보 중심, 분석 중심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앞으로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PEC)’ 사례, ‘아프리카의 철도 프로젝트’, ‘중국이 바라보는 RCEP과 일대일로의 연결’ 등을 차례로 소개할 예정이다. 기획의 마무리는 중국이 세상과 연결되려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열어가는 것이다.
    • 일대일로
    • 일대일로란?
    2025-03-3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