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신에너지차 시장이 내연기관차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전체 승용차 판매 중 44.3%가 전기차로 집계됐다. 5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6월 한 달간 NEV의 국내 소매 비중은 53.3%까지 올라섰다. 자국 브랜드 기준으로는 75.4%에 달했고, 고급차 부문에서도 30.3%가 전기차였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의 쭈이둥수(崔东树, Cui Dongshu) 비서장은 “이제 전기차는 정책의 수혜를 넘어서 스스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BYD는 7월 34만4,300대를 판매하며 누적 판매 250만 대에 근접했다. 같은 달 해외 수출은 8만200대로 전년 대비 159.5% 증가했고, 이는 글로벌 확장의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상하이자동차(上汽, SAIC)는 7월 33만8,000대를 출하했고, 그 중 11만7,000대가 NEV로 64.9% 증가했다. 지리(吉利, Geely)는 23만7,700대를 기록하며 58% 상승했고, 전기차는 13만100대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샤오펑(小鹏, XPeng)은 3만6,700대 출고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연간 누적은 23만3,900대다. 샤오미는 첫 SUV ‘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7월 한 달간 1000%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던 상웨이신차이(上纬新材, Shangwei Xincai)가 5일 장 시작과 함께 거래를 재개했다. 4일 밤 회사는 실적 하락 예고와 함께 급등 경계 메시지를 공시했다. 5일 상하이증권보에 따르면, 상웨이신차이는 2025년 상반기 매출이 7억8,400만위안(약 1,46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5%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2,990만위안(약 55억8,000만원)으로 32.91% 감소했다. 비정상 요인을 제외한 순이익도 2,604만위안으로, 같은 기간 37.02% 줄었다. 이 회사는 풍력발전용 복합소재, 환경 고내식 소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해외 운송비와 수수료 상승, 환차손, 재활용 신제품 연구개발 비용 증가 등을 제시했다. 상웨이신차이는 7월 31일부터 주식 거래를 중단한 상태였다. 앞서 7월 9일부터 30일까지 주가는 누적 1083.42% 상승해, 올해 A주 시장에서 처음으로 10배 넘게 오른 종목이 됐다. 회사는 공시에서 “현재까지 기업의 기초 재무 구조나 사업 내용에 중대한 변화는 없었다”면서도, “최근 주가가 현 경영 실적과 동떨어진 흐름을 보이고 있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뉴욕증시 정규장을 4.14% 상승으로 마친 팔란티어는 이어진 시간외거래에서 4.52% 추가 상승하며 167.92달러(약 22만2,000원)를 기록했다. 사상 최고가다. 5일 증시에 따르면, 팔란티어는 장 마감 직후 실적 발표에서 2분기 매출이 10억달러(약 1조3,200억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9억4,000만달러를 웃도는 수치로, 창사 이래 분기 기준 첫 10억달러 돌파다. 같은 보고서에서 주당순이익은 16센트로 집계돼, 월가 추정치 14센트를 상회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4% 급증한 수치다. 전체 매출 역시 1년 전보다 4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연간 매출 전망치를 기존 39억달러에서 41억달러(약 5조4,200억원)로 상향 조정했다. 실적과 함께 공개된 100억달러(약 13조2,000억원) 규모의 미 육군 계약도 주가 상승의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계약은 미 국방부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 공급 사례 중 하나”라며 “미국 정부 전반의 인공지능(AI) 전환 흐름에서 팔란티어가 핵심 위치에 있다”고 분석했다. 장외 거래 급등에 힘입어 팔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4일 방송된 SBS ‘동상이몽2-너는 내 운명’에 정은혜와 남편 조영남 부부가 출연했다. 카메라 앞에서 전한 두 사람의 일상은 어느 드라마보다 진솔하고 따뜻했다. 정은혜는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서 한지민의 쌍둥이 언니로 알려진 인물이다. 당시 그의 등장은 다운증후군 캐리커처 작가로서의 존재감을 대중에게 깊이 각인시켰다. 이번 방송에서는 결혼 후 처음으로 공개된 부부의 신혼집과 함께 일상의 소소한 장면들이 전해졌다. 정은혜는 주저 없이 “오빠, 이리 와”라며 남편을 향해 애정을 표현했고, 그 말끝엔 수줍은 미소와 진심이 함께 담겨 있었다. 하지만 달콤함만 있진 않았다. 정은혜는 “남편이 너무 말이 없어요”라며 서운한 마음도 드러냈고, 조영남은 “어릴 적부터 시설에서 자라 가족의 따뜻함을 잘 몰라요”라고 조심스레 고백했다. 짧은 대화였지만 그 속에는 서로를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이 짙게 배어 있었다. 정은혜의 결혼식은 제주도에서 영화처럼 치러졌다. ‘우리들의 블루스’를 함께 만든 노희경 작가와 배우 김우빈, 이정은, 한지민 등이 참석해 진심으로 축복을 보냈다. 한지민은 축사를 전하다 끝내 눈시울을 붉혔다. 방송은 발달장애를 가진 이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 수립과정에서 온라인을 통한 국민 참여 결과를 충분히 분석하고 반영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해당 절차가 ‘전 과정 인민민주’의 구체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자격으로 관련 지시를 내렸다. 그는 “각급 당 조직과 정부가 민생 현장을 더 가까이 들여다보고, 국민의 요구와 기대를 면밀히 수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번 지시는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진행된 온라인 대국민 의견 수렴 캠페인을 마친 뒤 내려진 것이다. 해당 캠페인에서는 총 311만 건이 넘는 제안과 의견이 접수됐으며, 시 주석은 이를 “광범위한 참여와 활발한 반응”으로 평가하며, 유의미한 의견이 다수 제시됐다고 언급했다. 시 주석은 이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에 관련된 부처들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적극적으로 흡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5개년 계획은 1950년대부터 시작된 중장기 국가 발전 전략으로, 각 시기별 정책 방향과 중점 과제를 제시하는 핵심 문서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의 우주 탐사 기관이 달 탐사선 창어(嫦娥) 시리즈가 지구로 가져온 샘플을 활용할 새로운 연구 과제를 승인했다. 승인받은 기관들은 지질학, 자화 특성, 화산활동 등 다양한 분야의 분석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4일 중국 국가항천국 산하 달탐사 및 우주공학센터에 따르면, 창어5호와 창어6호가 수집한 달 샘플 가운데 총 3만881.8밀리그램이 32개 연구팀에 대여된다. 선정된 연구팀은 전국 25개 대학 및 과학연구기관에 소속돼 있다. 홍콩과학기술대학교, 청두이공대학교, 둥화대학교, 하얼빈공업대학교, 홍콩대학교, 홍콩폴리텍대학교 등이 이번 승인 명단에 포함됐다. 중국과학원과 중국지질과학원 산하 연구기관들도 일부 참여한다. 창어5호는 1,731g의 달 샘플을, 창어6호는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서 1,935.3g을 채취해 귀환한 바 있다. 중국은 2021년 7월 처음으로 달 샘플을 외부 연구기관에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이번이 아홉 번째 대여다. 지난달에는 창어6호 샘플 분석을 통해 화산활동 흔적, 고대 자기장, 수분 함량, 달 맨틀의 지화학적 구성 등 다수의 과학적 발견이 공개됐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상반기 서비스 무역이 전년보다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총규모 3조 8천억 위안을 넘어섰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수출 확대와 해외여행 수요 급증이 전체 흐름을 밀어올렸다. 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6월 중국의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3조 8,872억 6천만 위안(약 7,670조 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수치다. 수출은 1조 6,883억 위안(약 3,333조 원)으로 15.0% 증가했고, 수입은 2조 1,989억 6천만 위안(약 4,337조 원)으로 3.2% 상승했다. 전체 무역수지는 5,106억 6천만 위안(약 1,007조 원) 적자였지만, 전년보다 1,522억 1천만 위안(약 300조 원) 감소했다. 지식집약 서비스 분야는 안정적인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이 부문의 수출입 총액은 1조 5,025억 4천만 위안(약 2,964조 원)으로 6.0% 늘었으며, 세부적으로 기타 상업 서비스는 6,391억 위안(약 1,259조 원), 통신·컴퓨터·정보 서비스는 5,293억 8천만 위안(약 1,044조 원)을 기록했다. 두 항목의 증가율은 각각 3.1%, 12.7%였다. 수출은 8,65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 장면을 담은 드문 영상을 공개하며 육·해·공 전력의 통합 작전 수행 능력을 선보였다. 4일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 따르면, 훈련은 날짜가 명시되지 않은 장소에서 진행됐으며, 075형 강습상륙함 비행갑판에 탑승한 병력이 Z-8C 헬리콥터를 타고 이륙하는 장면으로 시작됐다. CCTV 보도에 따르면 훈련 첫날 밤, 육군 여단 소속 05형 상륙전투장갑차가 해군 상륙함에 탑승했고, 항해 둘째 날에는 상륙함이 미확인 공중 표적을 포착했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 구축함이, 육상에서는 항공부대가 대응해 합동작전으로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훈련이 이어졌다. 셴위(Shen Yu) 소령은 이번 훈련이 해상 지휘 체계에 실제로 참여한 첫 사례였으며, 육·해·공 병력이 실전처럼 통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상륙 편대에서 돌연 이탈한 아군 함정들을 보며 혼란을 느꼈으나, 이후 항공모함 전단의 존재를 확인하고 강력한 지원 체계를 실감했다고 말했다. 최종 상륙 단계에서는 전투기, 군함, 육지에서 발사된 미사일과 로켓이 포문을 열었다. 공격이 성과를 거두자 05형 장갑차는 071형, 072형 상륙함에서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베이징이 ‘로봇 소비자 도시’란 새로운 실험에 나섰다. 소비와 산업, 기술이 맞물린 이 대형 프로젝트는 AI 시대 중국식 내수 진작 모델로 주목된다. 4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北京经济技术开发区, Beijing Jingji Jishu Kaifaqu)는 전날 ‘이트롱 로봇 소비자 축제’ 개막을 선언하고 세계 첫 로봇 소비자 전시 중심지를 공개했다. 행사는 오는 17일까지 진행되며, 베이징 로봇월드와 이좡 산업단지, 인근 상업지구 등 총 6곳이 연계된다. 개막식은 BDA 내 로봇월드에서 열렸다. 이번 축제는 8일부터 12일까지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2025 세계로봇대회의 일환으로, 중국전자학회(CIE)가 주요 주최 기관이다. BDA는 개인 소비자에게 최대 1,500위안(약 27만 원), 기업 구매자에게는 최대 25만 위안(약 4,500만 원)의 구매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CIE에 따르면 행사 중심 콘셉트는 네 가지 소비 시나리오와 네 개의 서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탐험하며 구매'하는 체험-소비 일체형 구조를 지향한다. 참여 기업 41곳은 오프라인 현장에서 100여 종의 로봇을 전시·판매하고, JD닷
중국 해군이 서태평양 해역에 항공모함 전대를 투입해 실전형 장거리 훈련을 실시하며, 전투기가 작전 중 처음으로 무인기 검증 임무에 나선 사실이 공개됐다. 4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중국 해군은 6월 랴오닝(辽宁, Liaoning)함과 산둥(山东, Shandong)함을 중심으로 구성된 항모 전대를 서태평양으로 진출시켜 장시간 고강도 항해 훈련을 진행했다. 이 작전 중 해군은 고고도 드론의 실시간 탐지 및 요격 태세를 점검하기 위해 전투기를 출격시켰으며, 이는 자국 항모 전단이 수행한 첫 실전 대응 훈련으로 전해졌다. 중국 해군 항공부대 소속 덩웨이(Deng Wei) 조종사는 “사령부의 지시에 따라 전투기 4대를 신속히 출격시켰고, 레이더 기반의 전면적 탐색과 요격을 동시에 수행했다”며 “드론은 항상 우리 미사일의 타격 범위 내에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과거 민감한 해역에서는 감시 위주였으나, 이번에는 실제 작전을 통해 무인기 위협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작전에 참가한 장병들은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는 태세가 완비됐는지 스스로 자문하며 훈련에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지휘관 정융춘(Zheng Yongchun)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