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유럽연합대표부가 유럽연합(EU) 외교기구인 대외관계청(EEAS)의 마카오 국가안보법 집행 관련 비판에 대해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했다. 3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에 따르면, 전날 EEAS는 EU 국적을 가진 마카오 전 입법위원 아우깜산(Au Kam San) 체포에 대해 공식 논평을 내고 우려를 표명했다. 해당 체포는 2023년 마카오 특별행정구에서 국가안보법이 시행된 이후 첫 사례다. 중국 측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주EU 중국대표부 대변인은 “법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법을 어긴 자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외부 적대 세력과의 결탁이나 국가안전을 해치는 행위에 대한 마카오 정부의 법적 처벌은 정당하고 국제법 및 국제 관행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마카오 문제는 전적으로 중국 내정이며 외부 세력이 간섭할 여지가 없다”며 “EU는 국제법과 국제 관계의 기본 원칙을 지키고 중국의 주권과 마카오 법치에 대한 존중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EU는 마카오 사안과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같은 날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도 성명을 통해 EEAS의 논평에 강한 유감을 표하고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일환으로 사실상 ‘현금 수당 패키지’를 꺼내들었다. 2022년 이후 태어난 아동을 둔 가정이라면 누구나, 8월 말부터 연간 3600위안(약 68만 원)의 육아지원금을 3년간 받을 수 있다. 중앙정부가 총 900억 위안(약 17조 원)을 들여 전 국민 육아 지원에 나선 셈이다. 2일 21세기경제보도에 따르면 이번 현금성 지원은 단일 출산 혜택에 그치지 않는다. 임신부터 출산, 양육까지 전 과정에서 총 7종류의 금전적 지원이 병렬적으로 제공된다. 산전검진비, 산후 수당, 남편의 출산휴가 수당, 신생아 양육에 대한 세액공제, 지역별 출산장려금까지 포함된다. 일괄 신청할 경우 많게는 10만 위안(약 1900만 원) 이상 수령도 가능하다는 게 정책 분석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각 지방정부의 ‘보태기’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네이멍구(内蒙古, Nei Menggu) 자치구의 중심 도시 후허하오터(呼和浩特, Hohhot)는 자녀 수에 따라 보조금을 3단계로 구분해 1자녀는 1만 위안, 2자녀는 5만 위안, 3자녀는 무려 10만 위안을 현금으로 지급한다. 저장(浙江, Zhejiang), 광둥(广东, Guangdong) 등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곧 발표된다. 이와 맞물려 채권 이자 과세제도와 홍콩 증시 거래 단위 조정도 예고되면서, 다음 주 금융시장에는 복합적인 변수가 동시에 작동할 전망이다. 3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오는 9일 7월 CPI 및 PPI 통계를 발표한다. 카이위안증권은 농산물 도매가격과 CRB 현물지수 등 고빈도 지표 흐름을 분석한 결과, 7월 CPI는 전월 대비 보합, 전년 동기 대비로는 약 -0.5%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PPI는 전월과 전년 대비 모두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세금 체계에도 변화가 생긴다.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은 8일부터 새로 발행되는 국채, 지방채, 금융채 이자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면세 혜택을 누려왔던 국공채 이자 수익에도 과세가 적용되며, 시장에서는 채권 투자 수익률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홍콩증권거래소는 같은 주 월요일인 5일부터 거래제도 개편 1단계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주가 1050홍콩달러 구간은 0.05달러에서 0.02달러로 줄어든다. 적용 대상은 일반 주식뿐 아니라 리츠와 워런트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과 한국 외교당국이 외교부 대변인 간 정례 협의를 갖고, 공공외교를 포함한 양국 간 소통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지난달 31일 서울을 방문해 한국 외교부의 이재웅 대변인과 제9차 중한 외교부 대변인 협의를 진행했다. 양측은 회의에서 양국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뉴스 및 공공외교 분야에서 상호 협력과 교류를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중한 간 전략적 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대외 인식 개선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 확대 등 실질적 접근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마오 대변인은 같은 날 한국 외교부 내 동북아·중앙아시아국의 강영신 국장, 공공문화외교국의 서빈 국장과도 별도 면담을 진행했다. 실무 차원의 협조 확대, 문화외교 플랫폼 구축 방안, 지역 협력 전략 등이 주된 논의 대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는 최근 양국 간 갈등 국면에서 대화 채널 복원 움직임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양국 외교채널의 기능이 정상화되고 있으며, 중한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예술대학에 인간형 로봇이 박사과정으로 입학했다. 실리콘 피부에 잘생긴 남성을 본떠 제작된 이 로봇은 예술과 기술을 결합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상하이이공대와 드로이드업 로보틱스가 공동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쉐바(學霸) 01’이 상하이희극학원 연극영화 전공 박사과정에 정식 입학했다. 쉐바 01의 입학은 상하이희극학원과 상하이이공대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로봇 박사 양성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예술과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을 본격 연구하겠다는 취지로, 쉐바는 “디지털 공연예술 디자인에서의 크로스미디어 융합”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쉐바 01은 키 1.75m, 몸무게 약 30kg이며, 실리콘으로 만든 얼굴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외형은 성인 남성을 모델로 제작됐다. 올해 4월 중국에서 열린 첫 휴머노이드 하프 마라톤에서 3위를 기록한 전력도 있다. 상하이희극학원은 쉐바 01에게 실제 박사과정 학번을 부여했으며, 트랜스미디어 예술가 양칭칭(杨青青)이 지도교수로 임명됐다. 양 교수는 “졸업 후 AI 연출가로 활동하거나 독자적인 예술 스튜디오를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팔레스타인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로 가져갔다는 이유로 미국이 팔레스타인 당국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관계자를 제재한 데 대해 중국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국제사회의 평화 촉진 노력을 외면하고, 정당한 국제 사법 절차마저 제재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공정과 정의에 위배된다”고 밝혔다. 이어 궈 대변인은 “중국은 팔레스타인 국민의 정당한 민족 권리 회복을 지지한다”며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을 포함한 전 영토에 대해 자치정부가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또 “양국 해법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브리핑에서 중국 정부는 세르비아 관리의 코소보 구금 사건, 미국의 대중국 사이버 공격, 신설된 FBI의 뉴질랜드 지부 등 일련의 외교 사안에 대해서도 일관된 입장을 밝혔다. 코소보 당국이 세르비아 정부 코소보 담당 차관을 구금한 것과 관련해선 “모든 당사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며 “일방적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과 네팔이 수교 70주년을 맞아 정상 간 축전을 주고받으며 전통 우호를 재확인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은 라므 찬드라 파우델(Ram Chandra Paudel) 네팔 대통령과 수교 70주년을 기념하는 축전을 교환했다. 시 주석은 메시지에서 “중국과 네팔은 산과 물로 이어진 이웃이며, 오랜 시간 상호 존중과 평등, 호혜 협력을 바탕으로 모범적인 양국 관계를 이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정치적 상호 신뢰가 끊임없이 강화되고 있고, 일대일로(一带一路, yidaiyilu) 협력과 각 분야 교류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며 “양국은 세대를 아우르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미래 번영을 함께 구축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는 네팔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며 “이번 수교 70주년을 계기로 전통 우정을 계승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양국 국민에게 더 큰 혜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파우델 대통령도 화답 메시지에서 “네팔과 중국은 지난 70년간 상호 신뢰, 주권 존중, 평화 공존의 원칙 아래 진정한 우정을 쌓아왔다”며 “중국은 네팔이 가장 신뢰하는 이웃이자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075형 강습상륙함 시리즈의 네 번째 함정을 ‘후베이’(Hubei)로 명명하고, 남중국해에서 편대 훈련에 투입했다. 1일 중국 인민해방군 뉴스미디어센터 공식 계정인 차이나버글(China Bugle)에 따르면, 후베이는 인민해방군 창군 98주년을 기념해 대형 비행 갑판 위에서 장병들의 선서식을 갖고 공식 데뷔했다. 보도에 따르면 후베이의 선체 번호는 34번이며, 다른 075형 함정들과 함께 대형을 이루고 훈련에 돌입했다. 훈련에는 071형 상륙함 4척과 726형 공기부양정도 포함됐다. 중국중앙방송(CCTV)은 후베이와 하이난 함이 편대 구성 하에 훈련에 참여하는 장면을 공개했다. 075형 강습상륙함은 헬리콥터를 중심으로 하는 공중 상륙작전에 특화된 함정으로, 항공모함과 유사한 직선형 비행 갑판을 갖추고 있다. 071형이 해상 상륙작전에 중점을 두는 반면, 075형은 헬리콥터 운용능력을 활용한 공중 침투작전에 보다 적합한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해군 전문 분석가 쑹중핑은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에 “075형과 071형의 결합은 남중국해와 대만 주변 해역에서 인민해방군의 상륙작전 역량을 크게 확장시킨다”고 밝혔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중국은 한국과 함께 양국 정상 간의 중요한 공감대를 지침으로 삼아, 수교의 초심을 굳게 지키고, 선린우호의 방향을 확고히 하며, 호혜상생의 목표를 견지하면서 각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다이빙 대사는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엠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중국인민해방군 건군 98주년 경축 리셉션’에서 기념사를 통해 “중한 관계의 과거를 계승하고 미래를 개척하며, 더 나은 발전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8월 1일은 중국인민해방군(PLA) 창건 기념일로, 올해는 98주년을 맞는다. 중국은 이 시기를 전후해 세계 곳곳에서 건군절 경축 리셉션을 연다. 올해는 중국 관영매체 중국중앙방송(CCTV)이 다큐멘터리와 홍보 영상을 제작해 방영했으며, 푸젠함, 핵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 둥펑(DF)-17 초음속 미사일, 로봇개, 드론 등 최신 군사 장비도 소개됐다. 중국은 2035년까지 군 현대화를 완수한다는 계획이다. 다이빙 대사는 또 “중국과 한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이며,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양국의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