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상하이에서 열린 국제 에어모빌리티 엑스포가 중국의 미래 항공 산업 구상을 현실로 끌어올리고 있다. 이번 행사는 도시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앞두고 열린 첫 대규모 국제 무대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24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상하이에서 개막한 ‘국제 첨단 에어모빌리티 엑스포’에는 전 세계 300여 개 기업이 참여했고, 세계 최초 공개 19건, 중국 최초 공개 25건의 기술이 선보였다. 행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중국의 저공역 경제가 기술·정책·인프라 삼박자에 힘입어 상용화의 임계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전시 중심에는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를 포함한 저고도 비행체, 도시 항공 인프라, 재난 대응, 물류, 여객 운송 등의 실용형 솔루션이 배치됐다. 상하이에 본사를 둔 오토플라이트(AutoFlight)는 5인승 eVTOL 기체 ‘프로스페리티(Prosperity)’의 축소 모델을 전시했다. 해당 기체는 한 명의 조종사를 포함해 총 5명을 수용하며, 최대 비행거리는 200km, 순항 속도는 시속 200km에 달한다. 회사 관계자는 “이 기체는 전기 추진 방식과 하이브리드 날개 구조를 채택해 전통 헬리콥터보다 소음과 탄소 배출을 줄였
저고도 항공산업의 미래를 그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시회가 상하이에서 문을 열었다. 23일 개막한 ‘2025 국제 첨단 항공 모빌리티 엑스포’는 상하이 국가전시컨벤션센터(NECC)에서 나흘간 진행된다. 행사는 저고도 항공 분야 기술과 자본, 정책의 통합을 촉진하고, 글로벌 산업 간 협력의 장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막과 함께 ‘저고도 경제 인프라 시스템 프레임워크’ 보고서가 발표되며, 세계 표준을 선도할 수 있는 중국식 모델이 공개됐다. 올해 전시장 규모는 6만 제곱미터에 이르며, 전 세계 300여 개 기업이 참가했다. 드론, 에어택시,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항공관제 솔루션 등 저고도 항공 전반을 아우르는 30개 이상 포럼과 함께 5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행사장을 찾을 것으로 주최 측은 예상했다. 이번 엑스포의 핵심은 ‘고품질 저고도 경제 발전’이다. 단순한 기술 전시를 넘어 항공산업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규범 제시와 국제 협력 체계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행사 기간 중 중국은 ‘중국식 저고도 인프라 표준화’ 모델을 공식적으로 내놓으며 글로벌 시장의 룰 세터로 도약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들어 저고도 항공 분야를 ‘신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과 한국은 상호 이익과 공동 발전을 위한 고도 협력 파트너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는 양국이 각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7일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지난달 19일 열린 ‘2025 한중 경제산업포럼’에서 최근 양국 정상 간 전화 통화를 계기로 신뢰와 공감대가 공고해졌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과 한국은 함께 성장하는 운명 공동체”라며 “우호와 협력을 심화하는 것은 양국 국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다이빙 대사는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의미를 짚으며, “2단계 협상 추진을 가속화해 실질적 협력의 폭을 넓히자”고 제안했다. 이어 “양국 기업들이 긴밀히 소통하고, AI, 첨단 제조, 바이오 의약, 녹색 저탄소, 저고도 산업, 디지털 경제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함께 발굴하자”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지역 간 협력도 공식화됐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중국 산둥(山东, Shandong)성 칭다오(青岛, Qingdao) 자유무역시험구 편구 관리위원회와 우호협력 양해각서(MOU)를
[더지엠뉴스] 중국은 물류 비용 절감, 디지털 금융 발전, 저고도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며 산업 혁신과 시장 안정화를 추구하고 있다. 경제 지표에서는 대형 산업기업의 이익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중소기업의 생산경영 지수는 확장세를 유지했다. 자동차 반도체 검사 센터 설립, eVTOL 상용화 전망, 스마트폰 출하 증가 등 기술·산업 분야에서도 활발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1. 물류 비용 절감 및 현대 물류 기업 육성 중국 중앙판공실과 국무원은 《사회 물류 비용 효과적 절감 행동 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국제 경쟁력을 갖춘 현대 물류 기업을 육성하고, 통일되고 효율적인 물류 시장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2. 디지털 금융 발전 강화 중국 인민은행과 7개 부처는 《디지털 금융 고품질 발전 행동 계획》을 발표, 금융 기관의 디지털화 전환을 강화하고 데이터 관리 및 융합 응용 역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3. 선전시, 인수합병 고품질 발전 목표 제시 선전시는 《인수합병 고품질 발전 행동 계획(2025-2027)》 초안을 발표하며, 2027년까지 지역 내외 상장기업 총 시가총액 15조 위안 돌파 및 인수합병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4. 저고도 경제
‘저고도’는 일반적으로 지평면으로부터 수직 거리가 1000미터 이하이면서 지역의 특징과 실제 수요에 따라 4000미터까지 확장할 수 있는 공역(空域)을 지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저고도 경제는 저고도를 활용한 각종 비즈니스를 말한다. ‘저고도 경제’는 전통적인 일반 항공 산업뿐만 아니라 무인기를 기반으로 한 저고도 생산 서비스 방식을 통합한 것을 의미한다. 여러 분야의 조화로운 성장을 촉진하는 종합 경제로서, ‘신질생산력(新质生产力1)’ 특성을 갖추고 있다. 중국 저고도 경제 산업 경쟁 상황 분석 GE 항공은 저고도 경제의 주력산업이고 드론은 저고도 경제의 주력산업이다. 일반 항공 분야의 주요 기업으로는 중항궁예(中航工业), 베이다황(北大荒), 중신하이양(中信海洋), 중즈구펀(中直股份)이 있으며, 드론 분야의 주요 기업에는 다장촹신(大疆创新), 항쿵궁예(航空工业), 항톈차이훙(航天彩虹) 등이 있다. 저고도 경제 산업은 대부분 주강삼각주 지역, 구체적으로는 선전, 광저우 지역에 밀집돼 있다. 선전과 광저우는 드론, 전동 수직 이착륙기(eVTOL) 관련 유명 기업들이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그중 선전은 드론 분야에서 DJI를 중심으로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