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京东, Jingdong)이 해외 브랜드 유치를 통한 성장 전략을 본격 가동했다. 25일 징둥은 ‘백억천품 신성장 계획(百亿千品新增长计划)’을 발표하며, 향후 3년 내로 1천 개의 신규 해외 브랜드를 플랫폼에 입점시키고 누적 100억 위안(약 1조9,300억 원) 규모의 매출 증가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징둥은 이번 계획이 자사 역직구 채널을 통한 글로벌 공급망 확장과 소비자 선택지 확대에 목적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징둥은 유럽 전역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종합몰 ‘조이바이(Joybuy)’를 영국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이를 글로벌 브랜드 도입의 교두보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조이바이는 가전, 의류, 생활용품, 뷰티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해외 제품을 중국 소비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플랫폼으로, 유럽 현지 브랜드와 협업 확대를 추진 중이다. 징둥 측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중국 시장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물류, 결제, 마케팅, 고객서비스 등 전방위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단순 수입을 넘어 장기 성장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의 택배 산업이 11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하며, 전 세계 물류 네트워크의 중심축으로 다시 한 번 부상했다. 21일 중국 국무원에 따르면, '14차 5개년 계획' 고품질 달성 관련 브리핑에서 택배 산업이 중국 내 순환경제의 핵심 축으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국가우정국 자오충지우(赵冲久, Zhao Chongjiu) 국장은 "우편 산업은 현대 유통 체계의 중추"라며, 전국 통일 대시장 구축에서 전략적·기초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특히 농촌 물류망 강화를 통해 농특산물의 전국 유통을 촉진하고, 농민 수입과 일자리 창출까지 동시에 달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장도 무료배송" 정책은 농촌 소비 격차를 좁히는 대표 사례로 소개됐다. 자오 국장은 "신장 지역 주민들도 동일한 가격에 더 나은 상품을 누릴 수 있게 됐다"며, "농산물 판매 확대와 고용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말했다. 중서부 지역 택배 산업도 고속 성장하고 있다. 2024년 중서부 지역의 택배 물량은 전년 대비 각각 30%, 34% 증가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청하이(青海, Qinghai), 간쑤(甘肃, Gansu) 등 서부 지역
[더지엠뉴스]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가 그룹 차원의 전략 대전환에 나섰다. 9일 알리바바에 따르면, 최고경영자 우융밍(吴泳铭)은 내부 포럼 게시글을 통해 “이제는 과거의 영광에 안주할 수 없다”며, 창업 당시의 정신으로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술의 대전환기를 맞아 AI가 산업 지형을 급변시키고 있다”며, 기존의 성공 공식은 되레 족쇄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우 CEO는 그룹이 ‘AI 중심 전략’에 따라 핵심 사업에 대해 ‘포화식 전력투입’ 방식을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는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인 시너지와 플랫폼 전체의 전략적 가치를 중심으로 사업 운영의 우선순위를 재설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전략은 이미 수립된 ‘유저 중심, AI 주도’라는 기조에 따른 것으로, 내부에서는 사업 구조와 우선순위 재편이 지난 2년간 지속되어 왔다. 알리바바는 각 사업 부문에 걸쳐 역량을 집중시키며, AI 기술로 인한 혁신을 촉진하는 조직 문화를 구축할 방침이다. 그는 “도구와 조직, 평가 시스템에서까지 완전히 새롭게 개편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이번 변화가 구호에 그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우 CEO는 창업정신 회귀의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