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1(금)
  • 전체메뉴보기
 

화면 캡처 2025-02-07 154541.jpg
사진=KIC중국 제공

 

[더지엠뉴스]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이미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업계는 산업 형성기를 넘어 산업 확장기로 전환되면서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범용인공지능(AGI)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공급망 구조의 개선, 다운스트림 응용 수요의 지속적인 확대에 힘입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첨단 제조 분야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2025년 동 분야는 본격적인 투자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2020년 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미국의 서비스업 직무 공석 수는 비(非)서비스업에 비해 증가량과 증가폭이 더 높았다. 제조업의 직무 공석 수는 팬데믹 이전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고, 전문 및 비즈니스 서비스, 교육 및 보건 서비스, 레저 및 숙박업 등 대면 서비스 산업의 직무 공석 수는 전체 증가율의 60% 가까운 영향을 미쳤다.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의 2019년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가정 건강 및 개인 돌봄 보조원, 정신과 돌봄 종사자는 약 150만 명에 달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수요는 산업화 초기 단계에서 15만 대, 중기 단계에서 44.9만 대, 장기적으로는 89.9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중국 시장 휴머노이드 로봇 응용 시나리오

 

미국 시장

제조업 고용 인원은 2024년 1,207만 명에서 2030년 1,165만 명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 침투율은 2024년 0.1%에서 2030년 15.0%로 급증할 전망이다. 신규 수요량은 2024년 1.2만 대에서 2030년 58.3만 대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가정 건강 및 개인 돌봄 고용 인원은 150만 명으로 유지될 전망이며, 휴머노이드 로봇 침투율은 2024년 0.1%에서 2030년 8.0%로 확대된다. 이에 따른 신규 수요량은 2024년 0.1만 대에서 2030년 4.5만 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시장

제조업 고용 인원은 6,600만 명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 침투율은 2024년 0.0%에서 2030년 5.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규 수요량은 2024년 2.2만 대에서 2030년 110.0만 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사 서비스업 고용 인원은 3,000만 명으로 유지될 전망이며, 휴머노이드 로봇 침투율은 2024년 0.0%에서 2030년 2.7%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신규 수요량은 2024년 1.0만 대에서 2030년 30.0만 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 판매량 및 성장률

휴머노이드 로봇 총 판매량은 2024년 4.6만 대에서 2030년 202.7만 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성장률(YOY)은 2024년 247.0%, 2025년 21.0%, 2026년 271.0%, 2027년 78.0%, 2028년 25.0%, 2029년 28.0%로 변화할 전망이다.

 

 

2030년 미국과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잠재력

 

제조업

미국: 58.3만 대, 중국: 110.0만 대로 예상되며, 평균가는 14.5만 위안으로 총 2,436.2억 위안의 시장 잠재력을 가진다.

 

가사 서비스업

미국: 4.5만 대, 중국: 30.0만 대로 예상되며, 평균가는 21.7만 위안으로 749.2억 위안의 시장 잠재력을 가진다.

 

총 시장

미국과 중국 합산 202.7만 대, 평균가 15.7만 위안으로 총 3,185.4억 위안의 시장 잠재력이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 공급망 및 경쟁 구도

 

시장 규모

행성 롤러 볼스크류, 6축 토크 센서, 프레임리스 토크 모터 등 핵심 부품의 가치량 비중은 10% 이상에 달한다. 이러한 핵심 부품은 비교적 작은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으나, 휴머노이드 로봇의 급성장이 이루어질 경우 대대적인 성장 가능성이 예상된다.

 

경쟁 구도

행성 롤러 볼스크류, 6축 토크 센서, 촉각 센서, 코어리스 모터,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현재 중국 국산화 확대 가능성이 큰 핵심 분야이며, 동시에 기술 장벽이 높은 부품이기도 하다.

 

이러한 발전과 함께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첨단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태그

전체댓글 0

  • 2782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현황[산업 트랜드 26]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