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와 KIC중국 공동
- 미래산업 전면 배치해 기술혁신 가속화

[더지엠뉴스] 중국이 ‘미래산업 혁신발전 추진에 관한 실시 의견’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산업기반 마련에 집중해 국가 미래산업 발전 모델을 초보적으로 형성하고, 2027년에는 핵심 미래 기술을 산업에 보편적으로 응용하며 중점산업을 규모화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론 △100개의 미래산업 인큐베이터와 선도구 건설 △100개의 첨단 핵심기술 돌파 △대표 제품 형성 △선도기업 육성 △응용 시나리오 창출 △핵심 표준 제정 △전문 서비스 기관 육성 △미래산업의 종합적인 역량 향상 △일부 분야 글로벌 리더십 실현 등이 목표다.
중국은 이를 위해 미래산업을 전면적으로 배치하고, 기술 혁신 및 산업화 가속한다. 또 대표적 제품을 개발하고 산업 주체를 육성한다. 응용 시나리오 확대도 산업 발전 추진 방향으로 잡았다.
미래산업의 전면적 배치는 △미래 제조 △미래정보 △미래 소재 △미래에너지 △미래 공간 △미래 건강 등 6가지 전략을 담았다.
기술 혁신 및 산업화 가속화는 국가 중점 과학기술 프로젝트와 중대 과학기술 연구 프로젝트를 미래 중점산업 방향으로 추진한다. 아울러 성과 발표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하고 최초의 주요 기술 장비 등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대표적 제품으론 차세대 스마트 단말기를 개발한다. 산업생산의 품질·효율성 향상을 지원하는 단말기와 우수정보 서비스 제품, 미래 첨단장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주력 10대 제품은 △휴머노이드 로봇 △양자 컴퓨터 △신형 디스플레이(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등)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6G 네트워크 장비 △초대형 신형 지능형 컴퓨터센터 △3세대 인터넷 △고급문화 및 관광 장비 △효율적인 항공 장비(차세대 대형 항공기 등) △심층 자원 탐사 및 개발 장비(지능형 시추장비 등) 등을 선정했다.
우수 기업 육성도 추진한다. 선도기업이 내부 창업 및 인큐베이터 투자를 통해 미래산업의 새로운 주체를 육성한다. 또 중앙 국유 기업 미래산업의 선도적인 계획을 시행해 새로운 기업을 키운다. 미래산업의 혁신형 중소기업 인큐베이팅 기반 역시 구축한다.

응용 시나리오 확대의 경우 장비, 원자재, 소비재 등 핵심 분야에 중점을 두고 설계, 생산, 테스트,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 응용 시험장 등 테스트 기반을 구축한다. 이어 대규모 반복 응용으로 미래산업 기술의 성숙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정보 기술과 제조업의 통합을 심화하고’ 산업 체인의 구조’ 프로세스’ 모델의 재구성을 가속해 미래 제조의 새로운 응용 모델을 개발한다.
유인 우주선’ 심해·심지 중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미래 공간의 성과 창출을 가속해 국가전략 수요를 충족시킨다는 내용도 있다.
산업기반 시스템 최적화 차원에선 메타버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양자정보 등 핵심 분야에 집중하고 핵심기술, 테스트 방법, 핵심 제품, 대표적인 응용 분야, 안전 윤리 등에 대한 표준을 개발한다.
미래산업 지식재산권 운영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수의 미래 기술대학 건설, 대학과 기업의 연계 강화. 해외 인재 도입 경로 확대 등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쓰기로 했다.
5G, 컴퓨팅 인프라, 산업 인터넷, 사물인터넷, 차량 인터넷, 기가비트 광통신망 등 구축 촉진도 함께 추진한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