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자국 제약사 이노벤트가 개발한 체중감량제 ‘마즈두타이드’의 시판을 처음으로 승인하며, 글로벌 비만약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이 제품은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세계적 치료제들과 동일 기전을 채택해 경쟁 구도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28일 중국 국가의약품감독관리국에 따르면, 이노벤트는 자사 비만 치료제 마즈두타이드(mazdutide)에 대해 전날 시판 허가를 획득했다. 이 약물은 2019년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로부터 중화권 판권을 도입한 뒤 공동 개발된 제품으로, 이노벤트는 생산과 국내 임상을 주도해왔다. 중국 매체들은 해당 제품이 글루카곤(GCG)과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이중 수용체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체중을 감소시키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승인된 동일 계열 치료제 중 처음으로 이중 수용체 기전을 적용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노벤트는 임상 3상 결과에서 마즈두타이드가 48주 투약 시 체중의 평균 14%를 감량시키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체중 외에도 허리둘레 감소, 혈압과 혈중 지질 개선, 요산 수치 저하 등의 효과가 동시에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이번 허가로 마즈두타이드는 중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샤오미가 1999위안(약 38만 원)짜리 AI 안경을 공개하며 글로벌 기술기업 간 착용형 전쟁에 불을 붙였다. 올해 들어 AI 안경 시장이 급격히 달아오른 가운데, 샤오미는 자사 생태계와 호환되는 초경량 AI 웨어러블을 선보이며 가격, 무게, 기능을 무기로 시장 재편에 나섰다. 27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샤오미(小米, Xiaomi)는 전날 ‘AI 시대 개인의 두 번째 디바이스’로 불리는 신형 AI 안경을 정식 출시했다. 시작가는 1999위안(약 38만 원)으로, 메타(Meta)의 Ray-Ban 제품군보다 훨씬 저렴하다. 이번 제품은 음성 기반 비서 기능과 1인칭 촬영, 상황 감지 기능까지 탑재했으며, 무게는 40g에 불과하다. 기존 메타의 Orion 콘셉트 안경이 98g인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 수준이다. 기존 AI 안경은 음성 또는 촬영 중심의 기능에 국한됐으나, 샤오미는 향후 AR 디스플레이 결합도 염두에 두고 하드웨어 확장성을 강조하고 있다. 메타, 애플, 삼성도 하반기 유사 제품 출시를 예고한 만큼 시장은 본격적인 격전 단계로 접어들었다. 시장조사기관 Wellsenn XR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 AI 안경 출하량은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외부 기술 의존 없이 완전 독자적으로 개발한 범용 중앙처리장치(CPU) '룽손(龙芯, Loongson) 3C6000'을 공식 발표하며, 자국 반도체 주권 강화에 본격적인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26일 중국중앙(CCTV)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서 중국 과학기술진이 자체 설계한 최신 프로세서인 ‘룽손 3C6000’이 대중에 처음 공개됐다. 이 칩은 중국 독자 명령어 체계인 ‘룽손 아키텍처(龙架构, LoongArch)’를 기반으로 하며, 어떤 외국 기술이나 라이선스에도 의존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날 공개된 3C6000 프로세서는 범용 연산, 인공지능 처리, 데이터 저장, 산업 제어, 워크스테이션 등 다양한 응용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현재 중국 내 ‘안전신뢰성 평가공고’ 시스템의 최고 등급인 2급 인증을 획득한 상태다. 이는 군사·금융·통신 등 핵심 분야에서의 실용성을 보장하는 기준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스마트 단말기와 산업용 제어 환경을 겨냥한 ‘룽손 2K3000’과 ‘3B6000’ 시리즈도 동시에 발표됐다. 이들 역시 모두 룽손 아키텍처를 채택했으며, 인공지능 기반 응용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화웨이 자동차 사업을 이끌었던 왕쥔(王军, Wang Jun) 전 총재가 지리(吉利, Geely)계열의 첨단차량 기술기업 천리과기(千里科技, Qianli Keji)에 합류한다. 22일 중국 증시에 따르면, 천리과기는 전날 공시를 통해 왕쥔을 공동 총재로 선임했다고 발표했다. 왕쥔은 1973년생으로, 전자공업부 산하 연구기관 출신이며, 화웨이(华为, Huawei)에서 3G 개발 부서장, 4G 제품 라인 총괄, 일본·한국지역 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2019년 화웨이가 자동차 사업 부문인 스마트 자동차 솔루션BU(차량BU)를 신설할 때, 초대 총재로 선임된 인물이다. 2020년 화웨이 내 사업조직 재편 과정에서 자동차BU는 소비자 사업그룹(BG)에 편입됐다. 이후 2021년 5월부터는 위청둥(余承东, Yu Chengdong) CEO 체제로 전환됐다. 왕쥔은 COO 겸 스마트 주행 솔루션 총괄로 이동했다. 화웨이 자동차 사업은 이후 부품공급(HI모델), 완성차 설계·판매(지선차) 등 3가지 모델로 분화됐다. 위청둥 CEO가 주도한 지선차는 세리쓰(赛力斯, Seres)와 협업한 웬제(问界) 모델을 성공시키며 상업적 성과를 냈다. 반면 왕쥔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징둥(京东, Jingdong)이 '3년 0수수료' 정책으로 호텔·여행(酒店旅游, Jiudian lüyou) 시장에 전격 진입하며 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22일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정책 발표 이틀 만에 5만여 호텔 사업자가 입점 신청을 마쳤다. 징둥은 '징둥호텔PLUS회원 프로그램(京东酒店PLUS会员计划)'을 통해 기존가 대비 15% 이상 할인, 타 플랫폼 대비 최저가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3년간 수수료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미충족 시 10% 수수료가 부과된다. 호텔업계에서는 신중론이 적지 않다. 한 호텔 경영자는 "3년간 수수료 면제는 매력적이지만, 결국 예약이 실제로 들어와야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기존 OTA(在线旅游平台) 플랫폼들은 12~15% 수수료를 받지만, 검증된 트래픽을 갖추고 있다. 반면 징둥의 플랫폼 효과는 아직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또한 할인 조건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85% 기본 할인 외에도 특가 행사 적용 시 최대 40%까지 가격을 내려야 한다. 지나친 가격 경쟁으로 시장 전반의 서비스 질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한 관계자는 말했다. 징둥의 호텔·여행 시장 진출이 OTA 시장 구도에 어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을 상대로 중국 사업에 대한 추가 규제를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들 기업에 부여한 기존의 수출 통제 면제를 철회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를 인용, 최근 미국 상무부 수출관리국의 제프리 케슬러 국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측에 기존 중국 공장용 장비 면제를 폐지할 의사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이들 기업은 미국 정부로부터 중국 반도체 공장에 첨단 장비를 수출할 때 별도 승인 없이 면제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장비 반입 시마다 개별 승인을 받아야 하며, 중국 내 반도체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케슬러 국장은 “미국의 첨단 기술이 중국으로 이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는 이번 조치가 새로운 무역전쟁이 아닌 ‘기술 안보 관리 차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백악관 관계자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허가제도를 참고해 반도체 장비 허가체계를 구축하려는 것”이라며, “중국 반도체 공장 운영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화웨이(华为, Huawei)가 AI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 초대형 컴퓨팅 파워를 탑재한 신제품을 선보이며 기술 경쟁에 본격 가세했다. 최신 '클라우드메이트릭스384(CloudMatrix384)' 슈퍼노드 아키텍처 기반으로 최대 16만장 카드가 연결되는 대형 클러스터 서비스가 정식 출시에 들어갔다. 20일 열린 ‘화웨이 개발자 컨퍼런스 2025(HDC 2025)’에서 장핑안(张平安, Zhang Ping’an) 화웨이 이사 겸 화웨이 클라우드 컴퓨팅 CEO는 “새로운 AI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규모 모델 학습 및 추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한계를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장핑안 CEO는 “기존 아키텍처로는 폭증하는 AI 연산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다”며, “클라우드메이트릭스384 슈퍼노드는 384개 어센드(Ascend) NPU와 192개 쿤펑(Kunpeng) CPU를 MatrixLink 고속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해 초대형 AI 서버를 구성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슈퍼노드는 단일 카드당 추론 처리량이 초당 2,300 토큰까지 향상됐다. 특히 하이브리드 전문가(MoE, Mixture of Experts) 대형 모델 추론을 위한 ‘1카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6월 대출우대금리(LPR, 贷款市场报价利率)가 전월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최근 금리 인하 기조 이후 추가 완화 조치가 나올지 주목되던 상황에서 이번 동결 결정은 금융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일 중국 인민은행 발표에 따르면, 이날 공시된 6월 LPR은 1년물 3.00%, 5년 이상 장기물 3.50%로 전월과 동일하게 결정됐다. 이는 지난 5월 LPR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10bp(0.1%포인트) 인하된 이후 두 달 연속 유지된 것이다. LPR은 각 은행이 공개시장 조작금리인 7일물 역레포(逆回购, Reverse Repo) 금리를 기준으로 일정 가산금리를 더해 산출된다. 최근 인민은행은 7일물 역레포 금리를 0.1%포인트 인하하며 유동성 공급을 확대했으며, 이에 따라 5월 LPR도 10bp 인하됐다. 작년 한 해 동안 1년물 LPR은 총 35bp, 5년 이상 LPR은 총 60bp 인하됐다. 이는 부동산 시장(房地产市场) 부진과 내수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흐름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부(中国政府)는 경기 부양을 위해 대출금리 조정과 소비 진작 정책(消费促进政策)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이번 LPR 동결은 최근 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상하이가 금융과 기술을 융합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19일 폐막한 2025 루자쭈이(陆家嘴, Lujiazui)포럼에서 AI와 핀테크 산업 중심의 '상하이형 해법'이 논의의 중심에 섰다. 20일 중국 주요 경제매체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금융과 기술의 융합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화를 이끄는 핵심 축으로 부상했다"는 전문가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과학기술기업의 금융 접근성, 대형 기관과 중소기업 간 디지털 격차, 금융산업 내 AI 도입 방향 등 핵심 과제들이 집중 조명됐다. 특히 중국은행(中国银行, Bank of China) 장후이(张辉, Zhang Hui) 행장은 "AI와 블록체인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금융기관의 서비스가 산업 전반에 유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VC, PE, 정책금융, 상업금융, 보험, 보증 등 다양한 금융 기능이 통합된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포럼에서는 중국 최대 보험사인 중국인수(中国人寿, China Life) 차이시량(蔡希良, Cai Xiliang) 회장의 발표도 주목을 받았다. 그는 "보험자금은 고위험 기술기업에 투자하기 어려운 성격이 있으나,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내 외자 제조업체들의 수익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다국적기업에 '신질생산력' 전략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19일 관영 CCTV와 환구망 등에 따르면, 이날 개막한 '제6회 다국적기업 지도자 칭다오(青岛, Qingdao) 정상회의'에서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은 최신 '중국 내 다국적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 규모 이상 외자(홍콩·마카오·타이완 포함) 제조기업들의 총 이익이 1조6천억 위안(약 363조 원)에서 1조8천억 위안(약 408조 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제조업 평균 수익률을 웃도는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중국 내 첨단기술 분야 외자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2024년 제조업 외자 활용 중 고기술 분야가 43.7%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또 외자기업은 중국 고신기술 제품 수출 비중에서도 약 50%를 점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 같은 외자기업의 수익 성장을 ‘중국 시장의 안정성과 산업망 경쟁력’ 덕분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를 발표한 왕쉐쿤(王雪坤, Wang Xuekun)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원장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