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잘되고 있다”며 공정한 합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31일 중국 정부와 매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법안 서명식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중국과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 공정한 합의가 이뤄질 것 같다”고 밝혔다. 29일부터 이틀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된 미중 3차 고위급 협상에서는 관세 인하 조치를 연장하는 데 잠정 합의가 이뤄졌다. 이 결과는 백악관에 보고됐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재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인도와의 무역 문제에 대해서도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트루스소셜을 통해 인도가 러시아와 무기 및 에너지 거래를 지속해왔다며, 8월 1일부터 인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와의 교역에는 별도 페널티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어 인도가 브라질, 러시아, 중국, 남아공과 함께 브릭스(BRICS)에 속해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브릭스는 반미 성향의 연합”이라며 “합의하든 안 하든 상관없다. 조만간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한국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다른 국가들과도 협상이 진행 중이라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미국의 흑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조치에 정면으로 반발했다. “시장경제 원칙을 위반한 자해 행위”라며, 오히려 미국 기업과 소비자가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1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 대변인은 미 상무부의 중국산 흑연에 대한 예비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과 관련해 “중미 양국의 경제협력은 상호이익을 위한 것”이라며 “미국은 공정한 경쟁 원칙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번 조치로 해당 품목엔 최대 90% 이상의 관세가 적용될 전망이며, 이미 지난 5월에는 반보조금 조사 결과를 근거로 최대 721.03%의 상계관세가 예고된 바 있다. 중국산 흑연은 배터리 양극재 핵심 소재로, 테슬라와 파나소닉, 한국 기업들 역시 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CRU그룹의 샘 애덤은 “이 관세는 배터리 제조사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며, “한국 배터리업계의 1~2분기 수익이 통째로 날아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베이징은 미국의 이번 조치를 미중 경제 대립의 연장선으로 해석하며, “억압과 봉쇄로는 기술 굴기를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인민대학교 바오젠윈 교수는 “미국이 흑연을 틀어막으려는 동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유럽연합, 영국, 한국, 인도네시아산 스테인리스 제품에 대해 기존의 고율 반덤핑 관세를 2025년 7월 1일부터 추가로 5년간 유지하기로 했다. 중국 내 철강산업 보호와 주요 원재료의 전략적 공급망 안정이라는 명분이 다시 확인됐다. 30일 중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2019년 도입한 반덤핑 조치의 유효기간 만료를 앞두고 시행한 ‘기한 종료 재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상무부는 “조치 종료 시, 유럽과 아시아 주요 수출국에서 저가 수입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중국 스테인리스 산업에 실질적인 손실을 야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심 결과에 따라, 상무부는 기존의 고율 관세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산 제품에는 43.0%의 반덤핑세가 부과된다. 인도네시아산 제품은 20.2%가 적용된다. 한국 기업 가운데는 포스코에 23.1%의 세율이 매겨졌으며, 그 외 다른 한국 업체들은 최대 103.1%에 달하는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해당 조치의 적용 대상은 탄소 함량 1.2% 이하, 크롬 10.5% 이상을 포함한 스테인리스 합금강 가운데 열간압연 공정을 거친 판재(Coils 포함)와 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