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끈적한 점액질로 유명한 채소 오크라가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보도된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브라질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에서 오크라를 섭취한 그룹이 체지방과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에서 모두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간과 뇌의 염증 수치도 크게 감소했으며, 특히 대사 조절의 핵심 부위인 시상하부의 염증이 줄고 인슐린 감수성이 회복되는 반응이 확인됐다. 이 같은 효과는 오크라에 다량 함유된 항산화 성분 카테킨과 쿼세틴 덕분으로 분석됐다. 두 물질은 녹차에도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으로, 세포 손상 억제와 대사 기능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주도한 세린 크라수나 박사는 “오크라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당 흡수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항산화 성분이 세포 염증을 막는 이중 작용을 한다”고 설명했다. 오크라는 일본 가정에서 ‘네바네바’ 식재료로 불리며 나또, 마그로(참치)와 함께 덮밥으로 활용되거나 데쳐서 간장·가쓰오부시와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100g당 30kcal의 저칼로리 식품임에도 비타민K, 비타민C, 엽산 함량이 높아 영양밀
[더지엠뉴스]피부가 접히는 목덜미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부위가 거뭇하게 변하면 단순한 때가 아니라 ‘흑색가시세포증’을 의심해야 한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 질환은 피부가 자주 마찰되는 부위에서 색소 침착이 생기고 점차 두꺼워지며 주름이 늘어나는 특징을 가진다. 입술이나 입안 점막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가 갈색이나 회색으로 어두워지다 사마귀처럼 울퉁불퉁한 형태로 변하기도 한다. 흑색가시세포증은 주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깊다. 성장기 청소년이나 체중이 급격히 증가한 성인에게 흔히 나타나며, 당뇨병, 고혈압, 대사증후군, 지방간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비만이 없는 경우에도 증상이 생기면 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내시경 같은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피부 겉이 오염된 것이 아니라 내부 대사문제에서 비롯되므로 세게 문질러 씻는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체중 감량이다. 체중을 줄이면 비만 관련 합병증이 호전되면서 피부색 변화도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김도현 순천향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어릴 때 찐 살은 키로 간다는 속설을 믿지 말고, 비만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가족 모두가 식습관 개선과 운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