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체 운영하는 우주정거장 톈궁(天宫, Tiangong)에서 텅스텐 합금을 3100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데 성공했다. 지상 실험으로는 얻기 어려운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내열 신소재 연구에서 세계적 돌파구를 열었다. 25일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 따르면, 텐허(天和, Tianhe) 핵심 모듈에 설치된 ‘무용기 재료과학 실험 캐비닛’이 이번 성과의 핵심 장치다. 이 장치는 금속을 용기와의 접촉 없이 전기장으로 공중에 띄워 녹이고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오염이나 외부 간섭 없이 순수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텅스텐 합금은 녹는점이 높아 지상 중력 환경에서는 균일한 합금 구조를 만들기 어렵지만, 미세중력 조건에서 구형 액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과정을 통해 금속이 녹고 흐르며 다시 결정화되는 전 과정을 관찰했다. 이번 성과는 반도체 레이저와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결합한 이중파장 레이저 시스템이 300와트 출력으로 텅스텐을 액체 구체로 만드는 데 성공하면서 가능해졌다. 과학자들은 이를 통해 내열 합금의 물리적 특성과 응용 가능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대기권 재진입 시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셴저우20(神舟二十号, Shenzhou-20) 승무원들이 곧 세 번째 우주유영(EVA)에 나선다. 이번 임무에는 지난달 톈저우9(天舟九号, Tianzhou-9) 화물선이 전달한 최신형 국산 ‘페이톈’(飞天, Feitian) 우주복이 처음 투입될 예정이다. 14일 중국유인우주공정판공실에 따르면, 승무원들은 지난 6월 26일 두 번째 우주유영을 마친 뒤 톈저우8을 보내고 톈저우9를 맞이했다. 이 과정에서 궤도 내 장비 점검과 유지보수, 환경 모니터링, 물자 재고 관리, 우주유영 준비 작업을 병행해왔다. 현재 우주정거장과 승무원 모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건강 상태도 양호하다고 밝혔다. 이번에 도착한 신형 ‘페이톈’ 우주복은 완전 국산화된 차세대 모델로, 설계 수명이 기존 3년·15회 사용에서 4년·20회 사용으로 늘었다. 중국중앙텔레비전은 이 우주복이 세계 최장시간 단일 우주유영을 지원했던 기존 모델의 기술력과 경험을 기반으로 성능과 안전성, 인체공학적 설계가 대폭 개선됐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우주복을 ‘작은 우주정거장’에 비유한다. 중국 항공우주 전문가 쑹중핑(宋忠平, Song Zhongping)은 “우주복은 한 국가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독자 우주정거장을 향한 핵심 수송 임무에 또 한 번 성공했다. 새벽 하이난 원창에서 발사된 톈저우-9호 화물선이 궤도에 진입하며 본격적인 도킹 준비에 들어갔다. 15일 중국 유인우주국에 따르면, 우주선은 발사 10여 분 뒤 태양광 패널을 펼치고 예정된 궤도에 진입했으며, 이로써 발사 단계는 완전한 성공을 거뒀다. 이번 임무는 톈저우-9호가 중국우주정거장과 3시간 안에 도킹을 시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과거 톈저우-7호, 8호에 이어 세 번째로 시도되는 ‘초고속 접속’ 방식으로, 성공 시 향후 우주 물자 수송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게 된다. 개발을 주도한 중국항천과기집단(CASC) 리즈융(李志勇) 팀원은 “이번에도 3시간 내 도킹이 성공하면, 정거장 운영의 유연성과 긴급보급 역량이 대폭 강화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톈저우-9호는 약 6.5톤 분량의 화물을 탑재했다. 주요 물자는 우주인 생활 지원 시스템, 우주정거장 운용 플랫폼 부품, 각종 실험용 장비 및 표본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항공우주의학, 우주기술 검증, 응용 실험을 위한 장비가 포함되어 있어 정거장 장기 임무 운영과 타이코넛(중국 우주비행사)의 지
[더지엠뉴스]중국이 유인우주선 ‘선저우20호(神舟20号)’를 24일 발사하며 독자적인 우주 정거장 ‘톈궁(天宫)’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우주 협력 체제를 본격화했다. 24일 오후 5시17분, 간쑤(甘肃, Gansu)성 주취안(酒泉, Jiuquan)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长征, Changzheng)-2F 로켓에 실린 선저우20호가 이륙했다. 중국 유인우주탐사프로젝트판공실(CMSA)은 발사 약 20분 뒤인 오후 5시36분 궤도 진입을 확인했고, 6시간 반 뒤 우주정거장 톈궁과의 도킹이 예고됐다. 이번 선저우20호에는 천둥(陈冬, Chen Dong) 사령관과 천중루이(陈中瑞), 왕제(王杰) 등 3명의 남성 우주인이 탑승했다. 천둥은 선저우11호와 14호를 포함해 세 번째 비행이며, 나머지 두 명은 첫 우주 임무에 참여한다. 이들은 6개월간 톈궁에 체류하며 총 59건의 우주과학 실험과 우주정거장 유지 관리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주요 실험 항목으로는 고온 초전도체 실험, 편형동물 재생능력 연구, 무중력 상태가 제브라피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항생 물질을 생성하는 스트렙토미세스 균에 대한 분석이 포함됐다. 이번 임무는 선저우19호의 교대 임무도 포함된다. 선저우
[더지엠뉴스] 중국 자체 건설 유인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에서 6개월 동안 체류하면서 임무를 완수한 유인 우주선 ‘선저우(神舟) 17호’ 승무원 3명이 지난달 30일 지구로 귀환했다. 1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탕훙보(48)·탕성제(34)·장신린(35) 비행사는 이날 오후 5시 50분께(현지시간) 귀환선을 타고 네이멍구자치구 둥펑착륙장에 낙하했다. 이들은 작년 10월 26일 선저우 17호를 타고 지구를 떠나 톈궁과 도킹, 톈궁에서 과학 연구 등 임무를 수행했고, 지난 25일 발사된 선저우 18호의 승무원 3명과 교대했다. ‘우주 굴기’를 외치며 2022년 말 우주에서 톈궁을 완공한 중국은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우주정거장 활용에 나섰다. 이를 위해 매년 유인우주선 2대와 화물우주선 1∼2대를 발사해 우주정거장에 도킹시키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또 작년 5월 30일에는 선저우 16호, 10월 26일에는 선저우 17호, 올해 4월 25일에는 선저우 18호를 잇따라 쏘아 올렸다. 중국의 우주에 대한 집념은 '우주 굴기'라는 단어로 요약된다. 우주 개발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로 전 세계에서 우주 패권을 쥐겠다는 야심찬 포부가 여기에 담겨 있다. 우주 분야에서도 세계 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