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베트남 정부가 ‘딸만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한 현금 및 물질적 지원 정책을 공식 검토하고 나섰다. 저출산과 심각한 성비 불균형 문제를 동시에 겨냥한 조치로, 출산율 회복과 남아 선호 문화 타파를 동시에 겨냥한 이례적인 정책 방향이다. 14일 베트남 보건부 발표에 따르면 다오홍란(Đào Hồng Lan) 보건부 장관은 지난 11일 하노이에서 열린 세계 인구의 날 기념 행사에서 “지역과 국가 차원의 인구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 틀을 마련 중”이라며 해당 정책의 방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보건부가 제시한 주요 대책에는 자녀 양육 장려금과 출산 전후 건강검진 비용 지원, 자녀가 있는 가정에 대한 주거비 보조 외에도 ‘딸만 있는 가정’에 특별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이와 같은 정책은 아들을 선호하는 오랜 문화가 남아 있는 베트남 사회에서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2024년 베트남의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당 1.91명으로, 인구 유지에 필요한 수준인 2.1명을 처음으로 밑돌았다. 동시에 출생 성비는 100명당 남아가 111.4명으로, 자연적인 성비(105:100)를 크게 웃돌아 여아 기피 현상이 여전함을 보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정부가 전통적인 혼례 문화를 간소화하고 실용적인 결혼을 장려하는 내용의 새로운 정책을 내놓으며, 결혼율·출산율 동반 하락에 대응하는 행보에 나섰다. 3일 중국민정부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결혼문화 개혁 시범지역을 지정하고, 각 지역 정부가 ‘간소·절제형 혼례모델’을 도입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젊은 층의 결혼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사치·낭비 풍조를 줄이는 동시에, 사회 전반의 결혼 장려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혼식 규모를 축소하고, 혼수나 예단 등을 생략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권장하며, 지역 사회 단위에서 공공장소 결혼식, 집단 혼례 등의 공동 방식도 장려된다. 일부 지역에선 시범적으로 ‘공공 혼례장’을 설치해 예식 비용을 정부가 일부 지원하는 제도도 시행 중이다. 중국 각지에서는 이미 여러 도시가 독자적인 결혼문화 개혁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저장(浙江, Zhejiang)성 원저우(温州, Wenzhou)시는 신혼부부에게 임대주택 우선 입주권과 생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산둥(山东, Shandong)성 지난(济南, Jinan)시는 간소한 결혼을 선택한 커플에게 포인트 혜택이나 장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