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과 아세안이 자유무역지대(FTA) 3.0 업그레이드 협정을 연내 체결할 예정이다. 양측은 이를 통해 지역경제 통합을 심화하고, 불확실한 글로벌 무역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27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협정은 중국과 아세안의 포괄적 전략동반자 행동계획(20269월 교역액은 5조5700억 위안(약 7850억 달러, 1,080조 원)으로 전년 대비 9.6% 늘었다. 특히 인프라·디지털·녹색전환 등 협력이 본격화됐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라오스 철도는 물류비를 크게 줄이며 지역 연결성을 높였다. 또 말레이시아 동해안철도(ECRL)가 완공되면 주요 도시 간 이동 효율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늘길에서도 ‘공중 실크로드’가 열렸다. 중국 정저우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잇는 항공물류 노선은 ‘쌍허브(doubled-hub)’ 모델의 상징으로, 말레이시아산 무산킹 두리안을 수확 36시간 만에 중국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말레이시아 교통부 앤서니 로크(Anthony Loke Siew Fook) 장관은 “정저우 공항의 신속 통관 정책이 중국-아세안 전자상거래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아세안(ASEAN)과의 관계를 ‘운명공동체’로 규정하며 협력 강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일 기준으로 이날 린젠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과 아세안은 30여 년간 긴밀하게 협력해왔다”며 “지역과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협력 모델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중국은 현재 아세안과 5년 연속 최대 교역국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 무역 규모는 6조9900억 위안에 달한다. 양측은 올해 안으로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 3.0 업그레이드 협정을 체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린젠은 특히 “중국-라오스 철도, 베트남 하노이 경전철 2호선 같은 대표 프로젝트들이 아세안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디지털 전환과 녹색 성장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중국은 주변 17개국과 운명공동체 형성을 위한 합의를 마쳤고, 25개국과는 ‘일대일로’ 협정에 서명했다. 아세안 국가들을 포함한 이들 지역은 모두 중국의 ‘소확행’ 민생 프로젝트의 수혜국으로 연결된다. 중국은 이외에도 란창-메콩 협력, 중국-중앙아시아 협력, 상하이협력기구 등 다양한 지역 메커니즘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