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베이징 이좡에서 열린 로봇 소비제전이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인 성과를 거뒀다. 2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2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E-타운 로봇 소비제전’에서 1만9000여 대의 로봇과 관련 제품이 판매되며 매출은 330억 위안(약 6조 7천억 원)에 달했다. 이번 행사는 세계 최초의 로봇 소비 테마 페스티벌로, 정부의 대규모 소비 보조금 정책과 맞물려 수요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 이좡 관리위원회는 70억 위안(약 1조 4천억 원) 규모의 소비 보조금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개인은 최대 1500위안(약 28만 원), 기업은 최대 25만 위안(약 4700만 원)의 로봇 구매 지원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 제도는 70억 위안의 판매를 직접적으로 촉진했다. 특히, 행사 기간 개장한 ‘로봇 몰(Robot Mall)’은 4000㎡ 규모의 세계 최초 로봇 4S 매장으로 주목받았다. 매장 관리자 왕이판은 16일간 주문액 100만 위안 이상 고급 휴머노이드 로봇 판매가 전체의 2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JD닷컴과 주요 쇼핑몰도 동참해 판촉 캠페인을 전개했다. 로봇 쇼핑제전은 온라인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더우인과 콰이쇼우 등 플랫폼에서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애지봇(AgiBot·즈위안로보틱스)이 휴머노이드 로봇 100대를 자동차 부품 제조사 푸린정궁(富臨精工, Fulin Jinggong) 공장에 배치하기로 했다. 13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계약 규모는 한화 수십억 원에 달하며, 이는 중국 내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도 제조업 현장에 투입되는 최대 규모의 휴머노이드 상용화 사례다. 이번에 투입되는 모델은 바퀴형 휴머노이드 ‘위안정A2-W(遠征A2-W, Yuanzheng A2-W)’로, 지난달 푸린정궁 생산라인에서 물류 운반 테스트를 거쳤다. 테스트에서 로봇은 한 근무조당 1천 개의 물류 상자를 배송했고, 약 1만 회 작업 동안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단순 운반뿐 아니라 사람 회피, 팔레트 이송, 하역 작업도 수행 가능하다. 푸린정궁은 반복적이고 고중량의 물류 작업을 로봇이 대신함으로써 근로자가 더 높은 부가가치 작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애지봇은 산업용 휴머노이드가 기술 검증 단계를 넘어 대규모 상용화 단계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이 올해를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원년으로 선포한 가운데,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北京亦莊, Beijing Yizhuang)에서 8일부터 열린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상하이시가 쥐선즈넝(具身智能, jùshēn zhìnéng) 산업 육성을 위한 세부 계획을 내놓으며, 핵심 산업 규모를 2027년까지 500억 위안(약 9조 4,000억 원)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쥐선즈넝은 인공지능이 물리적 신체를 갖고 현실 세계에서 감지·판단·행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뜻한다. 6일 상하이시 인민정부 판공청은 ‘쥐선즈넝 산업 발전 실행방안’을 공식 발표하고, 지난 7월 28일부터 이를 전면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실행방안은 산업 전주기를 아우르는 지원을 포함한다. 2027년까지 핵심 기술 20건 이상 확보, 고품질 인큐베이터 4곳 설립, 산업 중핵기업 100곳 유치, 응용 시나리오 100건 실증, 국제 선도 제품 100건 확산 등의 수치 목표가 제시됐다. 보조금은 기술 개발, 플랫폼 구축, 응용 실증 등 세 갈래로 구분해 차등 지급된다. 감지·제어·운동·어휘·OS 등 기술 개발 기업에는 최대 5,000만 위안(약 94억 원)의 지원금이 제공되며, 어휘 데이터 구매 기업에는 연간 500만 위안(약 9억 원) 한도의 ‘어휘 바우처’가 지급된다. 산출력, 테스트, 임대 등 플랫폼 기반 서비스는 최대 2,0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에서 열린 첫 ‘로봇 하프 마라톤’이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산업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완주’보다도, 실제 적용 가능한 플랫폼과 부품의 산업화 가능성을 노린 데 초점이 맞춰졌다. 22일 관영매체와 기업 발표에 따르면, 저장성 위야오(余姚, Yuyao)에서 개최된 이 마라톤은 총 18개 로봇이 21.1km를 달리는 포맷으로 설계됐다. 일부 로봇은 중간 탈락했지만, 시상이나 기록보다 중요한 건 전 구간에서 측정된 ‘주행 안정성’과 ‘모듈 간 통합 정확도’였다. 이는 휴머노이드 상용화를 위한 핵심지표이기도 하다. 눈에 띄는 건 참여 로봇 대부분이 국내 플랫폼 기반이었다는 점이다. 뉘쥐(擬跡, NiJii), 다이싱커지(大星科技, Daxing Tech), 샤오이인공지능(小亿智能, Xiaoyi AI), 위시로보틱스(Wish Robotics), 이오텍(EoTech), 톈중커지(天中科技, Tianzhong Tech) 등은 모두 자체 모듈을 기반으로 인간형 로봇을 설계했다. 다수는 양산체계에 진입한 부품을 활용해 개발되었으며, 향후 완제품 판매뿐 아니라 하드웨어 플랫폼 사업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마라톤 완주가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기업들이 앞다퉈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단순한 기술 과시를 넘어, 공급망 전체를 새로 짜는 구조 재편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양상이다. 21일 중국 공업정보화부 발표와 기업 보고에 따르면, 기존 로봇 기업뿐 아니라 자동차, 전자, AI 분야의 선도 업체들까지 이른바 ‘인간형 로봇’ 산업에 전략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 현장과 가정용 양쪽 수요를 동시에 겨냥한 신제품 개발이 늘어나면서, 구동 장치, 감속기, 모터, 센서 등 핵심 부품 수요가 전방위로 급증하고 있다. 그 흐름의 한가운데엔 상장사들이 있다. 디쯔광뎬(帝尔光电, DIER Optoelectronics), 광메이(光韵达, Guangyunda), 하이얼(海尔, Haier), 쓰촨창중(四川长重, Sichuan Changzhong), 위톈전기(宇天电机, Yutian Motor), 뤄산정밀(洛森精密, Luosen Precision), 훙이커지(宏易科技, Hongyi Technology), 류광커지(流光科技, Liuguang Tech) 등은 로봇 전용 부품 생산 라인을 확대하거나, 로봇 호환 가능한 기존 생산설비 리모델링에 나서고 있다. 각 기업의 진입 방식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을 핵심 성장축으로 삼은 중국이 대규모 인공지능 학습데이터와 통합 산업 표준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상하이에서 열린 체화지능 개발자대회를 통해 AI 거대모델과 표준 체계 확산 계획이 동시에 발표됐다. 30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중국 ‘국가·지방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는 전날 상하이에서 열린 장장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 개발자대회에서 저장(浙江, Zhejiang), 안후이(安徽, Anhui), 산둥(山东, Shandong), 광둥(广东, Guangdong), 후베이(湖北, Hubei) 등 5개 성과 함께 휴머노이드 산업 표준 상호인정 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중국 내에서 지역 간 휴머노이드 로봇 표준을 공동으로 설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혁신센터는 이를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첫 통일형 기준 정립”이라고 소개하며, 데이터 수집과 훈련장 구축, 스마트 등급 산정, 핵심 부품 개발 등에 활용할 실질적 지침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센터는 중국의 AI기업 쿠파쓰(Coopers AI), 로봇제조사 애지봇(Agibot), 데이터업체 푸리예(Puruiye) 등과 손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