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1(금)
  • 전체메뉴보기
 
  • WSJ 보도, 정상회담 통해 관계 개선 모색, 경제적 이해관계 주목


1000012974.jpg
사진=중국 외교부

 



[더지엠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100일 이내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개최할 의향을 보였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트럼프 당선인이 측근들에게 미중 관계를 재설정하기 위해 시 주석과 직접 만남을 원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는 대리인을 통한 논의를 포함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트럼프 당선인이 시 주석을 미국으로 초청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주재 미국 대사관과 트럼프의 보좌진 모두 이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의 방중설은 미중 간의 악화된 관계를 정상 외교로 풀어가려는 시도로 보인다. 특히 '톱다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는 이번 발표를 통해 더욱 명확해졌다.


트럼프는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시진핑 주석과 전화 통화를 진행했다고 밝히며, 양국 간의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양국의 무역 불균형 문제와 마약 펜타닐 규제와 같은 이슈가 주된 의제로 다뤄졌다. 그러나 트럼프가 이번 통화에서 중국 방문 의사를 직접 언급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국 외교부는 트럼프와의 통화 내용 중 트럼프 당선인이 시 주석과 가능한 빨리 만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중 양국이 경제적 긴장 속에서도 대화의 물꼬를 트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하며 중국을 강하게 압박했다. 이에 중국 측은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자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현재 중국은 부동산 침체, 통화가치 하락, 외국자본 유출 등 경제적 압박에 직면해 있어, 이번 회담이 그러한 위기를 완화할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와 가까운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와 시 주석의 만남이 성사된다면 무역, 기술, 안보 등 양국 간 주요 이슈에서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번 임기 내 정상회담을 통해 미중 관계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그의 대화 방식은 과거 2017년 집권 당시 시 주석과의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 회담을 연상시킨다. 당시 양국 정상은 경제와 안보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트럼프는 취임식 이후 첫 외교 무대로 중국 외에도 인도를 방문할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는 미중 관계 개선뿐 아니라 아시아 지역 내 미국의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이번 트럼프 당선인의 대화 의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관세 문제와 관련해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가 이번 회담의 주요 동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전체댓글 0

  • 9572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트럼프, 취임 후 100일 내 방중 의향 표명…미중 관계 새 국면 열릴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