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1(금)
  • 전체메뉴보기

기업
Home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실시간뉴스

실시간 시장 인사이트 기사

  • [KIC중국 공동]중국, 2024년 현 지역 종합 경쟁력 100대 도시 발표… 쿤산 1위[시장 인사이트 37]
    [더지엠뉴스] 중국사회과학원 재정전략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중국 현 지역 경제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종합 경쟁력 100대 현급 도시 순위에서 장쑤성 쿤산시가 1위를 차지했다. 장쑤성 장인시와 장자강시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하며, 상위권을 장쑤성이 장악했다. 이번 조사는 중국 내 400개 현급 도시를 대상으로 경제 성장률, 지역총생산(GDP), 공공예산 수입, 산업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다. 평가 결과, 경제력이 우수한 동부 연해 지역이 강세를 보이며, 장쑤성과 저장성 도시들이 상위권을 독점했다. 장쑤·저장성, 상위권 점령 올해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한 쿤산시는 중국에서 가장 경제력이 탄탄한 현급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 장쑤성 내에서도 강력한 제조업 기반과 혁신적인 산업 구조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외자 유치와 첨단 기술 산업 육성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장인시는 철강 및 화학 산업이 발달한 도시로, 공업 생산력과 수출 경쟁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장자강시는 항구 물류 및 첨단 소재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3위를 기록했다. 이우시는 글로벌 소상품 시장의 중심지로 전 세계 무역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진장시는 스포츠 용품 및 섬유 산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치시시는 전자산업이 강세를 보이며, 이싱시는 신소재 및 환경 보호 산업을 특화시키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주목할 점은 산시성 선무시가 10위권에 새롭게 진입한 것이다. 선무시는 석탄 산업을 기반으로 강력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인프라 확장에 집중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역 경제 지표 분석 올해 100대 현의 GDP 총합은 중국 전체 GDP의 10.12퍼센트를 차지했으며, 평균 GDP는 1275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1인당 GDP는 14만1180위안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공공예산 수입 총액은 전국 공공예산 수입의 3.95퍼센트를 기록했다. 특히 장쑤성과 저장성이 강세를 보이며, 경제 성장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장쑤성은 23개, 저장성은 19개의 도시가 100대 현에 포함되며, 두 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쟁력 있는 도시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산둥성은 14개, 푸젠성은 10개의 도시가 포함되며, 동부 연해 지역이 중국 경제 발전을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급 도시의 성장과 전망 중국의 현급 도시들은 산업 구조 고도화와 디지털 경제 발전을 통해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제조업과 전통 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 첨단 기술과 스마트 산업을 중심으로 한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장쑤성과 저장성을 중심으로 한 동부 연해 지역은 높은 수준의 경제 발전을 유지하며, 향후 지속적인 투자 유치와 산업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의 지역 경제 육성 정책과 산업 발전 계획에 따라, 첨단 기술 산업과 디지털 경제가 주도하는 현급 도시들의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5-02-28
  • [KIC중국 공동]중국 의료기기 산업, 2024년 1~11월 투융자 162.58억 위안 기록… 성장세 유지[시장 인사이트 35]
    [더지엠뉴스] 중국 의료기기 산업이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총 296건의 투융자 활동을 기록하며, 총 투자 금액이 162.58억 위안(약 3조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정점을 찍은 후 점차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4년 1~11월 동안 투융자 건수는 전년 대비 17.93% 증가했지만, 투자 금액은 2.99% 감소했다. 이는 대형 투자보다는 중소형 투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투자 라운드 분석… A 라운드 및 엔젤 라운드 집중 중국 의료기기 산업의 투자 라운드는 주로 초기 단계에 집중됐다. 2019년부터 2024년 11월까지 A 라운드 414건, 엔젤 라운드 318건, B 라운드 216건이 발생하며, 의료 스타트업 및 신기술 기반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24년 1~11월에도 A 라운드와 엔젤 라운드 투자 비중이 높았으며, 각각 69건과 63건이 진행되었다. 이는 의료기기 산업이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평가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주요 투자 지역… 장쑤·저장·상하이 투자 집중 지역별로는 장쑤성이 79건(26.69%)으로 가장 많은 투융자가 이루어졌으며, 그 뒤를 저장성(16.22%), 상하이(14.86%), 광둥성(13.51%), 베이징(11.15%)이 이었다. 이는 주요 의료기기 기업과 연구기관이 집중된 지역이 의료 산업 투자의 핵심 거점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기업 및 벤처캐피털 참여 증가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투자자는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중국의 국유자본과 지역 정부 산업 기금뿐만 아니라, 위안허홀딩스(元禾控股), 카이펑벤처(凯风创投) 등 전문 벤처캐피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텐센트투자(腾讯投资)와 같은 대기업 계열 투자 기관도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투자 구조는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보다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기업 인수합병(M&A) 통한 사업 확장 2024년 1~11월 동안 의료기기 산업에서는 다수의 기업 인수합병이 이루어졌다. 하이리바이오(海利生物)는 루이성바이오(瑞盛生物)를 인수해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 진출했으며, 산요우의료(三友医疗)는 쉐이무텐펑(水木天蓬)을 인수해 초음파 절삭기 시장으로 확장했다. 기업들은 기존의 핵심 사업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분야로 확장하며 경영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추가적인 수익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향후 전망 중국 의료기기 산업은 국산화 전략과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정부의 정책 지원과 함께 국산 의료기기의 시장 점유율 확대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AI 기반 의료기기, 정밀 진단 장비, 신소재 기술 등이 차세대 의료기기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대형 투자보다는 전략적 투자와 초기 단계 기업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 의료기기 기업들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5-02-26
  • [KIC중국 공동]중국, 2023년 연구개발 투자 사상 최고치 기록 [시장 인사이트 34]
    [더지엠뉴스] 중국 국가통계국, 과학기술부, 재정부가 공동 발표한 ‘2023년 전국 과학기술 비용 투입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연구개발(R&D) 비용은 33,357.1억 위안(약 6,270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8.4% 증가한 수치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율(R&D 투입 강도)도 2.65%로 상승하며, 전년 대비 0.09%포인트 증가했다. 연구개발 인력 1인당 비용은 46.1만 위안(약 8,670만 원)에 달해 기술 인력에 대한 투자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활동별 현황 2023년 중국의 연구개발 투자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부문은 기초 연구였다. 기초 연구 비용은 2,259.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 응용 연구 비용은 3,661.5억 위안(5.1% 증가), 실험 개발 비용은 27,436.5억 위안(8.5% 증가)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개발 비용에서 기초 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6.77%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증가했으며, 응용 연구와 실험 개발 비중은 각각 11.0%와 82.2%를 차지했다. 연구개발 주체별 투자 기업이 연구개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액은 25,922.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하며 전체 R&D 비용의 77.7%를 차지했다. 정부 산하 연구기관은 3,856.3억 위안(1.1% 증가), 고등 교육기관은 2,753.3억 위안(14.1% 증가), 기타 연구 주체는 825.3억 위안(21.8% 증가)을 기록했다. 지역별 연구개발 투자 지역별로는 동부 지역이 가장 많은 연구개발 비용을 투자했다. 2023년 R&D 비용은 동부 2조 1,810억 6,000만 위안(7.8% 증가), 중부 6,070억 8,000만 위안(9.2% 증가), 서부 4,359억 7,000만 위안(10.0% 증가)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이징·톈진·허베이(징진지) 지역의 연구개발 비용은 4,458억 4,000만 위안(4.6% 증가), 장강삼각주 지역은 1조 166억 8,000만 위안(8.3% 증가)으로 나타나, 연구개발이 활발한 경제권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국가 재정 과학기술 지출 중국 정부의 과학기술 지출도 증가했다. 2023년 재정 과학기술 지출은 11,995.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했다. 중앙정부의 지출은 3,973.1억 위안으로 전체의 33.1%를 차지했고, 지방정부의 지출은 8,022.7억 위안으로 66.9%를 차지했다. 이처럼 중국은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첨단 기술 산업 발전과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5-02-05
  • [KIC중국 공동]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자리 잡은 광저우, 외국인 투자 선호 1위 [시장 인사이트 33]
    [더지엠뉴스] 광저우가 중국의 주요 국가 중심 도시이자 글로벌 비즈니스 및 교류의 거점으로서, 외국인 투자 유치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외국 자본 유치 규모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며 중국 내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2023년 광저우의 세 개 국가급 경제기술 개발구역(황푸, 젠청, 난사)과 자유무역구에서 실제 활용된 외국인 투자액은 358억 3500만 위안으로, 이는 도시 총 투자액의 74.2%를 차지했다. 특히 난사 개발구는 2년 연속 전국 2위를 기록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화난미국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화난 지역 경제 현황 특별 보고서’에 따르면, 광저우는 7년 연속 외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로 선정됐다. 또한 2023년 유니콘 기업 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중국 도시로 기록되었으며, 2024년 기준 24개의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 외자 기업은 광저우 전체 기업 수의 2%에 불과하지만, 전체 수출입 총액과 첨단 제조업 부가가치의 30~40%를 차지하며 경제 성장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산업별 투자 현황 광저우는 제조업 중심지로, 다양한 산업 클러스터를 통해 도시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 연간 자동차 생산량 310만 대 돌파, 5년 연속 중국 1위 2025년까지 연간 400만 대 생산 목표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생산량 65만 대 이상, 전국 상위권 전자제품 제조업 글로벌 OLED TV 패널의 절반 가까이가 광저우에서 생산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량 중국 1위 4K 디스플레이 모듈 및 칩 출하량 글로벌 1위 석유화학 산업 연간 생산액 3,600억 위안, 광둥성 내 1위 대형 석유화학 기업 1,300개 이상, 국가급 첨단 기업 다수 보유 스마트·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산업 자율주행 도로 테스트 중국 1위, 누적 주행 거리 960만 km 차량·사물 통신(V2X) 및 핵심 부품 기술 개발 주도 차세대 IT 산업 연간 생산액 4,800억 위안 돌파 소프트웨어 및 정보 서비스 업종 3,100억 위안 창출 바이오 의약·건강 산업 산업 규모, 기업 수, 연구 인프라에서 전국 선두 노벨상 수상자 및 55명의 원사급 연구진 보유 스마트 장비·로봇 산업 스마트 장비 관련 기업 3,000여 개, 연간 생산액 721억 위안 기록 로봇 및 자동화 설비 기업 40여 개 밀집 철도교통 산업 2023년 철도교통 생산액 2,500억 위안 돌파 광저우 남역 하루 이용객 수 전국 1위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산업 2023년 부가가치 3,946억 위안, 전체 생산액의 12.8% 차지 2024년 4,200억 위안 돌파 전망 광저우의 투자 환경 경쟁력 있는 투자 비용 상업·산업·주거용 부동산 가격, 중국 4대 도시 중 가장 저렴 A급 오피스 임대료, 일선 도시 중 최저 수준 전기 비용 역시 가장 낮아 투자 유치 경쟁력 확보 세계적 교통 인프라 바이윈공항, 2023년 6,317만 명 이용, 4년 연속 중국 1위 광저우 항, 전 세계 400개 이상 항구 연결, 화물 처리량 세계 5위 우수한 인적 자원 86개 대학교, 대학생 수 164만 명으로 중국 내 1위 국가급 연구실·과학기술 인력 다수 확보 정책 지원 확대 2022년 ‘서비스업 확대 개방 종합 시범 사업’ 승인 2024년부터 외자 제조업 투자 제한 전면 철폐 외자 기업에 내국민 대우 적용, 글로벌 투자 유치 강화 광저우는 안정적인 투자 환경과 혁신적인 산업 클러스터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향후 외국인 투자 증가와 함께 산업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5-02-04
  • [KIC중국 공동]중국, 과학 연구 강국으로 부상[시장 인사이트 32]
    [더지엠뉴스]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와 데이터 분석 기업 엘스비어가 공동으로 ‘2024년 글로벌 상위 2% 최고 과학자 리스트’를 발표했다. 이 리스트는 전 세계 과학자들의 논문 수와 인용 수를 기반으로 종합 점수를 매겨 선정한 결과물로, 총 217,098명의 과학자가 포함되었다. 이번 발표에서 중국 출신 과학자는 10,687명으로, 전체의 4.92%를 차지하며 높은 연구 성과를 보였다. 리스트는 2024년 8월 1일 기준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를 반영했으며, H-지수, 공저자 수를 고려한 hm-지수, 논문 인용 수, 종합 지표(c-score) 등 다양한 평가 기준이 적용되었다. 칭화대학교, 중국 내 1위 차지 중국 대학 중에서는 칭화대학교가 가장 많은 연구자를 배출하며 1위를 기록했다. 칭화대 연구진은 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신재생 에너지 등 첨단 과학 분야에서 글로벌 영향력을 갖춘 논문을 다수 발표하며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칭화대는 ‘중국 특색, 세계 일류’라는 교육 이념을 기반으로 기초 연구와 응용 과학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고 있으며, 연구 성과를 산업화하는 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저장대학교와 상하이교통대학교, 연구 혁신 주도 저장대학교는 742명의 과학자가 선정되며 중국 대학 중 2위를 기록했다. 이 대학은 생명과학, 정보기술, 소재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이며, 최근에는 연구 혁신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상하이교통대학교는 617명의 과학자가 포함되며 3위를 차지했다. 기계공학, 전자정보, 조선·해양공학 분야에서 오랜 연구 역량을 자랑하는 이 대학은 최근 바이오 의학공학과 인공지능 등 신흥 기술 분야에도 집중하며 연구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중국, 과학 연구 강국으로 도약 이번 결과는 중국이 연구·개발(R&D) 분야에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중국 주요 대학들이 연구 성과를 산업과 연계하며 국가 혁신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향후 중국 과학계가 지속적인 혁신과 연구 성과를 통해 글로벌 과학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5-02-03
  • [KIC중국 공동]2023~2024 중국 최고 성과 도시 발표, 항저우 1위 차지 [시장 인사이트 31]
    [더지엠뉴스] 밀켄연구소가 발표한 '2023~2024 중국 최고 성과 도시 지수'에서 항저우가 1위를 차지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고용 성장률, 평균 임금 성장률, 지역 GDP 성장률, 부동산 판매 면적 성장률, 대출 금액 성장률, 과학기술 공공 지출 성장률 등 15개 지표를 통해 도시의 성과를 평가했다. 보고서는 250개 중국 도시를 1, 2선 대도시 33개와 3선 중소도시 217개로 분류했다. 1, 2선 도시에서는 항저우, 우한, 지난, 창사, 청두가 상위 5위권을 차지했으며, 3선 도시에서는 단저우가 1위를 기록했다. 항저우는 2022년 8위에서 2023년 1위로 도약했으며, 허페이는 지난해 1위에서 7위로 하락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변화가 데이터 활용의 차이와 정책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항저우는 전자상거래와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경제 다각화를 이루며 선두를 차지했으며, 우한은 첨단 기술 산업으로 2위에 올랐다. 지난은 산업 다각화로 3위를 기록했고, 창사는 혁신 산업 육성으로 4위를 차지했다. 청두는 꾸준한 성장세로 5위를 유지했다. 도시 클러스터 측면에서는 장강 경제벨트와 청위시쿤 다이아몬드 경제권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베이징은 징진지 경제권의 중심, 선전은 웨강아오 대만구의 선두 도시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경제권 내 도시는 각 지역의 특색에 맞춰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3선 도시에서는 단저우가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중심지로 부상하며 1위를 차지했으며, 황강과 어저우는 강력한 임금 성장률을 기록하며 상위권에 올랐다. 단저우는 최근 발표된 경제 운영 데이터에서 2023년 지역 총 생산량이 1002억 8,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입 총액은 1075억 7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하며 무역 중심지로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경제 성장이 동부에서 중부 지역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중부 지방의 산업 발전이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균형 발전과 새로운 산업 혁신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경제적 불균형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중국 도시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제 다각화는 향후 국제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각 도시는 디지털 경제, 첨단 기술 산업, 친환경 정책 등 다양한 발전 전략을 채택하며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5-01-22
  • [KIC중국 공동]허베이 탕산, 철강 중심에서 신산업 허브로 변모[시장 인사이트 29]
    [더지엠뉴스] 허베이성 탕산(唐山)은 풍부한 광물 자원과 강력한 철강 산업으로 중국의 주요 철강 생산 기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최근 탕산은 전통 산업을 업그레이드하고 신형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며 노후 산업도시에서 첨단 신산업 허브로 변화하고 있다. 탕산의 4대 메인 산업 올해 1분기 탕산의 4대 메인 산업인 고급 철강, 첨단 장비 제조, 친환경 화학, 친환경 건축자재는 655억 8천만 위안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7% 성장했다. 이들 산업은 전체 산업 부가가치의 69.2%를 차지했다. 1. 철강산업: 핵심 산업의 고도화 철강 산업은 탕산의 핵심 기간산업으로, 올해 1~5월 부가가치가 4.9% 증가하며 전체 산업 부가가치의 49.4%를 차지했다. 탕산은 철강 산업의 고급화, 스마트화, 친환경화를 추진하며 산업 체인 확장과 제품 다양화를 도모하고 있다. 2. 로봇산업: 자동화와 스마트화 중심 성장 탕산은 자동화 및 스마트 생산에 대한 수요 증가로 로봇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2023년 탕산의 로봇 기업 수는 151개로, 총 매출이 전년 대비 17.5% 증가한 67억 위안에 달했다. 탕산은 <탕산시 로봇 산업 발전 지원 정책>을 발표해 투자 유치, 연구 개발, 인재 양성 등을 강화했으며, 철강∙야금, 선박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응용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3. 신에너지산업: 태양광∙풍력∙수소 에너지 확장 태양광 발전: 북부 황무지와 남부 해안 간석지를 활용한 발전소 건설 및 백만 킬로와트급 태양광 기지 조성. 풍력 발전: 해상 풍력 자원을 기반으로 해상 풍력 발전 최적화 및 산업 프로젝트 계획. 수소 에너지: 부생 수소와 재생 에너지 수소를 결합한 다원화 수소 생산 체계 구축, 3개의 수소 생산 공장 완공. 에너지 저장: 닝더스다이와 치뎬 신재생에너지 같은 기업 유치로 배터리 조립, 시스템 통합 등 분야에서 투자 협력 구축.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2-26
  • [KIC중국 공동]쓰촨성 산업단지 현황과 지역별 산업 전략[시장 인사이트 28]
    [더지엠뉴스] 중국 남서부 내륙 및 장강 상류에 위치한 쓰촨성은 2023년 지역내총생산(GRDP)이 60,132.9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대비 6.0% 성장했다. 1차 산업은 4.0%, 2차 산업은 5.0%, 3차 산업은 7.1%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균형 잡힌 성장을 보였다. 쓰촨성은 인공지능, 수소에너지, 바이오테크, 위성 네트워크 등 신흥산업을 육성하며 6대 경쟁우위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산업단지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성도인 청두시를 비롯한 21개 주요 도시가 지역 특화 전략과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각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도시별 산업단지 현황 1. 청두시(成都)청두는 산업으로 도시를 일으키고 제조업으로 강화한다는 전략을 통해 중심, 근교, 원교 지역의 3단계 산업 공간을 형성했다.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분야의 R&D와 응용 역량을 갖추고 있다. 2. 몐양시(绵阳)몐양은 기간 산업과 특색 산업의 부가가치를 85%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산업체인과 클러스터 집결 효과를 강화하고 있다. 3. 이빈시(宜宾)윈난성과 구이저우성 접경에 위치한 이빈은 국가 및 지역 전략과 긴밀히 연계해 종합 교통 허브 및 남향 개방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4. 더양시(德阳)더양은 농업, 공업, 서비스업의 균형 있는 발전을 통해 클러스터 중심의 산업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5. 난충시(南充)난충은 자동차 및 부품, 화학 신소재 등 경쟁력 있는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며 산업 배치를 조정하고 있다. 6. 루저우시(泸州)루저우는 자원을 경쟁우위 산업으로 집중시키며 혁신과 융합을 촉진해 산업체인과 공급망을 확장하고 있다. 7. 다저우시(达州)다저우는 천연가스, 리튬, 칼륨 등 자원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강화하며 지역 경제 구조를 재편성하고 있다. 8. 네이장시(内江)네이장은 특화 농업, 전통 산업, 신소재와 신재생에너지 등 4+5+5+4 구조로 산업 배치를 특화하고 있다. 9. 쯔궁시(自贡)쯔궁은 중심 도심구와 서브 지역의 발전을 통해 산업 최적화 전략을 실행하며 '1743' 전략으로 클러스터화를 추진하고 있다. 10. 메이산시(眉山)메이산은 첨단 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경제와 산업 현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11. 쑤이닝시(遂宁)쑤이닝은 디지털 경제와 첨단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산업 발전을 이루고 있다. 12. 광안시(广安)광안은 에너지 화학, 첨단 장비 제조, 차세대 IT 등 다양한 산업에서 성과를 거두며 미래 산업 기반을 다지고 있다. 13. 판즈화시(攀枝花)판즈화는 철강∙바나듐∙티타늄 산업의 스마트화와 신재생에너지 융합을 통해 첨단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14. 광위안시(广元)광위안은 알루미늄, 청정에너지, 첨단 중의약 등 7대 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산업 업그레이드를 추진 중이다. 15. 쯔양시(资阳)쯔양은 ‘하나의 축, 두 개의 구, 세 개의 벨트’를 통해 지역 특화 산업 기지를 구축하고 있다. 16. 야안시(雅安)야안은 산업 배치 최적화를 통해 핵심과 날개의 조화를 이루는 발전 구조를 형성했다. 17. 바중시(巴中)바중은 공업과 제조업 중심의 전략으로 도시 경제를 대대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2-25
  • [KIC중국 공동]2024 과학탐구상, 49명의 청년 과학자 명단 발표[시장 인사이트 27]
    [더지엠뉴스] 신지스과학재단(新基石科学基金会)은 2024년 과학탐구상(科学探索奖) 수상자 명단을 8월 26일 발표했다. 이번 명단에는 49명의 청년 과학자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수학 물리학, 화학 신소재, 생명과학 등 10개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과학탐구상은 2018년 설립되었으며, 양전닝(杨振宁), 라오이(饶毅), 스이궁(施一公), 판젠웨이(潘建伟), 셰샤오량(谢晓亮) 등 14명의 저명한 과학자와 텐센트 창립자 마화텅(马化腾)이 공동 발의한 상이다. 수상자에게는 5년 동안 총 300만 위안(약 5억 5천만 원)의 상금이 지급되며, 연구와 개인적 사용에 제한이 없다. 주요 내용 과학탐구상은 수학 물리학, 화학 신소재, 천문∙지구과학, 생명과학, 의학과학, 정보 전자, 에너지 환경, 첨단 제조, 교통 건축, 다학제 융합 등 10개 분야로 나뉜다. 올해부터는 여성 연구원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신청 연령 제한을 45세에서 48세로 완화했다. 이로 인해 이번 수상자 중 7명이 여성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역대 최고 비율인 14%를 기록했다. 분야별 수상자 및 연구 내용 1. 수학 물리학 (6명) 루하이저우(난방커지대학교): 위상 물성의 양자 시공간 기하학 탐구 샨펑(칭화대학교): 정점 대수의 기하학적 표현 이론 연구 샹훙쥔(푸단대학교): 강한 레이저 필드에서 물질의 새로운 상태와 자기전기 결합 성능 연구 양샤오페이(베이징대학교): 다원자 방사성 분자 분광학 기술 개발 야오팡(베이징대학교): 심층 학습과 빅데이터 통계 추론 연구 저우수윈(칭화대학교): 주기적 레이저 필드의 물리적 상태 조절 연구 2. 화학 신소재 (5명) 청췬펑(베이징 항공우주대학교): 고강도 2차원 탄소 나노 복합 소재 연구 판펑타오(중국과학원): 고체-액체 전하 전달 과정의 영상화 연구 류즈보(베이징대학교): 근접 화학 기술과 약물 전달 전략 개발 탄빈(난방커지대학교): 유기 촉매 기반 비대칭 전환 기술 연구 왕보(베이징 공과대학): 생체 모방 구조 내 물질전달 촉매화 메커니즘 연구 3. 생명과학 (4명) 류쥔지에(칭화대학교): RNA와 단백질의 공동 진화 탐구 톈펑(중국농업대학): 옥수수 캐노피 구축을 위한 분자 기초 연구 톈예(중국과학원): 노화 지연을 위한 정밀 개입 전략 개발 옌젠빈(중국 농업과학원): 파클리탁셀 바이오 제조 기술 연구 4. 의학과학 (5명) 초윈룽(베이징대학교): 변이 바이러스 백신 설계 연구 가오챵(푸단대학교): 항원제시 관련 면역 치료 전략 연구 왕펑(중산대학교): 저독성 HDAC 억제제를 통한 면역 치료 연구 이청치(베이징대학교): RNA 편집 기술 연구 주융췬(저장대학교): 병원균 질병 유발 메커니즘 연구 5. 정보 전자 (5명) 팡루(칭화대학교): 광컴퓨팅 및 스마트 영상 기술 연구 선차오(시안교통대학교): 역발상 기반 인공지능의 안보 탐구 왕멍(허페이공과대학교): 심리장애 진단 및 개입 기술 연구 장슈인(화난공과대학교): 밀리미터파 센싱 통합 통신 연구 저우펑(푸단대학교): 초고성능 트랜지스터 및 비휘발성 메모리 연구 6. 기타 분야천문∙지구과학, 에너지 환경, 첨단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들이 선정되었다. 이번 과학탐구상은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을 이끄는 청년 연구자들을 지원하며, 과학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2-24
  • [KIC중국 공동]푸장혁신포럼, "일대일로" 과학 협력과 청년 혁신의 미래를 논하다[시장 인사이트 26-3]
    [더지엠뉴스] 푸장혁신포럼-일대일로 주제전문 포럼이 지난 9월 8일 상하이 장징 과학회당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일대일로" 공동 실험실 구축을 중심 주제로 다루며, 향후 5년 내 100개의 공동 실험실 설립을 목표로 설정했다. 현재까지 중국은 "일대일로" 국가와 함께 53개의 공동 실험실을 설립했으며, 이번 포럼에서는 정부 관계자, 공동 실험실 관리자, 싱크탱크 전문가들이 모여 경험과 도전 과제를 공유하고 미래 계획을 논의했다. 주요 일정 및 내용 1. 주제 강연 포럼은 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세션에서 세계 각국의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강연을 통해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1세션: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의 류둥메이 당위서기가 사회를 맡았으며, 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중국-포르투갈 공동 실험실 관계자들이 발표했다. 2세션: 상하이과학기술관리간부학원의 정팡 원장이 사회를 맡고,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학계 인사들이 참석해 공동 연구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 청년 혁신 포럼(Y-HUBs)올해 처음 개최된 **청년 혁신 포럼(Y-HUBs)**에서는 40세 이하의 청년 혁신가들이 오픈 마이크와 원탁 토론 형식으로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 또한, 《MIT Technology Review》와 협력해 "35세 이하 기술 혁신 35인"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발표식도 진행되었다. 주요 세션 주제 9월 7일: 글로벌 협력을 통한 자원 공유와 지식 교류 방법 논의 9월 8일: "200세를 목표로" 과학 혁신으로 수명 연장 방안 탐구 9월 9일: "스마트 미래"와 "자연을 도시에 녹이다"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도시와 미래 산업 전망 논의 주목할 만한 포럼 달 기지 건설 포럼: 달 탐사와 미래 우주 기지 건설에 대한 청년들의 상상력과 열정을 자극하는 자리로, 달 기지 설계와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푸장혁신포럼은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과 청년 혁신의 가치를 재조명하며, "일대일로"와 연계한 국제적 협력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중요한 자리로 평가받았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2-23
  • [KIC중국 공동]2024 글로벌창업투자대회(WeStart), 창업과 혁신의 글로벌 플랫폼[시장 인사이트 26-2]
    [더지엠뉴스] 2024 글로벌창업투자대회(WeStart)가 오는 9월 7일부터 10일까지 상하이 장장과학회당에서 개최됐다. 이 대회는 푸장포럼(浦江论坛)의 주요 행사 중 하나로, 창업 투자 포럼, 로드쇼 마라톤, 투자 기관 및 프로젝트 전시를 통해 글로벌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대회와 함께 열리는 'TOP100 창업 대회'는 약 2,000개의 기술 창업 프로젝트가 신청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출품한 우수 프로젝트가 다수 포함되어, 혁신 기술의 글로벌 무대를 더욱 빛내고 있다. 9월 7일 열리는 첫 로드쇼인 ‘대학 로드쇼 특별전’에서는 9개 대학의 12개 프로젝트가 생명공학, 신소재, 스마트 제조,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산업을 선보였다. 주요 프로젝트 소개 1. GPCR 혁신 바이오 의약상하이과학기술대학 연구팀은 GPCR 구조 및 항체 약물 연구를 바탕으로 체중 감량과 대사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한 고분자 약물을 개발 중이다. GLP-1, AXX, CXX 수용체 등의 다중 표적 조합 기술이 핵심이다. 2. 보툴리눔톡신 신약 개발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분자 설계를 통해 합성 생물학 생산 공정을 도입한 보툴리눔톡신은 안전성과 생산 효율을 대폭 개선했다. 3. 제로 에너지 냉각 메타물질 코팅상하이이공대학교의 연구는 건물과 전자 장비 등에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환경 친화적 기술을 구현한다. 이는 녹색 도시를 목표로 하는 상하이의 지속 가능성 계획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 스마트 건설 현장 관리상하이공정기술대학교는 사물 인터넷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건설 현장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화재, 졸음, 차량 속도 등을 모니터링하는 전방위적인 관리 기능이 특징이다. 5. 심해 미생물 기반 환경 정화상하이해양대학의 프로젝트는 첨단 미생물 공학과 소재 공학을 통해 수질 및 토양 정화에 기여하는 신제품과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6. 선박 메인 엔진 윤활 최적화상하이해양대학은 다중 데이터 기반의 실린더 윤활 제어 기술을 개발해 선박 엔진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2-22
  • [KIC중국 공동]푸장혁신포럼 2024, 과학기술 협력과 혁신의 장[시장 인사이트 26-1]
    주요 행사 부대 행사 중국 최초의 과학기술 기업 엑스포로, 혁신 수요와 인재, 자본을 연결하며 기술 교류를 촉진한다.이번 엑스포는 ‘1+3+365’ 플랫폼을 통해 연중 기술 교류와 자원 공유를 지원하며, 글로벌 기업을 상하이로 유치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글로벌 창업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창업 투자 포럼과 로드쇼 마라톤 등을 통해 혁신 기업을 지원한다. TOP100 창업 대회에서는 대학과 연구기관의 우수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일대일로 국가들과 공동 실험실 구축을 목표로 하며, 현재 53개의 공동 실험실을 5년 내에 100개로 확대하는 계획을 논의한다. 40세 이하의 청년 혁신가들이 참여하며, 《MIT Technology Review》와 협력해 ‘35세 이하 기술 혁신 35인’ 아시아태평양 지역 발표식을 진행한다.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는 이번 포럼에서 한중과기혁신기업가포럼을 주최하며, 한중 간 기술 교류와 협력 기회를 확대한다. 푸장혁신포럼은 글로벌 기술 협력과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과학기술 발전과 협력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2-18
  • [KIC중국 공동]웨강아오지역(粤港澳大湾区) 경제 분석 [시장 인사이트 25]
    -베이징대학 HSBC 경영대학원의 추산에 따르면 2기 웨강아오지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약 3.6%로, 광둥성(3.5%)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다만 1분기 GDP 성장률(4.68%)에 미치지 못했다. - 다완구 상반기 GDP 성장률은 약 4%로, 광둥성(3.9%)보다는 약간 높은 수치로 기록됐지만, 전국 성장률(5%)보다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더지엠뉴스] 웨강아오지역은 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 광둥성의 광저우시, 선전시, 주하이시, 포산시, 후이저우시, 둥관시, 중산시, 장먼시, 자오칭시 등 총 9개 도시와 2개의 특별행정구가 포함된다. 여기서 9개 도시란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한 9개 도시를 뜻한다. 1) 주강삼각주 9개 주요 도시 GDP *9개 도시 대부분 4% 이상의 산업 증가율 기록, 반면 광저우(广州)와 포산(佛山)은 제로에 가까운 성장 기록했다, -2024년 4월~5월 주강삼각주(珠三角) 9개 도시의 누적 산업 증가율는 1분기(1월과 2월)대비 하향 조정되었으나, 지난해 월별 수치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도시별로 보면 1월~5월 선전(深圳), 둥관(东莞), 후이저우(惠州), 주하이(珠海)의 산업 증가율은 각각 12.3%, 11.5%, 10.3%, 11.1%를 각각 달성했다 -중산(中山), 장먼(江门), 자오칭(肇庆)의 산업 증가율은 각각 7.4%, 6.1%, 4.7%로, 2023년 각 월별에 비해 안정적인 증가세 보였다. -현재 광저우의 산업 증가율은 0.7%에 불과해 2023년의 마이너스 성장이 재현 예상된다. 포산(佛山)은 연초 성장율 1.2% 달성 후 현재까지 후속 데이터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선전, 둥관, 후이저우, 주하이의 산업 생산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전자 산업의 호황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AI가 스마트폰 및 PC 제품의 혁신을 촉진하면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했고, 다운스트림 전자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업스트림 전자 부품의 회복 속도를 높였다. -지난해 4분기부터 시작된 전자 산업의 회복세가 올해 2분기에도 이어지면서, 2024년 내내 강력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선전의 규모이상 컴퓨터, 통신,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은 18.4% 성장했으며, 전자 부품 및 제품의 생산량은 각각 32.4%로 집계됐다. -둥관의 전자정보 제조업 증가율은 21.7%로, 스마트워치, 라우터, 집적회로, 5G 스마트폰 등의 제품 생산량은 각각 185.2%, 115.7%, 65.0%, 42.6% 증가가했다. -후이저우(惠州)의 전자 산업 증가율은 13.3%로, 스마트폰과 LCD 액정 디스플레이 등 제품 생산량은 각각 75.8%, 51.1% 성장했다. -주하이의 집적회로와 스마트 가전 산업 증가율은 각각 26.1%, 20.7% 발전했다. *자동차 제조업, 섬유 의류업, 전문 장비 제조업은 저조한 생산율을 보임였다. -광저우의 1월~5월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동기비 19.9% 감소했으며, 메인 기업인 광치그룹(广汽集团)의 5월 자동차 생산량은 139,994대로, 전년비 37.62% 감소했다. -포산의 두 대형 산업 클러스터인 가구 산업과 장비 제조업은 부동산 침체의 영향을 받았으며, 금속 제품업, 도자기 압축기 등 전문 장비 제조업, 고무·플라스틱 제품업 등 산업 증가율이 각각 서로 다른 수준의 감소세를 보였다. -메인 기업인 커다제조(科达制造)의 올해 1분기 모회사 순이익은 전년비 22.6% 감소했다. *절반 이상의 도시에서 고정자산투자 마이너스 성장하고 후이저우는 -18%p 이상의 감소를 기록했다. -2024년 4월~5월 주강삼각주 도시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전반적인 하락세였다. -선전, 중산, 둥관, 광저우는 연초 13%, 17.1%, 6.5%, 3.8%에서 각각 9.1%, 6.3%, 0.7%, 1.2%로 감소했다. -후이저우, 주하이, 장먼, 자오칭은 큰 폭의 하락을 보이며 마이너스 성장에 진입했고, 성장률은 연초 3%, 4.6%, 0.6%, 3.7%에서 -15.2%, -6.4%, -8.9%, -6%로 하락했다. -포산은 2023년 4월부터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며, 성장률이 -12.2%까지 추가 하락했다. *민간 투자 및 외국인 투자 큰폭 감소, 반면 자오칭의 외국인 투자는 24 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선전 민간투자는 3월 10.8%에서 5월 -5.8%로 감소했고, 후이저우는 –25.4%로 급락했다. -장먼과 자오칭의 민간 투자 증가율은 각각 -0.8%와 -5.4%를 기록했으며, 광둥성 전체의 민간 투자 증가율은 –3.3%였다. - 2024년 4월~5월 주강삼각주 대부분의 도시에서 외국인직접투자(FDI·실제투자기준) 유치액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선전은 지난해 8월부터 마이너스 성장에 접어들면서 현재 –47.8% 하락했다. -포산, 둥관, 후이저우의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 역시 각각 -56%, -45%, -7.6%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자오칭시1만 외국인직접투자는 성장세를 보이며, 2022년 3월 이후 24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2024년 초 자오칭의 외국인직접투자(FDI·실제투자기준) 유치액은 장삼각주 도시 가운데 가장 낮은 0.59억 위안에 불과했으나, 5월에는 7.14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사회소비재소매총액 성장은 지속적인 하락세, 광저우와 선전 증가율은 각각 2% 미만 기록했다. -5월 후이저우의 성장률(4.1%)은 성 전체 평균(2.1%)과 전국 평균(4.1%)을 상회했으나, 기타 도시들은 모두 부진한 성장세를 보였다. -중산과 포산은 각각 2.6%와 2.4%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성 전체 평균을 소폭 초과했으며 광저우, 둥관, 선전, 자오칭, 장먼, 주하이의 성장률은 각각 2%, 2%, 1.8%, 1.7%, 1.1%, 0.9%를 기록했다. -광저우와 선전은 광둥성 소비의 각각 24%와 21% 비중을 차지하며, 오랫동안 광둥성의 소비에 크게 기여해왔기 때문에 두 지역의 소비 둔화는 광둥성 전체 소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수출입은 전반적으로 고성장세 -수출의 경우 5월 누적 성장률 10.7%, 수입은 19.2%를 기록했. 선전은 성장률 20% 초과함녀서 기여도 50%를 달성했다. 2) 홍콩 및 마카오 *홍콩 -관광 분야 안정적 운영, 부동산 분야 규제완화 효과 감소, 상품무역은 회복세 - 2024년 4~6월 기간 동안, 홍콩을 방문한 관광객 수는 각각 339만명, 340만명, 313만명으로, 3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마카오 -관광업과 카지노 산업 안정적 성장, 헝친(横琴) 개방 영향 2024년 4월, 5월, 6월 마카오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각각 260만명, 269만명, 256만명으로, 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기록됐다. ‘5.1절’ 연휴 기간 관광객은 약 60.5만 명으로 전년비 23.2% 증가했고, 일평균 관광객 수는 12.1만명로 집계됐다. 3) 2024 년 3분기 경제 전망 *특별채(专项债) 집중 발행으로 투자 안전 보장, 산업기술 개조 전망 밝음 -최근 광둥성 재정청(广东省财政厅)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4년 3분기 광둥성 정부 채권 발행 계획(2024年广东省政府债券三季度发行计划的公告)’을 발표하였으며, 1,612.4억 위안의 특별채(专项债)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중 신규 발행 특별채는 1,525.9억 위안 규모, 특별재융자채권은 86.5 억 위안 규모에 달함; 3분기 특별채의 집중 발행은 인프라 투자에 강력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며, 고정자산투자, 특히 3차 산업의 투자에 안전을 보장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2차 산업 투자 분야에서는 산업 기술 개조 및 장비 교체가 중점일 것으로 관측됐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0-22
  • [KIC중국 공동]비야디의 도시, 선전-차오산 특별협력구 [시장 인사이트 24]
    [더지엠뉴스] 선전-차오산특별협력구(深汕特别合作区·선산특별협력구)는 광둥성의 특별협력구로, 웨강아오대완구(粤港澳大湾区)의 가장 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주강삼각주 평원(珠三角平原)과 차오산평원(潮汕平原) 사이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선산(深汕)에서 60km 떨어져 있다. 서쪽으로는 후이저우시(惠州)와, 동쪽으로는 산웨이시(汕尾)와 남쪽으로는 남해 훙하이완(红海湾)과 인접한다. 이곳은 중국 최초의 특별협력구로, 2011년에 설립됐으며 총 면적은 468.3 ㎢에 달한다. 2018년 12월 16일 선산특별협력구가 공식 출범한 후 7년 이상의 건설 및 발전 과정을 거쳐 선전시(深圳)의 ‘10+1구’로 승격됐다. 최근 선산특별협력구는 신재생에너지 저장 산업, 소재 산업, 스마트 제조 로봇 산업을 서브로 하는 ‘1개의 메인, 3개의 서브’ 산업 클러스터 판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2024년 상반기 선산특별협력구의 지역 국내총생산(GDP)은 100.65억 위안으로 전년비 65% 증가했다. 이 가운데 1차 산업 부가가치는 4.66 억위안으로, 전년비 16.2% 감소했으며, 2차 산업 부가가치는 77.04억 위안으로 153.9% 늘었다. 3차 산업 부가가치는 18.95억 위안으로 15.0% 축소됐다. 산업별로 보면, 특히 자동차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1554.5% 증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투자 측면에서 상반기 선산 전체 구(区)의 고정 투자액은 전년비 11.3% 증가했다. 인프라 투자는 둔화돼 28.1% 감소했다. 산업 투자는 45.6% 늘었으며, 스마트 제조 관련 분야 투자가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그 중 첨단기술 제조업 투자는 124.3% 확대됐고, 전자통신 장비 제조업 투자는 148.4% 증가했다. 소비 측면에서 보면 상반기 선산 전체 구(区)의 사회 소비재 리테일 총액은 16.35억 위안으로, 전년비 0.3% 증가했다. 한도액 이상 도소매업 기업은 빠른 성장을 구가했으며, 매출은 10.78억 위안으로 전년비 9.1%, 소매액은 전년비 81.0% 각각 늘었다. 산업 발전 현황 선산특별협력구는 비야디를 포함한 20개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기업을 유치해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를 핵심으로 하는 산업 클러스터를 빠르게 구축했다. 이는 지역 경제 발전에 중요한 추진력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광둥성 및 중국 전체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산업 구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선산 비야디 자동차 산업단지(深汕比亚迪汽车工业园)는 선산특별협력구가 유치한 중요 프로젝트다. 이 산업단지는 선산특별협력구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프로젝트는 선산특별협력구 내에 위치하며, 1기 및 2기 프로젝트의 총 투자액은 250억 위안에 달한다. 프로젝트 출범 후 1기는 주로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부품 제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2023년 12월 공식 생산에 돌입했고, 2기는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완성차 제조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미 생산 목표를 달성했다. 전체 생산이 완료되면 연간 생산액은 21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5.4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7월 8일 ‘2024년 선전시 선산특별협력구 산업 투자 회의(2024深圳市深汕特别合作区产业投资大会)’에서 비야디와 선산특별협력구는 비야디 자동차 산업단지 3기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으며, 총 투자액은 65억 위안에 달하고, 배터리 팩 라인 및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핵심 부품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라 밝혔다. 비야디 등 선도 기업의 역할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업·다운스트림 기업들이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선산에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징시중궁(京西重工), 리진커지(力劲科技), 둥펑리얼(东风李尔), 포지야(佛吉亚), 비후커지(壁虎科技), 옌펑궈지(延锋国际) 등 20개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이곳에 입주해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0-21
  • [KIC중국 공동]우한 바이오 산업 클러스터 ‘1성1단지3구’ [시장 인사이트 23]
    [더지엠뉴스-thegmnews] 우한(武汉)은 2019년 ‘우한시 대건강 산업 발전 계획(2019-2035년)(武汉市大健康产业发展规划, 2019-2035年)’과 ‘우한시 대건강 산업 발전 지원에 관한 의견(武汉市关于支持大健康产业发展的若干意见)을 발표하면서 ‘1성1단지3구(一城一园三区)’ 배치를 제안했다. 이 전략에서 ‘1성(一城)’은 광구 바이오성(光谷生物城)을 가리키며, ‘1단지(一园)는 광구난 대건강 산업단지(光谷南大健康产业园)를 뜻한다. 또 ‘3구(三区)’는 한양 대건강 산업 발전구(汉阳大健康产业发展区), 환퉁지-쉐허 국가 의료 서비스구(环同济—协和国家医疗服务区), 우한 창장 신도시 국제의학혁신구(武汉长江新城国际医学创新区)를 일컫는다. 광구 바이오성(光谷生物城) 광구 바이오성은 우한 둥후 국가자주혁신시범구(武汉东湖国家自主创新示范区)에 위치해 있으며, 중국 광구의 두 번째 국가급 산업 기지다. 2008년 11월 착공된 광구 바이오성은 바이오 의약, 바이오의학 공학, 바이오 농업, 정밀진단, 스마트 의료, 바이오 서비스 등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바이오 혁신 단지, 바이오 의약 단지, 바이오 농업 단지, 의료기기 단지, 의학 건강 단지, 스마트 건강 단지를 구축했다. 현재 바이오 건강 단지를 적극적으로 건설 중이며, 연구개발, 인큐베이션, 생산, 물류, 생활이 통합된 바이오 산업 신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광구 바이오성은 설립 15년 만에 중국 중부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혁신 역량이 가장 넓고 산업 분야가 가장 완비된 바이오 산업 단지로 성장했다. 3000여 개 기업을 유치했고, 다수의 혁신 성과를 배출했으며,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 조절식 캡슐 내시경, 단백질 3D 구조 비교 소프트웨어 등 세계적인 우수 성과를 창출했다. 광구난 대건강 산업단지(光谷南大健康产业园) 광구난 대건강 산업단지은 장샤구(江夏区)에 위치하며, 계획 면적은 85 Km2에 달한다. 2019년부터 건설에 돌입하였으며, ‘1단지3구(一园三区), 산업과 도시의 융합, 의약과 의료기기의 융합, 의료와 양로의 융합’이라는 산업적 역할에 맞춰, 정뎬 대건강 산업 종합구(郑店大健康产业综合区), 먀오산 의료기기 보완구(庙山医疗器械补充区), 우리졔 건강 요양 특색구(五里界健康养老特色区)의 3가지 테마를 명확히 설정하고, 상호 협업하며, 기능이 뚜렷한 산업 클러스터구를 조성했다. 광구난 대건강 산업단지는 향후 10년간의 노력을 통해 대건강 대기업 100개 사를 유치하고, 100억 위안의 세수를 달성하며,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 의료기기, 건강 요양, 건강 금융, 건강 서비스 등천억 위안 규모의 산업 클러스터 5개 구축하고, 5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면서 우한시가 다섯 번째 국가급 산업 기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한양 대건강 산업 발전구(汉阳大健康产业发展区) 한양 대건강 산업 발전구는 한양구(汉阳)에 위치하며, ‘1 개의 벨리(룽양후 건강밸리(龙阳湖健康谷)) 2개의 구(타이캉 국제 병원구(泰康国际医院区)와 ‘황진구 도시 산업단지구(黄金口都市工业园区))의 발전 구도를 형성했다. 의약 유통 및 중의약 분야에서 한양구가 가진 특성과 장점을 충분히 활용해 지우저우퉁(九州通), 젠민야오예(健民药业) 등 선도 기업의 지도적 역할을 발휘하여, 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을 의약 유통, 의료 서비스, 건강 요양 등 산업에 적용시키고, 건강 금융 클러스터구를 혁신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도시 전체 및 중국 전역을 대표하는 ‘인터넷+대건강’ 종 합 시범구를 구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환퉁지-쉐허 국가 의료 서비스구(环同济—协和国家医疗服务区) 환퉁지-쉐허 국가 의료 서비스구는 차오커우구(硚口)와 장한구(江汉)의 접경 지역에 위치하며, 퉁지병원(同济医院), 쉐허병원(协和医院) 등 우한시 최고의 3갑(甲) 병원 2곳을 기반으로, 새로운 의료 보건 서비스를 메인으로, 재활 케어, 건강 관리, 건강 금융을 서브로 하는 ‘의료 건강 서비스 선행 시범구’를 구축한다. 병원의 임상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바이오의약 및 의료기기 산업의 연구 개발, 성과 전환, 응용 등 단계에서 핵심적인 지원 역할을 수행하며, 주변 지역의 의약 소매, 재활 요양, 건강 양생 등 산업의 클러스터 발전을 촉진시키고, 도시 중심구 대건강 시스템의 전면적인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자 한다. 우한 창장 신도시 국제의학혁신구(武汉长江新城国际医学创新区) 우한 창장 신도시 국제의학혁신구는 후베이(湖北)성을 기반으로, 의료, 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첨단 의료 산업을 발전시키며, 의료, 교육, 연구와 예방 보건, 건강 관광, 재활 요양을 통합한 현대적이고 높은 인지도와 매력을 지닌 글로벌 종합 의학 혁신구를 구축하여, 우한 창장 신도시를 창장 경제 벨트 대건강 산업 발전의 중심지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 기업
    • 시장 인사이트
    2024-10-1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