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중국 항저우(杭州)에 본사를 둔 **셴린 3D(先临三维, Xianlin Sanwei)**는 고정밀 3D 스캐닝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기술 혁신 기업이다. 2004년 설립 이후 이 기업은 3D 비전 기술의 개척자라는 별명을 얻으며, 중국 내에서 ‘작은 거인 기업’으로 선정되었고, 국가급 제조업 강소기업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셴린 3D는 3D 스캐너, 소프트웨어, 프린터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며, 자동차·항공·에너지·전자산업뿐 아니라 치과·의료·교육 분야까지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가장 큰 강점은 자체 개발한 고정밀 광학 3D 스캐너다. 산업용 스캐너는 정밀도와 속도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며, 복잡한 부품의 치수 측정, 품질 검사, 역설계 등에 필수적인 장비로 자리잡았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제조사, 항공기 엔진 부품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 기술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셴린 3D는 치과 분야에서도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구강 내 3D 스캐너, 치과용 데스크탑 스캐너, 정밀 3D 프린터 등 디지털 치의학 솔루션은 이미 전 세계 100여 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더지엠뉴스] 중국 광둥성에 본사를 둔 **현대치과(现代牙科, Xiandai Yake)**가 전 세계 치과 산업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의치 장비 제조 분야에서 이 기업은 단순한 생산업체를 넘어, 글로벌 기술 주도권을 가진 혁신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1993년 설립된 현대치과는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홍콩 증시에 상장된 세계적 수준의 치과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특히 의치 제작 장비와 관련된 기술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전 세계 13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주요 제품군은 인공치아 제작 시스템, 디지털 치과 솔루션, 치과용 소재 등으로, 완전한 수직통합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현대치과는 특히 CAD/CAM 기반 디지털 의치 제작 장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수작업 중심 의치 제작 과정을 자동화·정밀화하면서 전 세계 치과 기공소와 병원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회사는 중국, 유럽, 미국 등지에 R&D 센터와 생산 기지를 분산 배치해, 글로벌 고객의 요구에 맞춘 제품을 빠르게 공급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3,000곳 이상의 유통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으
[더지엠뉴스] 2024년 1월 기준, 전 세계 유니콘 기업의 분포를 살펴보면 미국과 중국이 여전히 양강 구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도시 단위로도 이러한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세계에서 유니콘 기업이 가장 많은 도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였다. 샌프란시스코는 단일 도시에서만 184개의 유니콘 기업이 활동 중인 것으로 집계돼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 지역은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수십 년간 테크 기반 창업 생태계를 발전시켜 왔으며, 인공지능(AI), 핀테크, SaaS, 헬스케어 분야의 글로벌 유니콘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2위는 중국 베이징이었다. 베이징은 총 105개의 유니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중국의 수도이자 최대의 정치·과학기술 허브인 베이징은 바이두, 즈이추안(智谱AI), 유니보트(优必选) 등 국가 전략 기술 기업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이 유니콘 생태계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3위는 상하이로, 총 55개의 유니콘 기업이 있다. 상하이는 금융, 스마트 제조,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글로벌 벤처캐피털이 선호하는 투자처로 자리잡고 있다. 이어서 4위는 미국 뉴욕으로 54개, 5위는 영국 런던
[더지엠뉴스] 중국의 첨단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기술 기업 보루이캉(博睿康科技, Boruikang)이 신경과학 및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내고 있다. 이 기업은 뇌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최첨단 장비를 개발하며, 의료 및 학술 연구 기관과 협력해 BMI 기술을 실용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보루이캉은 칭화대학, 중국과학원, 베이징사범대학, 베이징항공항천대학, 저장대학, 상하이교통대학 등 중국의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고 있으며, 베이징대학 제3병원, 쉬안우병원, 화산병원, 301병원 등 대형 의료기관에도 관련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BMI 기술 개발 및 연구 성과 보루이캉은 현재까지 17건의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생산허가증과 의료기기 등록증을 획득했다. 또한, 중국 정부의 12차 5개년 계획의 ‘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미약한 뇌 신호 수집 기술 및 제품 개발’ 과제를 수행했으며, 13차 5개년 계획의 ‘알츠하이머병 신경 조절 및 스마트 재활 핵심 기술과 임상 응용 연구’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특히, 보루이캉은 세계 로봇 대회 ‘뇌-기계 인터페이스 대회’의 공동 주최자로 3년 연속 공식 장비 공급사로 선정되
[더지엠뉴스] 중국의 대표적인 신약 및 신소재 연구개발 기업 징타이테크(晶泰科技)가 인공지능(AI), 양자 물리학, 로봇 자동화 기술을 결합한 연구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신약 후보 물질 발굴과 신소재 개발을 혁신적으로 단축하며, 약물 설계 및 소재 연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첨단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징타이테크는 2015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출신 물리학자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사 및 소재 과학 기업과 협력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AI 기반 연구 플랫폼과 자동화 스마트 실험실을 활용해 신약 개발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있다. AI·양자 물리학 기반 신약 연구… 신속한 신약 후보 물질 탐색 AI와 양자 물리학을 결합한 연구개발 플랫폼을 통해 신약 후보 물질 탐색과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다. 징타이테크는 AI 기반 신약 탐색 플랫폼 ID4Idea™를 활용해 200개 이상의 AI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분자 구조 예측 및 최적화를 자동화해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있다. ID4Gibbs™는 고정밀 계산화학 플랫폼으로, 양자역학과 분자역학을 결합해 신약 개발의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단
[더지엠뉴스]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 부품 제조 기업인 리쉰정밀(立讯精密)이 소비자 전자, 자동차, 통신 산업에서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AR/VR 장비, 음향 모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필수적인 부품을 생산하며 글로벌 주요 브랜드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리쉰정밀은 자동차 산업에서도 전장 부품 공급을 강화하고 있다. 자동차 와이어 하니스, 인텔리전트 캐빈, 스마트 주행 보조 시스템 등 다양한 부품을 공급하며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통신 부문에서는 5G 기지국 안테나, 광 모듈, 고속 인터커넥션 기술을 통해 글로벌 통신 인프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 리쉰정밀의 매출은 1,035.98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전년 대비 5.74% 증가했다. 소비자 전자 부문이 전체 매출의 82.58%를 차지하며 855.48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통신 부문 매출은 74.65억 위안, 자동차 부문 매출은 47.56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리쉰정밀은 AI 기반 스마트 제조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생산 자동화 및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정 최적화를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더지엠뉴스] 뤄양몰리브덴(洛阳钼业)은 1969년 설립된 중국의 대표적인 비철금속 채광 및 가공 기업으로, 몰리브덴, 구리, 코발트, 텅스텐, 니오븀 등의 생산을 주력으로 한다. 2007년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데 이어, 2012년에는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이 기업은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브라질에서는 주요 인산 비료 생산업체로 자리 잡았고, 글로벌 금속 무역 시장에서도 강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2024년 <포춘> 중국 500대 기업 중 145위, <포브스> 글로벌 2000대 상장 기업 중 621위에 선정됐으며, PwC 글로벌 40대 광업 상장 기업 중 24위에 올랐다. 뤄양몰리브덴은 최근 몇 년간 대규모 인수·합병을 통해 광물 자원 확보에 주력해왔다. 2016년에는 26.5억 달러를 투자해 콩고의 구리·코발트 광산 TFM 지분을 인수했고, 2018년에는 5.18억 달러로 IXM의 100% 지분을 확보하며 금속 무역 사업을 강화했다. 2024년 6월에는 TFM 혼합광물 프로젝트의 생산라인 3곳이 '이중 기준'을 달성하며 운영 단계에 진입했다. 2024년 상반기 실적에서도
[더지엠뉴스] 세그웨이나인봇(Segway-Ninebot, 九号公司)은 단거리 교통수단과 로봇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첨단 기술 기업으로, 나인봇(Ninebot)과 세그웨이(Segway)라는 두 개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2012년 중국 베이징에서 설립된 이 기업은 아시아태평양, 유럽, 아메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세계 100여 개 국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베이징, 창저우, 선전, 항저우, 하이난뿐만 아니라 서울, 암스테르담, 파리, 바르셀로나, 시애틀, 로스앤젤레스 등 주요 도시에 자회사 및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세그웨이나인봇은 연구개발, 생산, 판매, 서비스까지 통합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으로, 총 4,148건의 글로벌 지재권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전동 이동수단, 로봇,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023년에는 ‘년도 브랜드 가치 전달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1월 18일에는 CCTV에서 ‘년도 혁신 모델’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세그웨이나인봇은 2020년 10월 29일 중국 증시 과학혁신판(科创板, 커촹반)에 상장되었으며, 'VIE+CDR 첫 주식'으로 주목을 받
사진=KIC중국 [더지엠뉴스] 중관춘산업정보화 QR 코드기술연구원(ZIIOT)이 글로벌 식별코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거두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원은 2018년 8월 1일 국제표준화기구(ISO), 유럽표준위원회(CEN), 국제자동인식 및 모바일기술협회(AIM) 등 3대 국제 기구의 승인을 받아 글로벌 코드 발행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연구원은 ISO/IEC 15459 시리즈 국제 표준에 따라 MA 식별코드 시스템을 관리하며, 글로벌 루트 서비스 시스템과 등록 분석을 위한 최고 수준의 노드를 구축하여 전 세계에 코드를 발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글로벌 루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산업별로 차별화된 코드를 발급해 각 분야의 디지털 신원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중관춘산업정보화 QR 코드기술연구원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협력하여 MA 식별코드 시스템을 확장하고 있다. 중국산업인터넷연구원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MA 산업 인터넷 루트 분석 노드를 구축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인터넷의 데이터 흐름과 관리가 보다 체계화됐다. 의료 분야에서도 눈에 띄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이 공인한 유일한 의료기기 식별코드(U
[더지엠뉴스] 2024년 중국 대도시 랭킹이 발표되면서 각 도시의 경제적 역량과 발전 수준이 주목받고 있다. 2024년 8월 28일 발표된 <중국 대도시 지수(제 2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주요 대도시는 노동생산성, 토지생산성, 자본생산성, 만 명당 발명특허 보유량, 인재 비율, 시가총액 100억 위안 이상 기업 수, 도시 디지털화 발전 수준, 1인당 가처분소득, 환경 공기질, 1인당 일반 공공 예산 지출의 10가지 지표로 평가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연 GDP 5,000억 위안 이상을 기록한 대도시는 총 59개로, 이는 2021년 대비 5개 도시가 증가한 수치다. GDP 1조 위안 이상을 기록한 도시는 26개로 늘어났다. 이들 도시는 중국 전체 GDP의 57.5%를 차지하며, 경제 성장 기여도는 60.48%에 달했다. 1인당 GDP 기준으로 59개 도시 중 48개 도시가 전국 평균을 초과하며, 중위값은 122,798 위안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장강삼각주 도시군이 19개 도시를 포함하며 가장 많은 대도시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강삼각주와 징진지 도시군이 뒤를 이었다. 선전은 자본생산성, 특허 보유량, 디지털화 수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