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연구팀이 에이즈 백신의 임상 1상 시험을 마쳤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중국 본토에서 진행된 최초의 백시니아 벡터 기반 HIV 백신 임상 성공 사례로 기록된다. 5일 중국 매체 북징르바오(北京日报, Beijing Daily)와 차이롄서(财联社, Cailianpress)에 따르면,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中国疾病预防控制中心) 산하 에이즈예방통제센터는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운반체로 사용한 재조합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해, 건강한 피험자 48명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했다. 백신은 에이즈의 원인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대해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으며, 참가자들로부터 뚜렷한 안전성도 확보했다는 평가다.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임상 2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에이즈 백신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분야다. 북징르바오에 따르면 지금까지 300여 건의 후보물질이 임상에 들어갔지만, 면역 유도력 부족으로 대부분 중단됐다. HIV는 변이율이 매우 높고 바이러스 구조가 복잡해, 기존 백신 플랫폼으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4년 말 기준 전 세계 HIV 보균자가 약 4,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미국에서 한때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던 감염병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의료계는 특정 주를 중심으로 급격히 퍼지고 있는 확산세에 비상이 걸렸다. 9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보고된 감염 사례가 150건을 넘어섰다. 이는 1992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문제가 된 주는 텍사스로, 전체 환자의 40% 이상이 이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CDC는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점과 지역 내 보건 당국의 대응 지연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텍사스에서는 어린 자녀에게 백신을 맞히지 않으려는 부모들의 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종교적·철학적 사유로 백신을 거부하는 ‘비의무 면제자’가 10년 전보다 6배 가까이 증가했다. 미국에서 이 감염병은 2000년대 초 공식적으로 박멸 선언이 내려진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새 백신 불신과 음모론의 확산,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 저하가 맞물리며 방역의 빈틈이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뉴욕, 일리노이, 플로리다 등에서도 산발적으로 유사 사례가 보고됐다. 특히 어린이 환자들이 다수를 차지해,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긴급 폐쇄도 이어졌다. CDC는 모든
[더지엠뉴스] 인도의 신성한 강으로 불리는 갠지스강이 대규모 종교 행사 이후 심각한 수질 오염 문제에 직면했다. 최근 환경당국이 실시한 수질 검사에서 대변 박테리아 수치가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순례자들과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인도 환경산림기후변화부 산하 중앙오염관리위원회(CPCB)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일(현지시각) 갠지스강 주요 지점에서 실시된 수질 검사 결과, 대변성 대장균 수치가 기준치(100㎖당 2500 유닛)의 4배를 넘어서며 최고 1만1000 유닛까지 치솟았다. 특히, 이 수치는 힌두교 최대 축제 중 하나인 ‘마하 쿰브 멜라’가 진행된 기간 동안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축제에서는 수백만 명의 신도들이 강에 몸을 담그며 종교 의식을 치르는 것이 전통이다. 전문가들은 강물 속 높은 박테리아 농도가 수인성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이 오염된 강물을 식수 및 조리용수로 사용하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인도 정부는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정화 작업을 진행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