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유럽연합을 향해 “지정학적 경쟁 상대가 아닌 전략적 협력 파트너”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세계 질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베이징은 ‘50년 관계’라는 이정표를 디딤돌 삼아 유럽과의 균형 재정립을 시도했다. 2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제25차 중EU 정상회담에서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이사회 의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집행위원장과 회동을 갖고 중유럽 관계의 3대 원칙을 제시했다. 시 주석은 먼저 “서로 다른 제도와 문화를 이유로 관계를 재단해선 안 된다”며, 체제 차이가 협력의 장벽이 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평화와 협력을 추구하는 국가이며, 유럽 역시 다극화 세계의 한 축으로서 존중받아야 할 존재”라며,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을 지지하고, 중국 역시 주권과 핵심 이익을 존중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유럽 사이에 근본적 이익 충돌이나 지정학적 적대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협력이 경쟁보다 크고, 공감대가 갈등보다 많다”고 덧붙였다. 그는 개방과 협력 관련, “상호 의존은 리스크가 아니라 기회”라며, 일부 서방 국가들이 주장하는 ‘탈동
[더지엠뉴스]시진핑 국가주석은 23일 ‘기후와 공정 전환 정상회의’ 영상 연설을 통해 다자주의 원칙과 공동의 녹색 전환 책임을 강조하며, 중국의 지속적인 기후 행동 의지를 밝혔다. 올해는 파리협정 채택 10주년이자 유엔 창립 80주년이다. 시 주석은 “세계가 심각한 기후변화와 복잡한 국제정세 속에서 새로운 전환점에 놓여 있다”며, “일부 국가의 일방주의와 보호주의는 국제 질서를 해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녹색 전환을 위한 4대 실천 방향으로 ▲다자주의 원칙 준수 ▲국제협력 확대 ▲공정 전환 추진 ▲실효적 행동 강화를 제시했다. 시 주석은 유엔 중심의 국제질서와 국제법 기반의 규범 체계를 수호해야 하며, 기후 위기를 공동의 법적·제도적 틀 안에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그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기술·산업 협력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며, 중국은 남남협력의 틀 속에서 개발도상국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 주석은 민생 향상과 기후정책의 병행 추진을 강조하며, 공정한 전환의 핵심에는 국민 복지가 놓여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중국은 환경보호,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 빈곤 퇴치 등 다양한 목표를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