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왕이(王毅, Wang Yi) 중국 외교부장이 파리를 찾았다. 프랑스 외무장관과 마주 앉은 그는 복잡한 세계 정세를 언급하며, "중국과 프랑스는 흔들리는 국제질서에서 책임 있는 축을 함께 지탱해야 한다"고 말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4일 왕이 부장은 파리에서 스테판 세주르네(Stephane Sejourne) 프랑스 외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중프 고위급 인문교류기제 제7차 회의를 공동 주재했다. 이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그는 외교, 통상, 인문, 다자 시스템 전반에 걸쳐 양국이 협력할 새로운 틀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무엇보다 ‘전략적 신뢰’와 ‘독립적 외교’라는 표현을 반복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양국의 위상을 부각했다. 그는 “불안정한 시대일수록 책임 있는 국가가 중심을 잡아야 한다”며, 프랑스가 재차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인한 데 대해 직접적인 감사를 전했다. 경제 분야에선 다소 강한 어조도 나왔다. “일부 국가들이 경제 협력을 자국 우선주의와 안보 논리로 왜곡하고 있다”는 왕 부장의 발언은 미국의 경제정책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관세를 무기화하고 탈동조화(dec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유럽연합(EU)과의 외교 관계 수립 50주년을 맞아 고위급 외교 채널을 전면 가동한다. 중국 외교부장 왕이(王毅, Wang Yi)는 30일부터 벨기에, 독일, 프랑스를 순차 방문하며, 중·EU 전략대화와 양자 안보 협의를 포함한 다층적 외교 일정에 돌입한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부장은 이날부터 오는 6일까지 브뤼셀 EU 본부에서 제13차 중·EU 고위급 전략대화를 개최하고, 독일에서는 제8차 중·독 외교·안보 전략대화를, 프랑스에서는 외교장관 회담과 함께 ‘중·불 인문교류 고위급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벨기에 총리 바르트 더베버(Bart De Wever), 외무장관 막심 프레보(Maxime Prévot)와도 각각 면담이 예정돼 있다. 외교부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이번 방문이 “지난 50년간 축적된 중·EU 협력 경험을 정리하고, 향후 지도자 간 상호작용의 정치적 기반을 다지기 위한 계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유럽을 동반자로 간주하며,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공감대를 형성해 이견을 관리하고, 다자주의 체제를 함께 수호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순방은 특히 EU 집행위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중일 3국이 지역 안정과 공동 번영을 위해 연대의 메시지를 강조하는 외교 현장이 서울 한복판에서 펼쳐졌다. 청년 교류와 문화 협력이 어우러진 이 자리는 다자협력의 미래를 함께 그리는 상징적인 순간이기도 했다. 9일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邸炳, Dai Bing)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달 30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중일한 협력의 날(TCS DAY)’ 행사에 참석해 “세 나라는 아시아·태평양의 핵심 국가이자 세계 경제를 이끄는 주요 파트너”라며 “수교의 초심을 지키며 미래 지향적 협력을 더욱 심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이희섭 중일한 3국 협력사무국(TCS) 사무총장, 정기홍 한국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도 함께 자리했으며, 각국 대표들은 각각 중국어·한국어·일본어로 ‘2025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된 ‘미래(未来)’를 붓글씨로 써 내려가며 3국 협력 의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행사장에는 청년 문화 공연과 함께 3국의 문화 홍보 부스도 마련되어 시민들과 외국인 방문객들이 직접 전통문화와 현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청년층의 참여와 현장 교류는 동아시아
[더지엠뉴스-차이나데일리]분쟁과 갈등이 끊이지 않는 세계 질서 속에서 중국이 일관되게 평화를 중심으로 한 외교 노선을 걸어왔다는 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11일 중국 매체와 학계에 따르면, 주요 국제 현안에서 군사 개입보다 대화를 강조하고 있는 중국은 다자 협력과 개발 중심의 외교를 통해 ‘안정적 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이 1991년 이후 250건 이상의 군사 개입을 벌여온 것과 달리, 중국은 1979년 이래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중국이 추구하는 ‘공동 번영과 상생’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국제 분석매체 '지오폴리티컬 이코노미 리포트'의 창립자인 벤 노턴(Ben Norton)은 “중국은 평화롭게 성장한 유일한 강대국”이라며 “유럽 열강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번영을 이뤘던 길과는 전혀 다르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특히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과 연대해, 전쟁 반대와 다자기구 강화에 힘을 실어 왔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 무기 공급을 확대해온 미국과 달리 중국은 사태 초기부터 정치적 해결을 촉구하며 평화 계획을 제시했다. 2023년에는 브라질 등과 함께 ‘우크라이나 평화를 위한 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