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내륙 수로를 활용한 복합 물류 네트워크 구축에 본격 나섰다. 기존 수로를 플랫폼 기반 경제 모델로 전환하고, 항만과 산업단지를 잇는 단거리 지선 수로를 새로 개통해 물류 효율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꾀한다. 16일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수상운수국 부국장 궈칭송(郭清松)은 “내륙 수로 운송은 수송량이 크고 비용이 저렴해 사회 전체 물류비를 줄이는 핵심 수단”이라며 “정보기술과 결합한 플랫폼 경제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교통운수부는 공업정보화부, 재정부, 생태환경부, 수자원부 등과 공동으로 ‘내륙 수로 교통의 고품질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을 발표했다. 이 문서에는 선박-화물 매칭, 물류 조회, 디지털 항로 지도 도입, 스마트 항만 설비 구축 등 디지털 기반의 수로 시스템이 대거 포함됐다. 특히 궈 부국장은 “수로와 항만,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단거리 지선 수로를 확대하고, 모터선과 바지선을 조합한 복합 운송 모델을 통해 운송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장강 삼각주 등 주요 경제권 수로망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또한 “친환경 해운을 위한 에너지 전환도 병행될 것”이라며, 중단거리 구간에는 전기 선박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차이나데일리 | 지난 7일 톈진을 방문한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 출신 관료, 학자, 기업인 100여 명이 스마트 항만, 생태 도시, 직업교육 시설 등을 시찰하며 “중국과의 협력은 SCO 지역 발전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16일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중앙아시아국제연구소 셰르조드 파이지예프 부소장은 톈진항 방문 후 “이곳은 사업 환경이 훌륭하게 조성돼 있다”며 “이 항만이 중국과 중앙아시아, 동아시아를 연결하는 핵심 통로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대일로(一带一路)의 핵심 기지 중 하나인 톈진항은 180개국 이상과 해상 노선을 갖추고 있으며, 중국-유럽 화물열차망을 통해 내륙과도 연결된다. 톈진항 제2컨테이너터미널 정보부서의 셰진난에 따르면 “이곳은 세계 최초의 스마트 무탄소(제로카본) 터미널”로, 연간 6천만㎾h의 녹색 전기를 태양광·풍력으로 생산하며, 5G와 베이더우 위성항법 시스템을 통해 무인 자동화 하역 시스템이 운영된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유럽대학의 이고르 호다체크 유라시아연구센터장은 “중국은 생태적 균형을 고려한 디지털·지능형 기술의 집약지”라며 “녹색 에너지 사용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무인 시스템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26일부터 29일까지 중국 동부 저장성 닝보에서 열린 '2025 해상실크로드 항만협력포럼'이 닝보저우산항의 스마트화와 녹색화 성과를 전면에 내세우며, 중국 주도의 글로벌 항만 네트워크 강화에 시동을 걸었다. 중국 국가급 전략사업인 일대일로(一带一路)의 대표 해상 거점인 닝보저우산항은 220km에 달하는 해안선을 따라 200여 개의 대형 선석을 보유한 세계 최대 물동량 항만이다. 포럼은 '녹색 공유, 스마트 연결'을 주제로, 중동, 아프리카, 유럽 등지의 항만들과의 협력 확대를 공식화했다. 전기와 태양광, 생물연료 등으로 전환 중인 항만 에너지 시스템은 포럼의 핵심 성과로 소개됐다. 2024년 가동된 '풍력+태양광+저장' 통합 에너지 프로젝트는 연간 5917만kWh의 청정 전기를 생산해 이산화탄소 2만2600톤가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올해 3월에는 중국 화동 지역 최초로 고유황 바이오 연료유 보세급유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주요 성분은 음식물 폐유 24%와 고유황 연료유 76%로 구성되며, 이를 사용하는 선박은 탄소배출을 약 20%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컨테이너 해운의 정시성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해 도입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