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내 외자 제조업체들의 수익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다국적기업에 '신질생산력' 전략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19일 관영 CCTV와 환구망 등에 따르면, 이날 개막한 '제6회 다국적기업 지도자 칭다오(青岛, Qingdao) 정상회의'에서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은 최신 '중국 내 다국적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 규모 이상 외자(홍콩·마카오·타이완 포함) 제조기업들의 총 이익이 1조6천억 위안(약 363조 원)에서 1조8천억 위안(약 408조 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제조업 평균 수익률을 웃도는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중국 내 첨단기술 분야 외자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2024년 제조업 외자 활용 중 고기술 분야가 43.7%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또 외자기업은 중국 고신기술 제품 수출 비중에서도 약 50%를 점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 같은 외자기업의 수익 성장을 ‘중국 시장의 안정성과 산업망 경쟁력’ 덕분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를 발표한 왕쉐쿤(王雪坤, Wang Xuekun)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원장은 "중
[더지엠뉴스]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최근 허난(河南, Henan)성에 위치한 루양베어링그룹을 시찰하며, “혁신은 제조업의 생명이며 핵심 기술을 반드시 장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2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는 시 주석은 루양 기업의 고급 베어링 제품 생산 현장을 둘러보며, 전통 산업의 가치와 그 현대화 가능성을 재차 언급했다고 글로벌타임스가 보도했다. 그는 “중국은 항상 실물경제에 기반해 발전해 왔으며, 이는 옳은 길임이 입증되었다”고 말하면서, 제조업은 고용과 재정 수입, 국제 경쟁력을 모두 떠받치는 중추라고 강조했다. 현재 철강, 유색금속, 기계, 섬유 등 전통 산업이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군이 중국의 산업 규모와 체계에서 여전히 중심적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구조조정보다는 '질적 향상'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디지털 전환과 녹색 에너지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산업인터넷, 5G, 인공지능(AI) 기술이 대규모로 전통 제조업에 도입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제조업 기술 업그레이드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8%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