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김종문 KIC중국(韩国创新中心, Korea Innovation Center China) 센터장은 “한중 간 다층적이고 광역적인 협력은 현실적 필요이자 미래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29일 베이징에서 열린 2025 금융가포럼 연차회의 현장에서 취안상중궈(券商中国, Quanshang Zhongguo)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30일 중국 정부 및 관련 기관에 따르면, 중국은 향후 5년 동안 과학기술 자립과 신질생산력(新质生产力)의 강화를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 센터장은 “이는 글로벌 과학기술 전환 흐름에 부합하며, 한중 간 상호이익적 협력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시장 규모, 산업화 역량, 자본 환경에서 독보적 강점을 갖고 있고, 한국은 핵심소재, 센서, 스마트 제조 분야에 경쟁력을 지닌다”며 “양국이 혁신 및 산업사슬 전반에서 상호보완적 협력을 이어간다면 차세대 과학기술 혁신의 새로운 생태계를 공동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또 “딥시크(DeepSeek), 유니트리(Unitree Robotics) 같은 중국 기업들의 성과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공급망 박람회가 세계 경제 협력의 새로운 중추로 떠올랐다. 5일간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박람회(CISCE)가 20일 막을 내린 가운데, 6천 건이 넘는 협력 협약이 현장에서 체결됐다. 21일 광명망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는 이번 박람회에 75개국과 지역, 국제기구에서 1,20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가했으며, 이 중 35%는 해외 업체였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참가업체 수가 전년 대비 15% 늘어나 눈길을 끌었다. 리싱첸(CCPIT 부주석)은 이번 행사가 규모와 성과 면에서 전례 없이 크고 풍성했다고 평가했다. 전시장 전체의 65% 이상은 세계 500대 기업 및 업계 선도기업들이 차지했다. 미국의 퀄컴, 프랑스의 슈나이더 일렉트릭,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중국 공급망 생태계와의 연계 강화를 시도했다. 애플은 중국 내 3개 주요 공급사와 공동 부스를 차렸고, "200대 핵심 공급사 중 80% 이상이 중국에서 제조 중"이라는 메시지를 부각시켰다. 미국무역대표부와 미곡물협회 등도 중국 시장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중국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전략 시장”이라는 입장을
국회 한중의원연맹 대표단이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양국의 경제 의회 외교를 심화하고 미래 산업 비전 구체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중국 외교부와 양국 매체에 따르면, 국회 한중의원연맹은 이날부터 나흘 일정으로 상하이(上海, Shanghai)와 항저우(杭州, Hangzhou)를 방문해 혁신 기술 현장을 둘러본다. 대표단은 AI 전문기업 센스타임(SenseTime), 상하이 화웨이(华为, Huawei) 연구개발센터, 로봇기업 유니트리 로보틱스(Unitree Robotics) 등을 시찰하고, AI 산업 클러스터에서 현지 기업 관계자들과 교류할 예정이다. 또 AI 스타트업 육성 사례로 주목받는 딥시크(DeepSeek) 창업자 량원펑(梁文峰, Liang Wenfeng)의 모교인 저장대(浙江大学, Zhejiang University)도 방문한다. 의원들은 항저우에 위치한 임시정부 청사도 찾아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계획이다. 이번 방중에는 한중의원연맹 회장인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을 비롯해 홍기원, 백혜련, 김영배, 김상욱, 조인철 의원과 국민의힘 김태호, 안상훈, 김소희 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