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외교부가 유엔 인권理事회에서 ‘발전은 인권 증진의 기초’라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며 국제사회의 폭넓은 지지를 이끌어냈다. 대러 협력 문제와 관련해선 외부 간섭을 일축했으며, 대미 무역 문제에 대해선 상호 존중 원칙을 재확인했다.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제59차 회의에서 중국이 주도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이 결의안은 ‘모든 인권 향유를 위한 발전의 기여’를 주제로, 인권과 개발을 상호 보완적인 틀로 규정하고 있다.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모든 인권의 실현은 고품질 발전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와의 관계에 대해선 민감한 메시지도 나왔다. 마오 대변인은 “중러 협력은 제3국을 겨냥하지 않으며, 외부의 간섭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중국에 ‘대러 협력 축소’를 요구한 데 대한 공식 반응이었다.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관계 개선을 언급하며 “중국이 공정한 무역을 실현하고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항상 상호 존중과 협력적 원칙 아래
[더지엠뉴스]중국과 유럽연합(EU)의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이 양자 관계를 글로벌 전략협력의 모델로 격상시키겠다는 뜻을 밝혔다. 6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에게 보낸 공식 축전을 통해 “중국과 EU는 세계 다극화 흐름을 이끄는 두 개의 중심축”이라며 “서로 다른 제도와 문화 속에서도 공통의 이해를 바탕으로 협력을 확대해왔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이어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신뢰와 개방을 확대하며, 마찰과 갈등은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다자주의 원칙을 고수하고, 국제무역에서의 공정성과 정의를 수호해야 하며, 일방적 압박이나 강제 조치에는 함께 대응해야 한다”며 직설을 피하면서도 강한 입장을 드러냈다. 축전에는 미국이라는 단어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최근 글로벌 무역 환경을 위협하고 있는 보호무역 기조와 자국 우선주의를 비판하는 취지가 짙게 담겼다는 해석이 나왔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EU 측도 공동 축전을 통해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변화 속에서,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은
[더지엠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6일(현지시간) "중국은 항상 전략적이고 정기적 관점에서 중·유럽 관계를 바라보고 있다"며 "유럽은 중국 특색 대국 외교의 중요한 방향이며 중국식 현대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날 오전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중국·프랑스·유럽 정상 간 3자 회동을 갖고 "중국-프랑스 관계와 중국-EU 관계는 서로 발전하고 함께 발전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오늘날 세계는 새로운 격동과 변화의 시대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EU는 두 중요한 세력으로서 동반자 관계를 견지하고, 대화와 협력을 견지하며, 전략적 의사소통을 심화하고, 전략적 상호신뢰를 강화하며, 전략적 합의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 주석은 “중국-유럽 관계는 강력한 내생적 추진력과 폭넓은 발전 전망을 갖고 있으며 제3자를 겨냥하거나 의존하거나 통제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3자 겨냥’은 미국을 지칭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자국의 핵심 이익인 대만이나 신장위구르자치구 등에 대한 미국의 행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