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데이터 보호 강조하며 기업 권익 수호 의지 밝혀

[더지엠뉴스] 중국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 일본, 미국 등 일부 국가들이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으며, 기업이나 개인이 불법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저장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을 과도하게 확대하거나, 경제 및 기술 문제를 정치화하는 행위를 일관되게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궈 대변인은 “딥시크에 대한 접근 제한은 중국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중국은 이러한 부당한 조치에 단호히 맞서 기업 보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궈 대변인은 중국의 빙설 산업 발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얼빈(哈爾濱)’이 빙설 매력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신장과 내몽골 등지의 빙설 관광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32025년에는 5억 2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한 관광 수입은 6,300억 위안을 초과할 전망이다.
궈 대변인은 “설날 영화 관람은 이미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며, “2025년 설 연휴 동안 중국 영화 시장은 100억 위안 이상의 수익을 올렸고, 관객 수는 1억 8,700만 명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다수의 중국 영화가 해외에서도 상영되며, 중국 문화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최근 일부 매체에서 캄보디아와 중국 간 협력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를 한 것에 대해 궈 대변인은 “이는 근거 없는 루머와 악의적인 비방”이라며, “중국과 캄보디아는 서로 신뢰하는 철석같은 친구이며, 양국의 협력은 어느 누구도 흔들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를 점령하고 관리하겠다는 발언에 대해 궈 대변인은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의 영토이며, 정치적 거래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국제사회는 인도적 지원과 재건에 힘써야 하며, 중국은 팔레스타인의 독립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