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중국 최대정치행사 양회 잡학사전
ⓒ 더지엠뉴스 & www.theg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더지엠뉴스 - 월간 <중국> | 천 년 농경 역사로 이어진 중한 양국은 비옥한 대지에서 함께 번성하며 스마트 농업의 싹을 틔워야 마땅하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이 거대한 파도처럼 밀려와 전 세계 농업 구도를 재편하고 있다. 다년간의 발전을 통해 중국 스마트 농업은 기술 연구 개발에서부터 실질적인 응용 시나리오 구현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생태계를 형성했다. 이는 전 세계 스마트 농업 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와 가장 다양한 적용 사례를 보유한 ‘농업 혁신을 선도하는 본산(本山)’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음을 의미한다. 한국 스마트 농업 또한 탁월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 팜의 정밀한 관리, 농업 사물인터넷의 기술 개발, 데이터 플랫폼 운영 서비스 등 분야에서 깊이 있는 경험을 축적해 왔다. 세계 디지털 농업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두 나라 모두 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국제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하는 이중의 당면 과제를 안고 있다. ‘지혜’를 쟁기로, ‘협력’을 씨앗으로 삼아 디지털 농업의 물결 속에서 상호 이익과 공동 번영의 풍요로운 논밭을 일구는 것이야말로 양국 농업이 시급해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다. 급부상한 중국의 스마트 농업 스마트
더지엠뉴스 - 월간 <중국> | 서로의 3대 무역 파트너이자 심도 있는 산업사슬을 공유하는 중한 양국의 경제무역 관계는 마치 두 개의 바퀴처럼 함께 나아가 공동 발전을 이뤄야 마땅하다. 그러나 최근 중국 제조업의 고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글로벌 산업사슬이 재편되면서 반도체와 자동차 등 일부 분야에서 양국의 경쟁이 심화됐고, 미국이 핵심 분야에서 압박을 가하면서 양국의 협력 전망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6월 4일, 한국 제21대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 취임하면서 중한 경제무역 관계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경쟁과 협력이 교차하는 가운데 양국은 어떻게 상생의 새로운 길을 열어갈 것인가? 이는 실질적인 경제무역 협력을 통해 해답을 기다리고 있다.. 산업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中韓 최근 중국의 대(對)한국 수출 품목 구조가 눈에 띄게 변화했다. 과거 중국이 한국에 수출한 제품은 대부분 장난감, 양말 등 저부가가치의 노동집약적 상품에 집중됐으나 이제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대한국 총 수출액은 1462억 2900만 달러였다. 이 가운데 기계 전자 제품이 721억 9700만 달러, 전체의
더지엠뉴스 - 월간 <중국> | 중국과 한국은 바다를 사이에 둔 (一衣帶水)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긴밀한 관계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 한국 사회 일각에서는 오해와 불안에서 비롯된 ‘불편한 감정’이 감지되고 있다. 이같은 일부 분위기는 종종 양국 국민 사이에 마땅히 존재해야 할 상호 이해와 존중의 목소리마저 흐리게 만든다. 중한 양국 정상이 지난 6월 10일 전화 통화에서 인문 교류 심화와 민의 기반 다지기를 강조한 것은 현 상황을 냉철하게 파악한 결과다. 그렇다면 이런 장애물을 어떻게 걷어내고 중한 우호의 씨앗을 상호 신뢰 토양에 뿌리내려 튼튼하게 자라나게 할 수 있을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양국 국민에게 주어진 공동 과제일 것이다. 안개 속 갈림길: 인식 차이와 보이지 않는 장벽 최근 몇 년간 중한 관계가 겪는 어려움의 깊은 뿌리에는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상당한 괴리가 자리잡고 있다. 안타깝게도 중국과 한국 일부 국민은 특정 사건이나 사실관계가 확인되지도 않은 소식에 주목해 서로에 대한 편협한 인식을 갖게 되고 이는 상대방을 객관적이고 폭넓게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서 일부 언론도 논쟁이 될 만한 이슈에 과도하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80년 전, 중국은 14년간의 항전 끝에 침략자에 맞서 마침내 승리를 쟁취했다. 이는 인류 반파시즘 전쟁의 빛나는 한 장면이며, 오늘날에도 세계 평화 질서의 근간으로 남아 있다. 25일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오는 80주년 기념행사가 단순한 과거 회고가 아닌, 정의와 평화를 향한 중국의 확고한 가치 선언임을 분명히 했다. 사설은 먼저, 항전 승리는 중국만의 승리가 아닌 인류 공동의 승리이며, 전후 국제 질서를 규정한 카이로 선언(開羅宣言, Cairo Declaration)과 포츠담 선언(波茨坦宣言, Potsdam Proclamation)에 중국이 깊이 관여했음을 상기시켰다. 그 정신은 오늘날에도 세계 공정과 정의의 기둥으로 기능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의 본질을 왜곡하고 역사를 흐리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역사를 모독하는 행위이며 인류 양심에 대한 도전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사설은 이어,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총서기의 발언을 인용해 "항전 정신은 중국 인민이 어떠한 난관에도 굴하지 않고 국가적 부흥을 이뤄내는 정신적 원천"임을 강조했다. 특히, 오늘날 중국이 마주한 복잡한 국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대한민국의 선택은 분명했다. 국민들은 갈등과 대립보다는 통합과 실용을 선택했고, 변화보다는 안정과 회복에 손을 들어주었다. 지난 2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과반을 훌쩍 넘는 득표로 승리하며 대한민국의 새 시대를 열게 됐다. 국내 정치 지형 변화 못지않게, 이번 선거 결과는 한중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미 후보 시절부터 “실용적 외교와 경제 중심의 양국 협력”을 강조해왔다. 중국의 관영 매체들 역시 이를 주목하며 향후 한중 간 긴장 완화 및 협력 복원의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환구시보(环球时报)는 당선 직후 “한국의 차기 지도자는 한중 경제관계의 복원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기조에 기대를 나타냈다. CCTV는 “한중 간의 경제 파트너십은 여전히 상호보완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탈정치화된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내 대표 포털 바이두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李在明当选总统)’이라는 키워드가 3일 오후 실시간 검색어 12위에 올라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중국과의 관계를 회복할 대통령”, “드디어 윤석열의 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