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아프리카 53개국과의 무역에서 전면 무관세 정책을 실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기존 최빈국 대상 정책을 넘어서는 조치로, 중국의 내수 확대 전략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 의지가 결합된 상징적 조치다. 14일 오전 국무원 신문판공실 정례 브리핑에서 해관총서 대변인 뤼다량은 “중국과 수교한 아프리카 53개국에 대해 100% 세목 제품 무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조치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이미 시행된 ‘최빈국 무관세 혜택’의 확대판이다. 뤼다량은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신흥 소비시장으로, 대외개방 확대와 내수 확대 전략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며 “중국 시장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의 성장도 함께 도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상반기 중국 수입 증가율이 다소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대외 불확실성과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이 겹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원유, 철광석, 대두 등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하락했으며, 이 세 품목만으로 수입 증가율을 2.7%포인트 끌어내렸다. 그러나 2분기부터는 내수 확장에 따른 수입 회복이 뚜렷하다는 평가도 내놨다. 고급 공작기계와 전자부품 수입이 각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6월 무역 규모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회복 흐름을 뚜렷이 드러냈다. 수출 호조, 민영기업의 약진, 그리고 신흥시장 확대가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 14일 해관총서 발표에 따르면, 6월 한 달 동안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3조8500억 위안(약 746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였던 2022년 6월 다음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수출은 2조3400억 위안(약 453조원)으로 7.2% 늘었고, 수입도 1조5100억 위안(약 293조원)으로 2.3% 증가했다. 상반기 전체로는 무역 총액이 21조7900억 위안(약 4,223조원)을 기록해 2.9% 증가했다. 수출이 13조 위안(약 2,519조원)으로 7.2% 늘었지만, 수입은 8조7900억 위안(약 1,703조원)으로 2.7%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해관총서 왕링쥔 부서장은 “전 세계적으로 단변주의와 보호주의가 부상하고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 외교통상은 압박 속에서도 규모와 질 두 측면 모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특히 수출 품목 구조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리튬배터리, 풍력발전기 등 녹색 산업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자유무역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한국 새 정부에 직접 전달했다. 서울에서 열린 국제경제포럼에서 중한 협력의 원칙을 지키자는 목소리가 강조됐다. 14일 주한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다이빙(戴兵, Dai Bing) 대사는 ‘2025 코리아이코노믹디자인포럼(KEDF)’에 참석해 보호무역주의에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이빙 대사는 축사에서 “세계는 지금 100년 만에 맞는 대변화를 겪고 있다”고 말하며, “미국은 각국에 무차별적인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런 일방적 조치들이 국제 정치경제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중국은 미국의 일방주의에 단호히 맞서며 강력한 반격 조치를 취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중한 양국의 산업망과 공급망은 깊이 얽혀 있으며, 경제 협력 역시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국은 자국의 이익을 넘어 공동의 이익을 지켜야 하며, 보호무역주의에 함께 맞서 국제 자유무역 체제와 산업망의 안정을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이빙 대사는 “중국의 초대형 시장과 완비된 산업 시스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개방 정책은 한국 경제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