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장쑤(江苏, Jiangsu)성 무시(无锡, Wuxi)에서 ‘2025 지속가능 글로벌 리더스 대회’와 제2회 궈롄(国联, Guolian) 투자자 대회가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세계 자본을 끌어들여 현대 산업을 강화한다’는 주제로 진행됐다. 7일 중국 관영 런민왕(人民网, Renminwang)에 따르면, 무시는 최근 몇 년간 ‘기술 혁신’과 ‘인재 육성’이라는 두 축을 바탕으로 산업·과학기술 혁신의 거점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이 도시는 사물인터넷, 집적회로, 첨단장비 등 7개의 2천억 위안(약 38조 원) 규모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했으며, 양자기술, 탄소중립, 수소에너지, 에너지저장 등 미래 산업 분야를 선제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메타버스, 저고도 경제, 심해 장비 등 신성장 산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무시는 A주 상장사만 125곳에 달하며, 114만 개의 기업이 활동 중이다. 2024년 기준 도시의 과학기술 진보 기여율은 69.5%를 넘었고, ESG 산업혁신센터와 ESG산업연맹이 출범했다. 개막식에서는 궈롄그룹 생태연맹이 공식 가동됐으며, ‘무석 산업 투자지도’도 함께 공개됐다. 1999년 설립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외교부가 일본 정부의 수산물 수출 재개 발표에 대해 “푸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국제 감시와 독립 시료 채취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7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일본 정부가 2년 전 중국의 금지 조치 이후 처음으로 대중 수산물 수출이 재개됐다고 밝힌 데 대해 “관련 중국 당국은 법과 규정에 따라 일본산 수산물 수입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국민의 식품 안전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이미 일본산 수산물 수입 관련 통지를 발행했으며, 일본이 오염수의 국제 감시와 독립 시료 채취를 지속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 위험이 발견될 경우, 법에 따라 즉시 필요한 수입 제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일본이 ‘방류 안정화’ 명목으로 중국과의 수산물 교역을 복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나왔다. 중국은 2023년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이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단했으며, 이를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설명해왔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인민해방군(PLA) 해군이 하이난성 산야(三亚, Sanya) 기지에서 자국 최초의 전자기 사출 장치 탑재 항공모함 ‘푸젠함(福建, Fujian)’을 정식 취역시켰다. 이번 조치로 중국은 ‘랴오닝함(辽宁, Liaoning)’, ‘산둥함(山东, Shandong)’에 이어 세 번째 항모를 보유하게 되며, 본격적인 세 항모 운용 체제에 들어갔다. 7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산야 해군기지에서 열린 푸젠함 취역 및 군기 수여식에 참석했다. 시 주석은 함상 시찰을 직접 진행하며 해군 장병들에게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푸젠함은 2022년 6월 진수된 이후 2024년 5월 첫 시운전을 거쳐 일련의 해상 시험과 장비 점검을 완료한 뒤 이번에 실전 배치됐다. 중국 군사전문가 장쥔서(张军社, Zhang Junshe)는 “푸젠함 취역은 중국 해군이 연안 방어 중심에서 원양 작전 능력을 갖춘 해군으로 전환한 상징”이라며, “전자기 사출 시스템으로 항공기의 이륙 효율과 작전 반경이 크게 향상됐고, 조기경보기 KJ-600 운용이 가능해져 공격과 방어를 아우르는 통합 작전 체계가 구축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송중핑(宋忠平, 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