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세계 여성 지도자 회의’ 참석을 위해 방중한 할라 토마스도티르 아이슬란드 대통령을 접견하고, 양국 관계 심화 방안을 논의했다. 두 정상은 54년간의 외교 관계가 사회 제도가 달라도 상호 존중과 협력을 통해 공동 이익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14일 중국 외교부(外交部, Waijiaobu)에 따르면, 시 주석은 “양국은 서로의 핵심 이익과 주요 관심사에 대해 확고히 지지해야 한다”며 “경제·무역, 지열 에너지, 의료, 녹색 전환 등 다양한 분야의 실질 협력을 확대하자”고 밝혔다. 시 주석은 또 “국제 분쟁은 대화와 협의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를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마스도티르 대통령은 “중국이 전 세계 여성 발전을 위해 보여온 중요한 기여에 경의를 표한다”며 “아이슬란드는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여성의 전면적 발전을 함께 촉진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양국은 회담 후 지열 에너지 및 녹색 전환 협력을 강화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으며, 왕이 외교부장이 배석했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미국에서 틱톡 사용 금지 시한이 미뤄질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중국은 정상 간 외교의 전략적 의미를 강조하며 대응했다. 외교부는 틱톡 문제는 이미 관련 부처가 설명을 제공했다면서도, 고위급 소통이 미중 관계에서 갖는 중요성을 부각했다. 17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중 정상 통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정상 외교는 양국 관계에서 대체 불가한 전략적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틱톡 관련 사안은 중국의 해당 부처가 이미 필요한 정보를 공개했다”며 추가 언급을 피했다. 그는 미중 간 고위급 교류와 정상 간 직접 소통이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채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틱톡 문제를 둘러싼 미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은 해당 사안을 단일 기업 이슈가 아닌 양국 관계 전반의 맥락 속에서 다루려는 태도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