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주한 중국대사관이 서울에서 청년들을 초청해 중국의 전통과 현대를 함께 소개하는 행사를 열었다. 28일 주한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지난 24일 열린 오픈데이 행사는 지난 22일 대사관 본청에서 개최됐다. 행사 주제는 ‘고운신조(古韵新潮)-중국식 현대화의 역사적 저력과 시대적 풍모’로 정해졌으며, 다이빙(戴兵, Dai Bing) 대사와 손솔 한국 청년 국회의원을 비롯해 한국 청년 대표 130여 명이 참석했다. 다이빙 대사는 환영사에서 “청년들이 중국과 중한 관계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창의력과 활력을 통해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사관은 청년들에게 공공 구역을 개방했으며, 주한중국문화원과 한중관현악협회, 중국 기업 BYD, 아이플라이텍, 팝마트, 대익보이차, 차백도 등이 공동으로 다양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참가자들은 중국 전통 의상과 음악을 체험하고 칠선(漆扇) 만들기에 참여했다. 또한 신에너지차, 바둑 로봇, 아트 토이 등을 통해 중국의 첨단 기술과 현대 소비 문화를 직접 보고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전통과 현대, 문화와 기술이 한데 어우러진 이번 오픈데이 행사는 중국의 다층적 매력을 생생히 전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중일 3국이 지역 안정과 공동 번영을 위해 연대의 메시지를 강조하는 외교 현장이 서울 한복판에서 펼쳐졌다. 청년 교류와 문화 협력이 어우러진 이 자리는 다자협력의 미래를 함께 그리는 상징적인 순간이기도 했다. 9일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邸炳, Dai Bing)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달 30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중일한 협력의 날(TCS DAY)’ 행사에 참석해 “세 나라는 아시아·태평양의 핵심 국가이자 세계 경제를 이끄는 주요 파트너”라며 “수교의 초심을 지키며 미래 지향적 협력을 더욱 심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이희섭 중일한 3국 협력사무국(TCS) 사무총장, 정기홍 한국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도 함께 자리했으며, 각국 대표들은 각각 중국어·한국어·일본어로 ‘2025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된 ‘미래(未来)’를 붓글씨로 써 내려가며 3국 협력 의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행사장에는 청년 문화 공연과 함께 3국의 문화 홍보 부스도 마련되어 시민들과 외국인 방문객들이 직접 전통문화와 현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청년층의 참여와 현장 교류는 동아시아
[더지엠뉴스]서울 신촌 한복판, 세계 각국의 젊은 인재들이 모인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특별한 강연이 열렸다. 18일 주한중국대사관에 따르면 팡쿤(方坤, Fang Kun) 공사는 지난 12일 이곳에서 ‘중미 갈등 속의 중한 관계’를 주제로 연단에 섰다. 중국과 미국 사이의 긴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는 시점에서 마련된 자리였다. 팡 공사는 서두에서 “이른바 중미 갈등이라는 것은, 실질적으로 미국이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고 일방적으로 억압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이에 대해 침묵하거나 피할 수 없으며, 자국의 핵심 이익을 수호하고 세계적인 공평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 당연히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미국의 대중국 정책 변화가 한국과 중국의 외교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학생들과 함께 분석했다. 대중 경제 압박, 기술 통제, 공급망 탈중국화 등 복합적인 전략이 한국에게도 현실적인 도전을 던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서도 한국과 중국은 공통의 이해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미래를 개척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연 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대만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