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상하이시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国资委)가 10일 암호화폐 및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대응 전략을 집중 논의하는 중심조 학습회를 개최했다. 11일 상하이국자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상하이시 국자위 당위원회 서기이자 주임인 허칭(贺青, He Qing)이 주재했으며, 중국 공산당 상하이시 제4감독지도조 왕즈핑(王治平, Wang Zhiping) 조장이 현장 지도에 나섰다. 국자위 당정 지도부를 포함해 관련 부처 간부 및 전체 당원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궈타이하이퉁정책산업연구원 정책팀 수석 이밍량(李明亮, Li Mingliang)이 특별 강연자로 초청돼 암호화폐 및 스테이블코인의 발전 역사, 유형 및 특징을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세계 주요 지역의 규제 시스템과 전략적 방향을 비교 분석하며, 디지털화폐 발전이 가져올 기회와 리스크를 짚었다. 허칭 주임은 회의 발언에서 “중국 공산당 제12기 상하이시위원회 제7차 전체회의 정신을 전면적으로 관철해야 한다”며 “신기술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고 디지털화폐 연구와 실증을 강화하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국유기업의 책임을 언급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크로스보더 무역, 공급망 금융, 자산
[더지엠뉴스]중국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30일 중국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纪经济报道)와 후난르바오(湖南日报)에 따르면, 상하이·선전 증시에 상장된 중국 내 주요 자동차 부품 기업 212개 중 최소 36개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에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16.7%에 해당하며, 기술 집약 산업 간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흐름을 보여준다. 시장조사 기관은 전 세계 노동인구 34억 명 중 약 11.6%가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 규모가 100조 위안(약 1경 9,661조 원)에 이를 것이라 추산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이러한 잠재 수요에 대비해 기술·부품 설계 능력을 집중하고 있다. 대표 기업인 쥔성전자(均胜电子)는 ‘로봇의 뇌, 소뇌, 사지’ 등 세 가지 핵심 모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퉈푸그룹(拓普集团)은 완성형 구동 장치와 센서 시스템, 제어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이와 함께 훙휘지능로봇(鸿辉智能机器人) 등은 전기 모터와 관절 부위 핵심 부품의 정밀 생산 체계를 확보하며, 빠른 상용화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