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지속된 폭염과 집중호우가 겹치며 올여름 모기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9월 이후 따뜻한 날씨가 이어질 경우, '가을 모기'의 대대적인 출현 가능성도 제기된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모기 발생지수는 전체 4단계 중 2단계인 ‘관심’ 수준에 머물렀다. 예년 같으면 7월 중순에는 ‘주의’나 ‘불쾌’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올해는 예외적인 양상이다. 모기활동지수도 같은 날 기준 41.7에 그쳤으며, 이 지표는 야외에서 10분간 머물렀을 때 물리는 횟수를 반영한다. 100에 도달할 경우 최소 5회 이상 모기에 물릴 수 있다는 의미다. 또 7월 21일에는 지수가 65.3까지 잠시 상승했지만 바로 다음 날 23.1로 급락했다. 이는 폭염이 일찍 시작돼 모기의 생존 환경이 악화된 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모기가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기온이 15도에서 30도 사이인데, 6월부터 35도 안팎의 고온이 이어지면서 개체 수가 자연스럽게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폭염으로 인해 웅덩이나 고인 물이 증발하면서 산란지가 사라진 데다, 집중호우까지 겹치며 모기의 번식 자체가 어려워졌다는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극심한 폭염이 덮친 유럽 남부에서 상상을 초월한 기상 현상이 포착됐다. 바다 위에서 마치 쓰나미처럼 밀려온 거대한 구름 벽이 해안선을 향해 덮치면서 현장은 순식간에 공포로 뒤덮였다. 1일 프랑스 매체 르피가로와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포르투갈 북부와 중부 해안 지역에 정체불명의 대형 구름이 형성되며 시민들을 놀라게 했다. 이 구름은 바다 위에서 길게 펼쳐진 상태로 움직이며 마치 거대한 롤스크린이 천천히 내려오는 듯한 모습이었다. 당시 현장을 목격한 이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알았다”, “영화 속 재난 장면 같았다”며 SNS에 영상과 사진을 쏟아냈다. 실제로 여러 영상에는 사람들이 쓰나미로 착각해 짐을 챙기고 해변을 급히 빠져나가는 장면이 담겨 있다. 기후 전문가 마리오 마르케스는 이 현상을 “해안선 튜브 구름 형성”이라고 설명했다. 낮 동안 지표면이 뜨겁게 달궈지고, 해 질 무렵 차가운 공기가 밀려들면서 지상의 뜨거운 공기를 위로 밀어 올릴 때 이같은 구름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른바 ‘롤 클라우드(roll cloud)’라고 불리는 형태다. 그는 “이런 형태는 보기 드물지만 호주처럼 해양 기후가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