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미국이 ‘중국의 대두 수입 축소’를 이유로 식용유 관련 사업 중단을 시사한 데 대해 중국 외교부가 “무역전쟁은 어느 쪽에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1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식용유 관련 거래를 중단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입장을 밝혔다. 그는 “중국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며 “무역 및 관세 전쟁에는 승자가 없으며, 이는 누구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은 평등과 상호 존중, 상호 이익의 원칙에 따라 대화와 협의를 통해 이견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미국 내 대두 재배 농가들이 수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브라질이 중국으로의 대두 및 쇠고기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9월 중국의 대두 수입량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해 교역 다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국과 중국이 상호 신뢰 속에서 협력의 새 장을 열어야 한다는 메시지가 주한 중국대사 다이빙의 연설을 통해 제시됐다. 그는 양국 언론의 객관적 보도와 상호 존중이 중한 관계 발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1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지난 13일 서울에서 열린 ‘2025 중한 미디어 협력 포럼’에서 인민일보사(人民日报, Renmin Ribao)와 매경미디어그룹의 공동 개최를 축하하며 축사를 전했다. 그는 “중한 양국은 유구한 교류의 역사를 지닌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동반자”라며 “양국 정상의 리더십 아래 전략적 협력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이빙 대사는 이날 연설에서 중국의 발전 방향과 대외정책, 그리고 언론 협력의 중요성을 네 가지 측면으로 제시했다. 첫째로 중국의 눈부신 경제 성장과 사회적 안정, 둘째로 과학기술 혁신과 녹색 전환, 셋째로 개방·포용의 대외경제정책, 넷째로 독립적 자강 정신과 국제적 책임 의식이었다. 그는 “중국은 이미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자리잡았으며, 8억 명이 빈곤에서 벗어났고 중산층은 5억 명에 이른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해 연구개발 투자액은 약 5천억 달러(약 690조 원)
미국이 내달 1일부터 중국산 상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자, 중국이 강력히 반발했다. 13일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미국 측의 일련의 대중 제재와 제한 조치는 중국의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반성하기는커녕 고율 관세로 위협하고 있는 것은 양국이 올바르게 협력하는 방식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미국은 즉시 잘못된 행위를 시정하고, 두 정상 간 통화에서 확인한 중요 합의를 바탕으로 평등과 상호 존중의 원칙 아래 대화를 통해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린젠 대변인은 “중국은 일방적 압박에 결코 굴하지 않으며, 만약 미국이 끝내 일방적 행동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중국의 희토류 및 관련 물자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11월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언은 중국이 희토류와 첨단소재의 수출 관리 범위를 확대하는 시점과 맞물리며, 미중 간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양상이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해경이 티에셴자오(铁线礁, Tiexian Jiao) 인근 해역에 불법 진입한 필리핀 정부 선박을 퇴거시켰다고 발표했다. 충돌 책임은 필리핀 측에 있다고 지적하며, 관련 작전이 합법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12일 중국 해경국(China Coast Guard, CCG)에 따르면, 이날 오전 필리핀 정부 소속 선박 3002호와 3003호가 중국 정부의 허가 없이 남사군도(南沙群岛, Nansha Qundao) 티에셴자오 인근 해역에 침입했다. 오전 9시19분, 중국 측의 여러 차례 경고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3003호가 정상 임무 중이던 중국 해경 21559함에 위험하게 접근해 충돌을 일으켰으며, 이에 대한 모든 책임은 필리핀 측에 있다고 밝혔다. 중국 해경은 법에 따라 필요한 통제 조치를 취하고 현장에서 해당 선박들을 퇴거시켰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조치가 자국의 주권과 해양 질서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해경 대변인 류더쥔(刘德军, Liu Dejun)은 “남사군도와 인근 해역은 명백히 중국의 주권 범위 안에 있다”며, “필리핀의 행위는 중국 영토 주권을 심각히 침해하고 남중국해 평화와 안정을 훼
더지엠뉴스 김대영 기자 | 중국 외교부와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은 라이칭더(赖清德, Lai Ching-te) 대만 지역 지도자의 ‘쌍십절’ 연설을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연설에서 ‘대만 독립’과 ‘양국론’을 반복하며 “현상 유지”를 주장했으나, 중국 측은 이를 “역사 왜곡과 분열 선동”으로 규정했다. 11일 중ㄱ국 외교부에 따르면, 라이의 발언은 “사실을 뒤집고 국제적 합의를 부정하는 위험한 언행”으로,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됐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郭家坤, Guo Jiakun)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 존재하며, 대만은 중국의 영토 일부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외세의 무기 판매나 군사 협력은 평화를 해치는 개입 행위”라며, “무력 대결로 통일을 저지하려는 시도는 파멸로 향하는 길”이라고 경고했다.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천빈화(陈斌华, Chen Binhua) 대변인도 별도 성명에서 “라이가 ‘중국 본토 위협’을 부풀리고 ‘민주 대 권위주의’ 구도를 조작해 대만 독립을 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은 양안 긴장을 고조시키고, 대만 주민에게 부담을 지우며, 경제와 발전의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범위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됐다. 미국 의회 일각의 주장과 달리 중국은 결의가 ‘하나의 중국’을 확인한 국제 규범임을 재차 명확히 했다. 3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대만 관련 발언, 청년 과학기술 인재 대상으로 신설된 K비자, 조선반도 정세, 댜오위다오(钓鱼岛, Diaoyudao) 해역 활동 등 현안 전반에 대해 구체 입장을 밝혔다. 궈 대변인은 먼저 유엔 총회 제2758호 결의가 1971년 표결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의 모든 합법적 권리를 회복하고, 세계에 오직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두 개의 중국’ ‘하나의 중국, 하나의 대만’을 만들어 보려는 과거의 ‘이중 대표’ 시도는 채택되지 못해 폐기됐고, 현재도 성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법률적 맥락에서는 1971~1972년 유엔 체계 각 기관이 결의에 따라 이른바 대만 측 ‘대표’의 지위를 정리했고, 유엔 사무국 법률 의견도 “대만은 중국의 한 성으로 독립 지위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언급했다. 실무 관행 측면에선 유엔과 주요 국제·지역기구들이 일관되게 하나의 중국 원칙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리창(李强, Li Qiang) 총리가 뉴욕 UN본부에서 열린 글로벌 발전 이니셔티브(GDI) 고위급 회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며 중국의 다자주의 행보를 부각했다. 2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성과와 국제사회의 반응을 설명했다. 리 총리는 GDI가 2021년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주석이 제안한 이래 130여 개국과 국제기구가 참여한 국제 공공재로 자리 잡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 4년간 230억 달러(약 31조 4000억 원)를 동원해 1800여 개 협력 사업을 추진했고, 향후 5년간 2000건의 민생 프로젝트를 추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WHO와 연계한 보건 협력 확대, WTO ‘중국 프로젝트’ 지원 등도 약속했다. 중국은 같은 자리에서 ‘인공지능+ 국제협력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이는 AI의 산업 응용, 인재 양성, 문화 교류, 민생 개선 등을 다섯 축으로 설정해 각국이 국정에 맞는 AI+ 전략을 추진하자고 촉구한 것이다. 궈 대변인은 “중국의 혁신 역량을 국제사회와 공유해 상호 존중과 상생의 원칙 아래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대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미국에서 틱톡 사용 금지 시한이 미뤄질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중국은 정상 간 외교의 전략적 의미를 강조하며 대응했다. 외교부는 틱톡 문제는 이미 관련 부처가 설명을 제공했다면서도, 고위급 소통이 미중 관계에서 갖는 중요성을 부각했다. 17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중 정상 통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정상 외교는 양국 관계에서 대체 불가한 전략적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틱톡 관련 사안은 중국의 해당 부처가 이미 필요한 정보를 공개했다”며 추가 언급을 피했다. 그는 미중 간 고위급 교류와 정상 간 직접 소통이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채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틱톡 문제를 둘러싼 미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은 해당 사안을 단일 기업 이슈가 아닌 양국 관계 전반의 맥락 속에서 다루려는 태도를 드러냈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은 미국과의 고위급 무역 회담을 앞두고 자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 수호 의지를 분명히 했다. 양측은 관세 문제와 수출통제 남용, 그리고 틱톡 운영 방안을 비롯한 민감한 의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13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허리펑(何立峰, He Lifeng) 국무원 부총리가 대표단을 이끌고 14~17일 스페인을 방문해 미국 측과 무역 협상을 진행한다. 이번 회담은 4월 이후 이어진 고위급 대화의 연장선으로, 미국의 일방적 관세 조치와 틱톡 규제 등이 핵심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상무부는 성명에서 “중국은 자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확고히 보호할 것이며, 법과 규정에 따라 틱톡 문제를 심사하고 승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상호존중과 평등한 협상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양국은 5월 스위스 제네바 1차 회담에서 추가 관세율 115% 가운데 91%포인트를 취소하고 24%포인트에 대해선 90일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6월 런던, 7월 스톡홀름 회담에서도 유예 연장이 결정됐으며, 현 유예 기한은 11월 10일 0시 1분까지로 설정돼 있다. 한편 미국 언론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1일 중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은 세계 경기 둔화와 교역 환경 불안정 속에서도 대외무역 다변화를 통해 성장 동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국은 수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유럽, 동남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과의 협력 확대가 충격 완화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1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 대변인은 올해 1~8월 중국의 무역 총액이 전년 대비 3.5% 증가했으며, 외국 기업의 기여도가 상당했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교역 파트너와의 협력이 글로벌 공급망 안정과 국내외 소비자 이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 린 대변인은 러시아·벨라루스 합동 군사훈련으로 인한 폴란드 국경 봉쇄 문제와 관련해 중유럽 화물열차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의 신임 주중 대사 지명 보도에는 “양국 관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기대한다”고 답했다. 남중국해 문제에서는 황옌다오가 중국 영토임을 거듭 강조하며 자연 보호구역 지정은 주권 범위 내 조치라고 밝혔다. 브라질이 발의한 열대우림 기금에는 환영 입장을 표하며 기후변화 대응 협력 의지를 나타냈다. 홍콩의 세계 인재 순위 상승에 대해서는 금융·무역·항만 허브로서 매력이 강화됐다고 설명하며 각국 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