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이 태국 국왕의 국빈 방중을 계기로 아세안 협력의 폭을 넓히는 한편,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을 강하게 비판하며 한 회견장에서 외교적 온도차를 뚜렷하게 드러냈다.
이와 함께 시리아 테러 문제, 유럽의 2차대전 인식, 가자지구 결의안, 방글라데시 정국 등 복합 현안에 연속 대응하며 중국 외교가 중견·대국 간 균형 구도를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 보여줬다.
1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태국 국왕 와치랄롱콘(Vajiralongkorn) 방중의 성과를 먼저 언급하며 양국 관계 50년의 의미를 강조했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와치랄롱콘 국왕은 회담에서 경제·문화·인적 교류를 아우르는 장기 협력을 확대하는 데 뜻을 모았고, 국왕 부부가 인민영웅기념비를 찾아 헌화하고 중국식 현대화 성과를 둘러본 일정 역시 상징적으로 소개됐다.
시리아가 위구르계 무장 세력 이송 문제를 논의했다는 서방 보도에는 직접 언급을 피했지만, 마오닝 대변인은 동투르키스탄이슬람운동(东伊运, Dongyiyun)이 중국 법체계와 유엔 안보리 제재 명단이 공인한 테러 조직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그는 시리아 정부가 중국의 주권과 안전을 훼손하는 활동을 자국 영토에서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으며, 양국이 테러 대응과 안보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유럽연합 고위대표가 2차대전 당시 중국의 희생과 공헌을 언급하며 경의를 표한 데 대해서는, 중국이 반파시스트 전쟁의 동방 주전장으로 감당한 민족적 대가와 국제적 기여가 역사에 각인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일 국장급 협의 질문이 제기되자, 일본 총리 타카이치 사나에의 최근 대만 관련 발언을 다시 꺼내며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위반하고 중일 네 개 정치문서 정신을 훼손한 발언”이라고 규정했다.
중국은 일본이 발언을 즉각 철회하고 추가 자극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타카이치 총리의 언급이 전후 국제질서를 흔들고 양국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손상한다고 비판했다.
중국 해경선의 댜오위다오(钓鱼岛, Diaoyudao) 해역 순시를 두고 일본이 항의한 사안에는 해당 도서가 중국 고유 영토이며 해경선 활동은 합법적 권한이라는 기존 입장을 분명히 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일본의 항의를 중국 측이 현장에서 즉시 반박했으며, 일본 정부는 네 가지 원칙 합의를 준수하고 중국의 영토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중 일본대사관이 자국민에게 경계령을 내렸다는 질문에는, 중국 정부가 법에 따라 외국인의 안전을 보호해 왔으며 앞으로도 이를 이행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방글라데시 전 총리 셰이크 하시나의 사형 선고 문제는 내정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중국이 방글라데시 전 국민을 향한 우호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안정과 발전을 바란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미국 주일대사의 소셜미디어 글에 대해선 “정치적 연출”이라고 평가하며, 미일 동맹이 제3국을 겨냥하거나 다른 나라 내정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독일이 타이완 문제를 거론하며 우려를 표한 데에는, 타이완 문제는 중국 내정이며 해법도 중국인이 스스로 결정해야 할 문제라며 외부 개입 불가 원칙을 밝혔다.
중국 총영사관이 히로시마에서 예정했던 공동 추모 행사를 취소했다는 보도에는, 일본 정부가 비엔나 협약에 따라 중국 공관의 정상적 직무 수행을 보장해야 한다는 원칙론으로 답했다.
중일 관계 향방 질문에는 “현 상황의 원인은 일본 총리의 발언”이라며 잘못된 언급을 즉각 철회하고 태도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호주·뉴질랜드에서 중국산 어린이용 모래에서 석면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나왔다는 질문에는, 현지 업체와 공급사 간 조율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구체 책임은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이 자위대 계급 명칭을 과거 군대 용어로 환원하려 한다는 보도에는, 아시아와 국제사회가 일본의 군사·안보 행보를 주시하는 이유가 분명하다며 방위비 증액, 무기 수출 제한 완화, 공격형 무기 모색 등을 차례로 언급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일본 군국주의 침략전쟁의 역사적 참상을 언급하며, 전후 국제질서를 위협하는 어떠한 움직임도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가자지구 관련 결의안 표결에서 중국이 기권한 사안은, 미국 초안이 전후 구상과 ‘두 국가 해법’ 원칙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이 팔레스타인의 정당한 권리 회복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계속 참여하며, 관련 당사자와의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