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저장성 산학연협력촉진회(浙江省产学研合作促进会, 이하 촉진회)는 저장대학교가 주최하고 여러 기타 대학, 과학 연구기관 및 유명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정부 관리자, 기업가, 과학자, 전문가, 학자, 투자자 등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비영리 사회단체다. 촉진회는 산학연(产学研)과 정부, 금융기관 사이의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사회 각계 층의 역량 결속하며 저장성의 기업, 특히 민간기업과 중소기업의 과학기술 자주 혁신 능력 향상을 목표로 잡고 있다. 촉진회는 우수한 비영리 사회단체로 성장하는 것을 청사진으로 그린다. 특히 대학, 과학 연구기관 및 기업에서 공동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산학연 및 정부의 상호 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 또 각 지역, 산업, 학계의 높은 수준의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업의 자주 혁신 역량을 향상해 혁신 결과의 상업화, 산업화 및 국제화를 실현하는 조력자가 되고자 한다. 관련 정부 부처를 보조해 산학연 통합을 촉진하고 기술 이전, 성과 전환 및 산업 업그레이드를 위한 세미나, 보고회, 상담회, 포럼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관련 정부 부처와 협력해 정보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산학연 협력
[더지엠뉴스]'성훙홀딩스그룹(盛虹控股集团, 이하 성훙)’은 1992년 설립되어 석유화학, 신재생에너지, 신소재, 첨단 방직의 전체 산업체인을 아우르는 글로벌 첨단기술 그룹이다. 성훙은 쑤저우(苏州), 롄윈강(连云港), 수쳰(宿迁) 등 3곳에 산업 기지를 구축했고 타이저우(泰州), 장자강(张家港)에도 신형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중국에서 유일하게 ‘석유, 석탄, 가스’ 3개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는 기업이며 ‘방향족 탄화수소’, ‘올레핀’ 2개 사업 역시 운영하고 있다. 업·다운 스트림의 산업체인 일체화 발전 모델을 보유한 회사로도 유명하다. 그룹 산하 1개의 상장 기업(둥방성훙·东方盛虹)이 있으며 베이징, 상하이, 홍콩, 싱가폴 등에 지사를 설립해 글로벌 공략을 확대하고 있다. 성훙의 2022년 매출은 4120억 위안(약 77조5300만원)에 달한다. 이 때 ‘글로벌 500대 기업’ 222위, ‘중국 500대 기업’ 66위, ‘중국 민영 500대 기업’ 11위, ‘중국 제조업 민영 500대 기업’ 7위를 각각 차지했다. 또 중국 국무원으로부터 ‘국가과학기술진보상(国家科技进步奖)’, ‘중국산업대상(中国工业大奖)’, ‘중국 방직의 빛
[더지엠뉴스]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 상장사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3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영 신화통신은 “투자 열기가 뜨거웠던 것”이라고 평가했다. 21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상하이거래소의 2023년 메인보드 상장사 연구개발비 투자 총액은 9000억 위안(약 168조3000억원)에 육박했다. 전년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투자 총액은 2021년과 2022년에 이어 3년 연이어 늘어나게 됐다. 특히 항공 장비, 전력, 통신서비스 등 업종의 연구개발비 투자 증가율은 30%를 상회하며 시장의 관심을 반영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을 뜻하는 연구개발 집약도의 경우 상하이거래소 메인보드 중 소프트웨어 개발, 화학제약 등 업종이 10% 이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연구개발 집약도가 높은 기업이 자본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사실이라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상하이거래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메인보드 상장사 중 연구개발 집약도가 5% 이상인 기업의 전체 주가 수익률은 36.14배였다. 이는 2019년의 35.05배 수준이다. 상하이거래소 메인보드 전체의 주가 수익률 9.99배도 웃도는 수치다. 신화통신은 “최근 10년간 상하
[더지엠뉴스] 중국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진작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기존주택 거래 활성화 신규주택 재고 소진 공공주택 공급 확대 등을 통해 침체한 부동산 경기가 점차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9일 한국은행 베이징사무소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30일 중국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는 부동산 경기 회복을 위해 재고 소진 및 신규 공급 최적화 등을 통한 부동산 부양을 언급했다. △부동산 재고조정 △신규공급량 최적화 △새로운 공급모델 구축 △고품질 부동산 개발 등이 골자다. 이 가운데 재고 소진을 통한 부동산 시장 부양 정책은 2015년 경제공작회의 이후 9년 만이다. 지난해 12월 경제공작회의에서 제시된 보장성 주택 성중촌 등 공급 확대 정책에 더해 수요진작 정책을 추가하는 모습으로 해석됐다. 보장성 주택은 향후 5년 이내 총 600만 채의 보장성 주택 건설하는 것이고, 성중촌은 대형도시 내 판자촌 개조, 신규주택으로 낡은 주택 차환 보상 등을 의미한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해 이미 시행 중인 대도시구매제한 폐지와 주택 이구환신(以久換新) 등의 수요진작 정책을 더욱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도시구매제한 폐지의 경우 지난 9일 항저우와 시
[더지엠뉴스] LG생활건강의 더후와 CNP가 중국에서 인기를 다시 입증했다. 화장품의 효능·효과에 집중한 차별화된 기술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LG생활건강에 따르면 최근 중국 상하이시가 주최한 ‘2024 상하이 국제 뷰티 페스티벌’에서 더후와 CNP가 각각 ‘과학기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또 로레알그룹, 에스티로더그룹 등과 함께 우수한 화장품 기업에 수여하는 ‘걸출공헌상’을 받았다. 상하이시는 뷰티·패션을 선도하는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2020년부터 자체 쇼핑 행사인 ‘5·5 쇼핑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 행사의 일환으로 지난달 24일부터 5월 8일까지 랜드마크인 지우광백화점에서 ‘2024 상하이 국제 뷰티 페스티벌’을 진행했다. 국제 뷰티 페스티벌에는 중국 브랜드뿐만 아니라 LG생활건강, 로레알, 에스티로더, 시세이도 등 국내외 25개 화장품 브랜드가 참여했다. 이들 기업은 대표들이 직접 나와 중국 내 마케팅 전략을 발표하는 등 상해시와 적극적인 협업 의지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올해 처음 참여해 최근 리뉴얼 출시한 ‘더후 비첩 자생 에센스 4.0’과 ‘CNP 프로폴리스 에너지 액티브 앰플’을 선보이며
[더지엠뉴스] 베이징치디창업인큐베이터유한회사(北京启迪创业孵化器有限公司, 이하 치디)는 칭화창업단지(清华创业园, 1999년 설립)에서 출발한 칭화대학 과학기술원의 기업 서비스 플랫폼이면서 치디 기업 산하의 전문적인 창업 육성 인큐베이터 기업이다. 2002년 과기부 횃불센터(火炬中心)에 의해 최초의 국가급 인큐베이터로 지정됐으며, ‘인큐베이팅+투자’의 발전 모델과 전문 인큐베이터의 발전 방향을 성공적으로 연구하며, 수년 간의 탐색과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더해가고 있다. 치디는 ‘4 위일체(인큐베이팅 서비스+엔젤투자+창업교육+개방플랫폼)’의 운영 체계를 통해 ‘치디즈싱 인큐베이터’, ‘치디즈싱 창업투자’, ‘치디즈싱 일(壹)계획’을 대표로 하는 육성, 투자, 자문 의 3 가지 사업 라인을 구축해 활발한 혁신 창업 생태계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치디즈싱 인큐베이터 (1) 글로벌화 혁신 네트워크 치디는 클러스터식 혁신 이론을 토대로, 200개 이상의 인큐베이팅 기지를 구축했고, 이는 해외 15 개 도시를 포함 총 90개 이상의 도시를 커버했다. 혁신 인큐베이팅 네트워크 면적은 약 87만㎡로, 국가급 자격을 승인 받은 기지는 총 62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국
[더지엠뉴스] 미국 전기자 업체 테슬라의 메가팩 배터리 생산 공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지시로 조성된 상하이 자유무역구에 들어서는 것으로 확정됐다. 미국 본토 이외 국가에선 처음이다. 중국 매체들은 ‘큰 소식’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14일 뤼중조간 등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 린강 자유무역구 관리위원회는 전날 테슬라의 대용량 에너지저장 장치인 메가팩 배터리 공장 건설 요청을 승인했다. 공장 부지는 테슬라 전기차 생산기지인 상하이 메가팩토리와 인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지난해 4월 상하이 린강 자유무역구에 연간 40GWh(기가와트시, 1GWh=1000 MWh) 규모의 1만개의 메가팩 배터리 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밝힌데 이어 12월에 20만㎡공장부지 계약을 체결했다. 총 투자액은 14억5000만위안(약 2740억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매체들은 메가팩 공장 건설이 이번 달 시작되면 내년 1분기부터 양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각 상업용 에너지 저장 배터리는 3MWh 이상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첨단산업연구원(GGII)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에너지저장 리튬배터리 출하량은 130GWh다. 상하이 린강 자유무역구 관계자는 “후속으로
[더지엠뉴스] 앞으로 중국에서 리튬배터리 사업을 유지하려면 주력 업종 수입의 3% 이상을 매년 연구개발(R&D) 기술개선에 투자해야 한다. 12일 환구시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는 최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리튬배터리산업 규범조건’ 및 ‘리튬배터리산업 공고 관리방법’을 발표하고 공개 의견수렴을 시작했다. 공신부는 “리튬이온배터리 산업의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며 “기업이 생산력 확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제조 프로젝트를 축소하고 기술 혁신 강화, 제품 품질 개선, 생산 비용 절감을 추진토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중국 리튬배터리 산업이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확대되고 생산 규모는 확장되는 반면, 설비가동률(capacity utilization)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라는 점을 반영했다. 실제 중국 자동차 동력배터리 산업혁신연맹의 자료를 보면 2025년 중국의 리튬배터리 생산력은 3000GWh(기가와트시)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설비가동률은 2023년 6월 기준 40%까지 떨어졌으며, 2025년이 되면 35%까지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전리(真鋰)연구소의 모커(墨柯) 수석
[더지엠뉴스] 중국 화웨이가 미국의 전방위 견제를 받고 있으면서도 기술 자립에 상당한 진전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왔다. 최신 고급 스마트폰에 중국 업체의 부품 사용이 증가한 것이 판단의 배경이다.주요 외신에 따르면 9일(현지시간) 온라인 전자제품 수리업체 아이픽스잇(iFixit)과 컨설팅 업체 테크서치 인터내셔널은 화웨이의 퓨라(Pura) 70을 분석한 뒤 이같이 밝혔다. 업체들은 화웨이의 자회사 하이실리콘이 패키징한 것으로 추정되는 낸드 플래시를 찾았다. 하이실리콘의 낸드플래시는 SK하이닉스나 일본 키옥시아, 미국 마이크론과 같은 주요 제조사들의 제품과 비견할 만한 것으로 진단된다. 지난달 출시된 퓨라 70 모델 4개는 순식간에 품절됐다. 애널리스트들은 퓨라 70이 애플 아이폰의 점유율을 뺏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화웨이는 미중 무역 갈등의 상징이 됐으며 미국 제재를 받은 지 4년 만에 고급 스마트폰 시장에 재등장했다. 퓨라70은 화웨이의 기린9010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는 지난해 8월 화웨이가 내놓은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에 내장된 7나노미터(㎚=10억분의 1m) 프로세서인 기린 9000S보다 향상된 최신 버전이다.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는 인텔, 퀄컴 등에 화웨이 수출면허를 취소한 미국의 조치와 관련, “미국은 국가 안보 개념을 과도하게 확장하고, 경제 및 무역 문제를 정치화하고, 수출 통제 조치를 남용하고, 특정 중국 기업에 대해 불합리한 제재와 억압 조치를 반복적으로 채택했다”면서 “중국은 이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8일 비판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미국이 순수 민간 소비자용 반도체 제품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고 특정 중국 기업에 대한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셰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위반할 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의 이익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는 전형적인 경제 강압 관행”이라고 지적했다. 또 “미국이 한 일은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추구하지 않는다’, ‘중국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며, ‘국가 안보를 정확하게 정의한다’는 미국의 선언에도 어긋난다”면서 “중국은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7일(현지시간)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반도체 등을 수출하는 일부 기업에 대한 수출 면허를 취소했다. 이로써 화웨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