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Home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청명절 연휴 시작... 7억6천만 명 이동 예상
[더지엠뉴스] 중국이 4일부터 청명절(淸明節) 연휴에 들어간다. 연휴는 사흘간 이어지며, 전국적으로 대규모 인구 이동이 예상된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이번 연휴 동안 지역 간 인구 이동이 약 7억6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로, 청명절 연휴를 맞아 가족 방문과 성묘, 관광 등으로 인해 이동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관광객의 약 90%는 반경 500㎞ 이내의 거리를 이동할 것으로 조사됐으며, 대부분 근거리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청년보가 설문조사업체 원쥐안닷컴과 함께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0%가 3시간 이내 거리를 여행지로 선택했다고 답했다. 이는 연휴 기간 동안 시간을 절약하고 가까운 지역에서 휴식을 취하려는 경향이 강해졌음을 보여준다. 청명절에는 전통적으로 조상을 기리기 위해 성묘를 가거나 가족과 모여 음식을 나누는 문화가 깊게 뿌리내려 있다. 이러한 전통적 행사를 위해 도심에서 교외로 나들이를 떠나는 경우가 많아 교통 혼잡이 예상된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중국 당국은 7인승 이하 자동차에 대해 연휴 기간 동안 전국 고속도로 무료 통행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내수 소비를 진작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또한, 전국 철도를 이용하는 승객 수는 약 8천4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주요 도시 간 고속철도 노선에는 평소보다 많은 임시 열차가 투입돼 수송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중국 당국은 연휴 기간 동안 관광지 방역 조치를 강화해 안전한 여행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관광지와 교통 요충지에서는 방역 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방역 수칙 준수를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이번 청명절 연휴는 중국 내수 진작과 관광 활성화의 중요한 기회로 활용될 전망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관광객의 안전과 원활한 교통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
중국 정부, 미얀마에 두 번째 인도주의 지진 구호 물자 지원 시작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는 미얀마에 두 번째 긴급 인도주의 지진 구호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3일 오전 베이징 수도국제공항에서 물자를 출발시켰다. 이번에 지원되는 물자는 800개의 텐트, 2000개의 담요, 3000박스의 비스킷, 2000박스의 생수 등 긴급 구호 물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국적 항공기의 전세기를 통해 양곤으로 운송될 예정이다. 앞서 첫 번째 구호 물자는 지난달 31일 이미 미얀마에 도착한 바 있다. 이와 함께 4월 1일 윈난성 더훙(德宏, Dehong) 망시(芒市, Mangshi) 국제공항에서는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기부된 의료 물품이 촬영됐다.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인민정부는 미얀마 보건부에 항공편을 통해 24만 위안 상당의 의료 물품을 전달했다. 이는 더훙 주정부가 미얀마 피해 지역에 기부한 두 번째 물자다. 중국 국제발전협력처 대변인 리밍(李明, Li Ming)은 "중국은 미얀마 측의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지원을 제공할 것이며, 재해를 조기에 극복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돕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중국과 국제 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미얀마 국민이 조기에 재난을 극복하고 삶을 재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얀마는 최근 규모 7.9의 강진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인도주의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
'역시~' 미얀마 강진 현장서 딥시크 번역 플랫폼 활용한 중국 구조대
[더지엠뉴스]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규모 7.9 강진 현장에 파견된 중국 구조대가 인공지능(AI) 챗봇 모델인 딥시크(DeepSeek) 기반의 번역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지 구조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2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주미얀마 중국대사관은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 현장에서 딥시크를 기반으로 긴급 개발된 '중국어-미얀마어-영어 번역 플랫폼'이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번역 플랫폼은 중국 국가응급언어서비스단 사무국과 베이징어언대학이 긴급히 조직한 '언어 서비스 지원팀'이 단 7시간 만에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약 700여 명의 구조대원과 현지 인력이 이 플랫폼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구조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한 번역을 제공하여 의사소통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개발팀은 딥시크를 활용하여 중국어, 미얀마어, 영어 간의 실시간 번역이 가능한 웹페이지 50여 개를 생성하였으며, 각 페이지에는 발음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구조 현장에서의 신속한 의사소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중국 국제구조대(CISAR)는 지진 발생 후 즉시 대응하여, 118명의 대원과 6마리의 탐색견, 2대의 구조 차량, 그리고 634개의 구조 장비와 의료 물자를 갖추고 3월 30일 오후 7시 38분에 중국 공군의 윈(运)-20 수송기를 통해 미얀마로 출발하였다. 이들은 현지에 도착한 후 즉시 구조 작업에 착수하였다. 중국 구조대는 미얀마 현지 구조대 및 중국 홍콩 특별행정구 구조대와 협력하여 만달레이(曼德勒, Mandalay) 지역의 피해가 심각한 지역에서 공동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뱀눈 내시경, 생명 탐지기, 전방위 카메라, 드론 등의 장비를 활용하여 구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진 발생 직후 미얀마에 1억 위안의 긴급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첫 번째 지원 물자는 3월 31일에 출발하였다. 한편, 미얀마 군사정부는 실갠(实皆, Sagaing), 만달레이, 버고(勃固, Bago), 마궤(马圭, Magway), 샨(掸邦, Shan), 네피도(内比都, Naypyidaw) 등 6개 행정구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중국 구조대의 이러한 노력은 국제 사회에서 인도주의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얀마 국민들에게 큰 위로와 도움을 주고 있다.
-
중국 구조대,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긴급 투입
[더지엠뉴스]중국 구조대가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긴급 투입되어 인명 구조와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지진은 28일 미얀마 나피도(Nay Pyi Taw)를 중심으로 발생했으며, 규모 7.9의 강진으로 인해 최소 1,700명이 사망하고 3,400명이 부상당했으며, 300명이 실종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진은 만달레이(Mandalay), 바고(Bago), 마궤(Magway), 샨(Shan), 사가잉(Sagaing) 등 여러 지역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남겼다. 31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붕괴되고 도로가 파손되었으며 공공시설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만달레이 지역에서는 건물의 80%가 파괴되었고, 많은 사원과 학교, 병원이 완전히 붕괴되어 잔해로 변했다. 중국 정부는 지진 발생 직후 즉각 구조대를 파견하여 피해 복구와 인명 구조에 나섰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미얀마 민 아웅 흘라잉(Min Aung Hlaing) 총사령관에게 위로를 전하며, 중국 정부와 인민을 대표해 사망자와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했다. 또한 중국은 미얀마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윈난성(云南, Yunnan)에서 파견된 37명의 구조대는 미얀마 구조대와 협력하여 나피도에서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건물 붕괴 현장에서 생존자 수색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구조대는 고성능 생명탐지기,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휴대용 위성 전화, 드론 등을 활용하여 구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구조 활동 중 윈난 구조대는 나피도의 오타라 티리(Ottara Thiri) 사립병원 붕괴 현장에서 약 40시간 동안 매몰되어 있던 고령자를 구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중국 구조대가 미얀마 현지에 도착한 이후 처음으로 생존자를 구출한 사례로, 현지 구조대와 협력하여 구조 작업을 계속 진행 중이다. 또한 중국 국제구조대 소속 118명과 구조견 6마리, 구조 장비 및 의료 물자를 실은 Y-20 수송기가 베이징에서 출발해 나피도에 도착했다. 구조대는 인명 구조와 의료 지원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만달레이(Mandalay)와 바고(Bago) 등 피해가 큰 지역으로도 파견되어 긴급 복구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홍콩 정부에서도 구조대를 파견하여 지원에 나섰으며, 민간 구조대도 활동을 시작했다. 선전(深圳, Shenzhen)에서 출발한 23명의 민간 구조팀은 경량 구조 장비와 구조견을 동반해 피해 현장으로 이동 중이다. 또한 윈난성 블루 스카이 구조팀도 구호 장비와 구조견을 동반하여 현장 지원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 적십자사도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천막 300개, 담요 2,000개, 접이식 침대 600개, 구호 키트 등 필수 물품을 미얀마에 전달했다. 이와 함께 국제 적십자 구조팀도 긴급 구호 장비를 들고 미얀마로 출발해 인도적 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미얀마에 1억 위안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으며, 재난 복구와 생존자 지원에 필요한 자원을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지진 피해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지반 변형을 분석하여 추가 피해를 예방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신속한 대응은 미얀마와의 우호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미얀마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중국 구조대의 신속한 투입과 적극적 지원에 깊은 감사의 뜻을 표했으며, 앞으로도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중국 AI 기술, 일부 핵심 분야에서 미국 턱밑까지 따라붙었다
[더지엠뉴스]중국 스타트업 01.AI의 창립자 리카이푸가 미국과 중국 간의 인공지능(AI) 기술 격차가 일부 핵심 기술에서는 3개월 이내로 좁혀졌다고 밝혔다. 26일 기준으로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공개된 이 발언은, 생성형 AI 분야에서 중국의 기술 추격이 실제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리카이푸는 구글 차이나의 초대 대표를 지낸 인물로, 현재는 딥시크(DeepSeek)라는 중국 AI 모델의 성공을 기반으로 자신감 있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가 중국 기술 기업들에 단기적으로는 도전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기술 혁신을 자극하는 ‘양날의 검’이었다고 평가했다. 리카이푸는 특히 “기존엔 AI 핵심기술 전반에서 6~9개월 정도 뒤처져 있었다”며 “지금은 일부 분야에서는 3개월 차이로 줄었고, 특정 기술은 이미 앞서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딥시크는 오픈AI의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 개발 경쟁에 뒤늦게 합류했지만, 인프라 소프트웨어와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오히려 서구보다 앞서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01.AI는 2023년 3월 설립됐으며, 현재 바이두,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과 협력해 중국형 대형 언어 모델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달 초에는 기업들이 자사 AI 기술을 실제 환경에 배치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완즈(Wanzhi)’도 공개했다. 블룸버그는 딥시크가 대규모 투자가 없어도 고성능 AI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중국 기술 업계 전반에 불을 붙였다고 보도했다. 딥시크의 등장 이후 중국 주요 기술 기업들은 2주 안에 10건 이상의 AI 제품을 새로 내놓거나 업데이트했다. 바이두는 딥시크 R1에 대응해 ‘어니X1’을 발표했고, 알리바바는 AI 추론모델 업그레이드를 공개했다. 텐센트는 AI 개발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앤트그룹은 국산 칩을 활용한 AI 모델 훈련 기술로 엔비디아 대비 약 20%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딥시크는 이에 맞서 V3 모델 업그레이드를 발표했고, 메이투완은 AI 관련 분야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선언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 등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것처럼, AI 분야에서도 기술 도약이 반복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픈소스 모델이 향후 컴퓨터 비전, 로봇공학, 이미지 생성 등으로 확장될 것이라 전망했다. 중국 AI 생태계는 이제 단순한 모방 단계를 넘어, 독자적인 기술 역량과 응용 확산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경쟁 국면에 진입했다. 딥시크를 시작으로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앤트그룹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가세하면서, AI 분야에서도 중국의 본격적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
중국, 첫 '우주 채굴 로봇' 개발…달 환경서 실험 진행
[더지엠뉴스] 중국이 우주 자원 채굴을 위한 독자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중국광업대(中国矿业大学) 연구진은 우주에서 광물을 채굴할 수 있는 최초의 중국산 우주 채굴 로봇을 개발했으며, 현재 달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한 류신화(刘新华) 교수는 "우주 채굴 로봇은 지구와 달리 중력이 미약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며 "소행성이나 달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광물을 채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이 로봇은 여섯 개의 다리를 갖추고 있으며, 세 개에는 바퀴를, 나머지 세 개에는 곤충의 발톱과 유사한 구조가 적용됐다. 연구진은 기존 바퀴형 로봇이 우주 환경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톱형 다리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로봇이 극미중력 환경에서도 지면을 강하게 움켜쥐고 시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채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자체 무게만으로 드릴을 작동할 수 없는 우주 환경의 특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곤충의 발톱 구조에서 영감을 얻어 강력한 접지력을 제공하는 다리 설계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로봇은 다양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시추 및 샘플 채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구진은 달과 유사한 실험장에서 로봇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실험 결과, 이 로봇은 이동, 고정, 시추, 샘플 채취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진은 우주 방사선, 극한의 온도 변화, 진공 상태에서도 로봇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내구성 강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은 2019년 창어(嫦娥) 4호를 통해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고, 2023년 창어 6호를 이용해 달 뒷면 토양을 채취한 바 있다. 이번 우주 채굴 로봇 개발은 중국의 우주 자원 개발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받고 있다.
실시간 사회/과학 기사
-
-
중국, 청명절 연휴 시작... 7억6천만 명 이동 예상
- [더지엠뉴스] 중국이 4일부터 청명절(淸明節) 연휴에 들어간다. 연휴는 사흘간 이어지며, 전국적으로 대규모 인구 이동이 예상된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이번 연휴 동안 지역 간 인구 이동이 약 7억6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로, 청명절 연휴를 맞아 가족 방문과 성묘, 관광 등으로 인해 이동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관광객의 약 90%는 반경 500㎞ 이내의 거리를 이동할 것으로 조사됐으며, 대부분 근거리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청년보가 설문조사업체 원쥐안닷컴과 함께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0%가 3시간 이내 거리를 여행지로 선택했다고 답했다. 이는 연휴 기간 동안 시간을 절약하고 가까운 지역에서 휴식을 취하려는 경향이 강해졌음을 보여준다. 청명절에는 전통적으로 조상을 기리기 위해 성묘를 가거나 가족과 모여 음식을 나누는 문화가 깊게 뿌리내려 있다. 이러한 전통적 행사를 위해 도심에서 교외로 나들이를 떠나는 경우가 많아 교통 혼잡이 예상된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중국 당국은 7인승 이하 자동차에 대해 연휴 기간 동안 전국 고속도로 무료 통행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내수 소비를 진작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또한, 전국 철도를 이용하는 승객 수는 약 8천4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주요 도시 간 고속철도 노선에는 평소보다 많은 임시 열차가 투입돼 수송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중국 당국은 연휴 기간 동안 관광지 방역 조치를 강화해 안전한 여행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관광지와 교통 요충지에서는 방역 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방역 수칙 준수를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이번 청명절 연휴는 중국 내수 진작과 관광 활성화의 중요한 기회로 활용될 전망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관광객의 안전과 원활한 교통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청명절 연휴 시작... 7억6천만 명 이동 예상
-
-
중국 정부, 미얀마에 두 번째 인도주의 지진 구호 물자 지원 시작
-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는 미얀마에 두 번째 긴급 인도주의 지진 구호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3일 오전 베이징 수도국제공항에서 물자를 출발시켰다. 이번에 지원되는 물자는 800개의 텐트, 2000개의 담요, 3000박스의 비스킷, 2000박스의 생수 등 긴급 구호 물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국적 항공기의 전세기를 통해 양곤으로 운송될 예정이다. 앞서 첫 번째 구호 물자는 지난달 31일 이미 미얀마에 도착한 바 있다. 이와 함께 4월 1일 윈난성 더훙(德宏, Dehong) 망시(芒市, Mangshi) 국제공항에서는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기부된 의료 물품이 촬영됐다.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인민정부는 미얀마 보건부에 항공편을 통해 24만 위안 상당의 의료 물품을 전달했다. 이는 더훙 주정부가 미얀마 피해 지역에 기부한 두 번째 물자다. 중국 국제발전협력처 대변인 리밍(李明, Li Ming)은 "중국은 미얀마 측의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지원을 제공할 것이며, 재해를 조기에 극복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돕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중국과 국제 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미얀마 국민이 조기에 재난을 극복하고 삶을 재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얀마는 최근 규모 7.9의 강진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인도주의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정부, 미얀마에 두 번째 인도주의 지진 구호 물자 지원 시작
-
-
'역시~' 미얀마 강진 현장서 딥시크 번역 플랫폼 활용한 중국 구조대
- [더지엠뉴스]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규모 7.9 강진 현장에 파견된 중국 구조대가 인공지능(AI) 챗봇 모델인 딥시크(DeepSeek) 기반의 번역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지 구조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2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주미얀마 중국대사관은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 현장에서 딥시크를 기반으로 긴급 개발된 '중국어-미얀마어-영어 번역 플랫폼'이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번역 플랫폼은 중국 국가응급언어서비스단 사무국과 베이징어언대학이 긴급히 조직한 '언어 서비스 지원팀'이 단 7시간 만에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약 700여 명의 구조대원과 현지 인력이 이 플랫폼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구조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한 번역을 제공하여 의사소통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개발팀은 딥시크를 활용하여 중국어, 미얀마어, 영어 간의 실시간 번역이 가능한 웹페이지 50여 개를 생성하였으며, 각 페이지에는 발음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구조 현장에서의 신속한 의사소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중국 국제구조대(CISAR)는 지진 발생 후 즉시 대응하여, 118명의 대원과 6마리의 탐색견, 2대의 구조 차량, 그리고 634개의 구조 장비와 의료 물자를 갖추고 3월 30일 오후 7시 38분에 중국 공군의 윈(运)-20 수송기를 통해 미얀마로 출발하였다. 이들은 현지에 도착한 후 즉시 구조 작업에 착수하였다. 중국 구조대는 미얀마 현지 구조대 및 중국 홍콩 특별행정구 구조대와 협력하여 만달레이(曼德勒, Mandalay) 지역의 피해가 심각한 지역에서 공동으로 구조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뱀눈 내시경, 생명 탐지기, 전방위 카메라, 드론 등의 장비를 활용하여 구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진 발생 직후 미얀마에 1억 위안의 긴급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첫 번째 지원 물자는 3월 31일에 출발하였다. 한편, 미얀마 군사정부는 실갠(实皆, Sagaing), 만달레이, 버고(勃固, Bago), 마궤(马圭, Magway), 샨(掸邦, Shan), 네피도(内比都, Naypyidaw) 등 6개 행정구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중국 구조대의 이러한 노력은 국제 사회에서 인도주의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얀마 국민들에게 큰 위로와 도움을 주고 있다.
-
- 중국
- 사회/과학
-
'역시~' 미얀마 강진 현장서 딥시크 번역 플랫폼 활용한 중국 구조대
-
-
중국 구조대,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긴급 투입
- [더지엠뉴스]중국 구조대가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긴급 투입되어 인명 구조와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지진은 28일 미얀마 나피도(Nay Pyi Taw)를 중심으로 발생했으며, 규모 7.9의 강진으로 인해 최소 1,700명이 사망하고 3,400명이 부상당했으며, 300명이 실종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진은 만달레이(Mandalay), 바고(Bago), 마궤(Magway), 샨(Shan), 사가잉(Sagaing) 등 여러 지역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남겼다. 31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붕괴되고 도로가 파손되었으며 공공시설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만달레이 지역에서는 건물의 80%가 파괴되었고, 많은 사원과 학교, 병원이 완전히 붕괴되어 잔해로 변했다. 중국 정부는 지진 발생 직후 즉각 구조대를 파견하여 피해 복구와 인명 구조에 나섰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미얀마 민 아웅 흘라잉(Min Aung Hlaing) 총사령관에게 위로를 전하며, 중국 정부와 인민을 대표해 사망자와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했다. 또한 중국은 미얀마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윈난성(云南, Yunnan)에서 파견된 37명의 구조대는 미얀마 구조대와 협력하여 나피도에서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건물 붕괴 현장에서 생존자 수색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구조대는 고성능 생명탐지기,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휴대용 위성 전화, 드론 등을 활용하여 구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구조 활동 중 윈난 구조대는 나피도의 오타라 티리(Ottara Thiri) 사립병원 붕괴 현장에서 약 40시간 동안 매몰되어 있던 고령자를 구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중국 구조대가 미얀마 현지에 도착한 이후 처음으로 생존자를 구출한 사례로, 현지 구조대와 협력하여 구조 작업을 계속 진행 중이다. 또한 중국 국제구조대 소속 118명과 구조견 6마리, 구조 장비 및 의료 물자를 실은 Y-20 수송기가 베이징에서 출발해 나피도에 도착했다. 구조대는 인명 구조와 의료 지원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만달레이(Mandalay)와 바고(Bago) 등 피해가 큰 지역으로도 파견되어 긴급 복구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홍콩 정부에서도 구조대를 파견하여 지원에 나섰으며, 민간 구조대도 활동을 시작했다. 선전(深圳, Shenzhen)에서 출발한 23명의 민간 구조팀은 경량 구조 장비와 구조견을 동반해 피해 현장으로 이동 중이다. 또한 윈난성 블루 스카이 구조팀도 구호 장비와 구조견을 동반하여 현장 지원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 적십자사도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천막 300개, 담요 2,000개, 접이식 침대 600개, 구호 키트 등 필수 물품을 미얀마에 전달했다. 이와 함께 국제 적십자 구조팀도 긴급 구호 장비를 들고 미얀마로 출발해 인도적 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미얀마에 1억 위안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으며, 재난 복구와 생존자 지원에 필요한 자원을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지진 피해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지반 변형을 분석하여 추가 피해를 예방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신속한 대응은 미얀마와의 우호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미얀마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중국 구조대의 신속한 투입과 적극적 지원에 깊은 감사의 뜻을 표했으며, 앞으로도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구조대,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 긴급 투입
-
-
중국 AI 기술, 일부 핵심 분야에서 미국 턱밑까지 따라붙었다
- [더지엠뉴스]중국 스타트업 01.AI의 창립자 리카이푸가 미국과 중국 간의 인공지능(AI) 기술 격차가 일부 핵심 기술에서는 3개월 이내로 좁혀졌다고 밝혔다. 26일 기준으로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공개된 이 발언은, 생성형 AI 분야에서 중국의 기술 추격이 실제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리카이푸는 구글 차이나의 초대 대표를 지낸 인물로, 현재는 딥시크(DeepSeek)라는 중국 AI 모델의 성공을 기반으로 자신감 있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가 중국 기술 기업들에 단기적으로는 도전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기술 혁신을 자극하는 ‘양날의 검’이었다고 평가했다. 리카이푸는 특히 “기존엔 AI 핵심기술 전반에서 6~9개월 정도 뒤처져 있었다”며 “지금은 일부 분야에서는 3개월 차이로 줄었고, 특정 기술은 이미 앞서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딥시크는 오픈AI의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 개발 경쟁에 뒤늦게 합류했지만, 인프라 소프트웨어와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오히려 서구보다 앞서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01.AI는 2023년 3월 설립됐으며, 현재 바이두,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과 협력해 중국형 대형 언어 모델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달 초에는 기업들이 자사 AI 기술을 실제 환경에 배치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완즈(Wanzhi)’도 공개했다. 블룸버그는 딥시크가 대규모 투자가 없어도 고성능 AI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중국 기술 업계 전반에 불을 붙였다고 보도했다. 딥시크의 등장 이후 중국 주요 기술 기업들은 2주 안에 10건 이상의 AI 제품을 새로 내놓거나 업데이트했다. 바이두는 딥시크 R1에 대응해 ‘어니X1’을 발표했고, 알리바바는 AI 추론모델 업그레이드를 공개했다. 텐센트는 AI 개발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앤트그룹은 국산 칩을 활용한 AI 모델 훈련 기술로 엔비디아 대비 약 20%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딥시크는 이에 맞서 V3 모델 업그레이드를 발표했고, 메이투완은 AI 관련 분야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선언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 등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것처럼, AI 분야에서도 기술 도약이 반복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픈소스 모델이 향후 컴퓨터 비전, 로봇공학, 이미지 생성 등으로 확장될 것이라 전망했다. 중국 AI 생태계는 이제 단순한 모방 단계를 넘어, 독자적인 기술 역량과 응용 확산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경쟁 국면에 진입했다. 딥시크를 시작으로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앤트그룹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가세하면서, AI 분야에서도 중국의 본격적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AI 기술, 일부 핵심 분야에서 미국 턱밑까지 따라붙었다
-
-
중국, 첫 '우주 채굴 로봇' 개발…달 환경서 실험 진행
- [더지엠뉴스] 중국이 우주 자원 채굴을 위한 독자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중국광업대(中国矿业大学) 연구진은 우주에서 광물을 채굴할 수 있는 최초의 중국산 우주 채굴 로봇을 개발했으며, 현재 달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한 류신화(刘新华) 교수는 "우주 채굴 로봇은 지구와 달리 중력이 미약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며 "소행성이나 달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광물을 채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이 로봇은 여섯 개의 다리를 갖추고 있으며, 세 개에는 바퀴를, 나머지 세 개에는 곤충의 발톱과 유사한 구조가 적용됐다. 연구진은 기존 바퀴형 로봇이 우주 환경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톱형 다리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로봇이 극미중력 환경에서도 지면을 강하게 움켜쥐고 시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채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자체 무게만으로 드릴을 작동할 수 없는 우주 환경의 특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곤충의 발톱 구조에서 영감을 얻어 강력한 접지력을 제공하는 다리 설계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로봇은 다양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시추 및 샘플 채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구진은 달과 유사한 실험장에서 로봇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실험 결과, 이 로봇은 이동, 고정, 시추, 샘플 채취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진은 우주 방사선, 극한의 온도 변화, 진공 상태에서도 로봇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내구성 강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은 2019년 창어(嫦娥) 4호를 통해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고, 2023년 창어 6호를 이용해 달 뒷면 토양을 채취한 바 있다. 이번 우주 채굴 로봇 개발은 중국의 우주 자원 개발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받고 있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첫 '우주 채굴 로봇' 개발…달 환경서 실험 진행
-
-
세계 최초 대면적 2D 금속 소재 개발…중국이 이끈 혁신
- [더지엠뉴스] 중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대면적 2차원(2D) 금속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IOP) 연구팀은 두께가 단 하나의 원자층에 불과한 금속층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인간 머리카락의 20만 분의 1, A4 용지의 100만 분의 1 두께 수준으로, 기존 2D 금속 연구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성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금속층의 대면적 생산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환경에서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진은 “이전까지 소규모로 제작된 얇은 금속층은 매우 불안정했지만, 이번에 개발된 2D 금속 소재는 1년이 지나도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과학적으로 2D 소재는 원자 한 층 또는 몇 개 층의 두께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지만, 금속을 이 수준으로 얇게 제작하는 것은 오랜 기간 난제로 남아 있었다. 이번 연구는 장광위(张广宇) 연구팀이 개발한 ‘반데르발스(vdW) 압착’이라는 원자 수준 제조 기술을 통해 가능해졌다. 연구진은 원자적으로 평평한 vdW 소재를 활용한 특수한 모루(anvil)를 이용해 금속을 녹인 뒤 압착하는 방식으로 비스무트, 주석, 납 등의 2D 금속을 성공적으로 제작했다. 장 연구원은 “이 기술은 초소형 저전력 트랜지스터, 고주파 소자, 투명 디스플레이, 초민감 센서 및 고효율 촉매 등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연구팀은 vdW 압착 기술이 2D 금속 합금, 비정질 소재, 비층상 구조를 갖는 2D 소재 등의 원자 수준 제조 가능성을 열어, 양자 소자, 전자 소자, 광전자 소자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 중 한 명인 두뤄쥔(杜洛君)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vdW 층상 물질 시스템을 뛰어넘어, 2D 소재군의 중요한 공백을 채운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Realization of 2D metals at the ångström thickness limit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
- 중국
- 사회/과학
-
세계 최초 대면적 2D 금속 소재 개발…중국이 이끈 혁신
-
-
중국, 신형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노인 돌봄 시장 장악 나선다
- [더지엠뉴스]중국이 신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개하며 노인 돌봄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로봇 제조업체 애지봇(AgiBot)은 12일 신형 휴머노이드 로봇 ‘링시 X2’를 공개했다. 이 로봇은 키 1.3미터, 무게 33.8킬로그램으로 인간과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했다. 걷고 뛰는 것은 물론, 자전거나 호버보드를 타며 균형을 잡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링시 X2는 단순한 동작 수행을 넘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복합거대언어모델(MLLM)이 적용되어 인간의 언어와 감정을 분석하고 적절한 반응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새벽 5시에 "우유와 주스 중 어떤 것이 좋을까?"라고 묻자, "수면에 도움이 되는 우유를 마시라"고 조언하는 기능을 시연하기도 했다. 중국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노인 돌봄 시장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최근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중국이 주도한 노인 돌봄 로봇 국제 표준(IEC 63310)을 발표했다. 이 표준은 노인 돌봄 로봇의 설계, 생산, 테스트, 인증 등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중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중국의 인구 고령화 문제도 로봇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35년까지 중국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4억 명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노인 돌봄 서비스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이며, 중국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로봇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의 노인 돌봄 로봇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9년까지 시장 규모가 159억 위안(약 3조1,9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신형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노인 돌봄 시장 장악 나선다
-
-
[2025 양회]딥시크보다 싸다고? 알리바바, AI 기술로 시장 흔들다!
- [더지엠뉴스] 중국의 대표 기술기업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주목받고 있다. 알리바바는 6일, 새로운 AI 모델 'QwQ-32B'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AI 혁신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 모델은 글로벌 AI 업계를 흔들었던 딥시크(DeepSeek) 대비 5% 수준의 파라미터(매개변수)만을 사용하지만, 성능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알리바바는 주장했다. 즉, 같은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AI 모델에서 파라미터는 중요한 요소로, 보통 매개변수가 많을수록 성능이 향상되지만 비용도 상승한다. 하지만 알리바바는 이번 AI 모델을 통해 높은 가성비를 앞세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내세웠다.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홍콩 증시에서 알리바바 주가는 장중 7% 이상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반영했다. 동시에 중국 기술주 전반에 대한 기대감도 상승하며 관련 지수도 5% 가까이 올랐다. 최근 중국에서는 AI 기술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딥시크의 등장 이후 AI 열풍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의 연구개발(R&D)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알리바바도 기존 전자상거래 중심에서 AI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향후 3년간 3,800억 위안(약 75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중국 양회(兩會)에서도 AI 및 기술 혁신이 핵심 의제로 다뤄지고 있어,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맞물려 AI 시장이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스위스 금융사 UBP의 분석가 베이-선 링은 "알리바바의 핵심 사업이 안정화되고 있으며, AI 투자가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의 가치를 더욱 높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중국
- 사회/과학
-
[2025 양회]딥시크보다 싸다고? 알리바바, AI 기술로 시장 흔들다!
-
-
"중국 건축가 류자쿤,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계의 새로운 변화"
- [더지엠뉴스]중국 건축가 류자쿤(69)이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 이는 2012년 왕수 이후 중국 건축가로서는 두 번째 수상이다. 프리츠커상 심사위원단은 류자쿤이 특정한 스타일에 의존하지 않고, 각 프로젝트마다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건축을 단순한 기술이 아닌 ‘상식과 지혜’로 접근해 독창적인 건축 철학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류자쿤은 1956년 중국 청두에서 태어나 문화대혁명과 개혁개방 시기를 거치며 건축을 공부했다. 초기에는 중국의 국가 주도형 건축의 한계를 경험했지만, 1999년 독립 건축 사무소를 설립하며 자신만의 건축 세계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이후 중국 전역에서 30여 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지역과 자연을 고려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대나무 숲 속에 자리 잡은 청두 루예위안 석조 미술관, 태양의 궤적을 반영한 청두 시계 박물관, 녹지와 어우러진 웨스트 빌리지, 쓰촨 대지진의 잔해를 재활용해 만든 수이징팡 박물관 등이 있다. 류자쿤의 건축은 고층 빌딩 중심의 현대적 흐름과 차별화되며, 자연환경과 역사를 담아낸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CNN은 이번 프리츠커상 수상이 기존의 ‘아이콘 건축가’ 중심에서 벗어나, 개별 프로젝트의 맥락과 지역성을 중시하는 흐름을 반영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프리츠커상은 1979년부터 하얏트 가문이 제정한 세계적 건축상으로, 건축 환경에 기여한 생존 건축가를 대상으로 한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건축가 류자쿤,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계의 새로운 변화"
-
-
텐센트 AI 챗봇, 중국 아이폰 다운로드 1위 차지
- [더지엠뉴스]중국 IT 대기업 텐센트가 개발한 인공지능(AI) 챗봇 '위안바오'가 중국 내 아이폰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1위를 기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 보도를 통해 위안바오가 바이트댄스의 '더우바오'와 딥시크의 AI 챗봇을 제치고 최다 다운로드된 무료 앱으로 등극했다고 전했다. 현재 중국의 AI 챗봇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다운로드 상위 5개 중 3개가 AI 챗봇으로 채워지고 있다. 위안바오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딥시크가 2위, 바이트댄스의 더우바오가 3위를 기록했다. 텐센트의 위안바오는 자사의 AI 기술인 '훈위안'을 기반으로, 딥시크의 R1 추론 모델을 통합해 개발되었다. 위챗(WeChat)과의 연계를 통해 빠르게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AI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중국 AI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화웨이에서 독립한 스마트폰 브랜드 아너(Honor)는 향후 5년간 AI 기술에 100억 달러(약 14조 6천억 원)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바이두도 100억 위안(약 2조 원) 규모의 역외 채권 발행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AI 기술이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되고 있는 점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흐름이 AI 기업들의 수익 창출 모델에 불확실성을 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텐센트가 AI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향후 AI 챗봇 시장의 주도권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된다.
-
- 중국
- 사회/과학
-
텐센트 AI 챗봇, 중국 아이폰 다운로드 1위 차지
-
-
故서희원의 800억원 유산, 전남편에게 넘어가나?
- [더지엠뉴스] 대만지역에서 활동했던 유명 배우 고(故) 서희원(徐熙媛)의 유산과 자녀 양육권 문제가 전남편 왕샤오페이(汪小菲)에게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서희원의 모친 황춘메이(黄春梅)는 지난달 28일 대만 매체와 인터뷰에서 "왕샤오페이가 원하는 대로 하겠다"며 양육권과 재산 문제에 대한 법적 분쟁을 포기할 뜻을 밝혔다. 황춘메이는 "나는 늙었고, 이런 일로 다툴 힘이 없다"며 "왕샤오페이가 아이들을 잘 돌보기만 하면 된다"고 말했다. 또한 "딸을 잃은 슬픔이 너무 크다. 터무니없는 소문을 퍼뜨리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다. 대만지역의 법률에 따르면 이혼한 배우자가 사망할 경우, 생존한 전 배우자가 자녀의 친권 및 양육권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서희원의 자녀들이 상속받게 될 약 6억 위안(한화 약 1200억 원) 상당의 재산 중 미성년자인 자녀들의 몫(4억 위안)은 양육권자인 왕샤오페이가 관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서희원의 현 남편인 한국 출신 구준엽은 SNS를 통해 "아이들의 권리는 보호받아야 한다"며 법적 대응을 시사했다. 그는 변호사를 통해 "자녀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법적인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왕샤오페이와 구준엽 간의 법적 공방 가능성이 점쳐졌다. 황춘메이 역시 처음에는 "정의를 되찾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보였으나, 이후 인터뷰에서 입장을 바꿔 "왕샤오페이가 원하는 대로 하겠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법적 다툼이 발생할 가능성은 줄어들었지만, 서희원의 유산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구준엽이 앞으로 어떤 대응을 할지 주목된다.
-
- 중국
- 사회/과학
-
故서희원의 800억원 유산, 전남편에게 넘어가나?
-
-
[2025 양회]중국 칭화대, AI 인재 육성 위해 학부 정원 150명 확대
- [더지엠뉴스] 중국 최고의 명문대 중 하나인 칭화대학교가 AI(인공지능) 인재 육성을 위해 올해 학부 정원을 약 150명 늘리기로 했다. 칭화대는 이를 통해 새로운 교양학부를 설립하고, AI를 다양한 학문과 통합하는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대형언어모델(LLM)과 생성형 AI 관련 과목을 개설해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중국 교육부는 지난해 8월 ‘AI 101 계획’을 발표하며 15개 대학, 2개 연구기관, 2개 출판사와 함께 AI 인재 양성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2015년 AI를 국가 전략으로 격상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AI+ 행동’을 발표하며 국가 차원의 AI 지원을 더욱 강화했다. 베이징우편통신대학의 류웨이 교수는 “칭화대의 이번 결정은 다른 대학들도 AI 교육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성공할 경우 중국 전역의 대학들에 귀중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칭화대의 AI 인재 육성 강화는 중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
- 중국
- 사회/과학
-
[2025 양회]중국 칭화대, AI 인재 육성 위해 학부 정원 150명 확대
-
-
중국, AI 인재 양성 전략이 다르다…비결은 ‘선별 교육과 국가 인증제’
- [더지엠뉴스] 중국이 인공지능(AI) 인재 양성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핵심은 상위 5% 인재를 선별해 집중 교육하는 특별 과정과 국가 차원의 AI 교육 인증제 도입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마이크로 전공 도입 ▲‘AI+X’ 융합 교육 ▲AI 교육 품질 관리 ▲산학연 협력 등 체계적인 인재 양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비전공자도 AI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단기 학위 과정인 ‘마이크로 전공’을 운영하며, 해당 과정 도입 대학을 올해 100개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중국 대학 입학시험(가오카오) 상위 5% 학생을 대상으로 ‘강기계획’을 통해 베이징대 ‘투링반’, 칭화대 ‘야오반’ 등 AI 특화 교육을 제공하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를 배출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은 AI 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하고 인증제를 도입해 교육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정부 차원의 AI 실력 평가가 부재한 상황으로, AI 교육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중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향후 인재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030년까지 AI 산업에 필요한 인력이 6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양성 속도로는 200만 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AI 인재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반도체, 배터리 등 강점을 가진 산업과 AI를 융합한 특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중국
- 사회/과학
-
중국, AI 인재 양성 전략이 다르다…비결은 ‘선별 교육과 국가 인증제’
-
-
'1억4천만원' 황금 냄비로 훠궈 먹방? 중국서 관심
- [더지엠뉴스] 금값이 치솟는 가운데, 중국에서 한 여성이 1억4천만 원짜리 순금 냄비를 제작해 훠궈를 끓이는 영상을 공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중국 광둥성 선전시의 한 금은방은 고객의 주문을 받아 1kg짜리 순금 골드바를 녹여 냄비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 황금 냄비의 가격은 70만 위안(약 1억4천만 원)에 달한다. 제작 과정은 금을 가열하고 두드리며 한 달 동안 정교하게 다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냄비를 주문한 여성은 완성되자마자 이를 이용해 훠궈를 끓였으며, 저렴한 라면을 넣어 먹는 장면을 영상으로 공개했다. 이 영상이 중국 SNS에 퍼지자 네티즌들은 극명하게 갈렸다. 일부는 "사치의 극치", "경제적 불평등을 조장하는 허세"라며 비판했다. 반면, "기발하고 예술적인 아이디어", "일종의 퍼포먼스"라며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일부 네티즌은 "금속 성분이 음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건강상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전문가들은 "금의 녹는점은 1,000도가 넘기 때문에 조리 시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여성은 황금 냄비가 일반 냄비보다 물이 빨리 끓는다는 점을 언급했지만, 음식 맛에는 차이가 없었다고 전했다. 금값 상승 속에서 이런 사치스러운 행보가 지속될지, 아니면 단순한 화제성 이슈로 끝날지 주목된다.
-
- 중국
- 사회/과학
-
'1억4천만원' 황금 냄비로 훠궈 먹방? 중국서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