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중국 남서부 내륙 및 장강 상류에 위치한 쓰촨성은 2023년 지역내총생산(GRDP)이 60,132.9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대비 6.0% 성장했다. 1차 산업은 4.0%, 2차 산업은 5.0%, 3차 산업은 7.1%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균형 잡힌 성장을 보였다. 쓰촨성은 인공지능, 수소에너지, 바이오테크, 위성 네트워크 등 신흥산업을 육성하며 6대 경쟁우위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산업단지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성도인 청두시를 비롯한 21개 주요 도시가 지역 특화 전략과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각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도시별 산업단지 현황 1. 청두시(成都) 청두는 산업으로 도시를 일으키고 제조업으로 강화한다는 전략을 통해 중심, 근교, 원교 지역의 3단계 산업 공간을 형성했다.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분야의 R&D와 응용 역량을 갖추고 있다. 2. 몐양시(绵阳) 몐양은 기간 산업과 특색 산업의 부가가치를 85%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산업체인과 클러스터 집결 효과를 강화하고 있다. 3. 이빈시(宜宾) 윈난성과 구이저우성 접경에 위치한 이빈은 국가 및 지역 전략과 긴밀히 연계해 종합 교통 허브
[더지엠뉴스] 신지스과학재단(新基石科学基金会)은 2024년 과학탐구상(科学探索奖) 수상자 명단을 8월 26일 발표했다. 이번 명단에는 49명의 청년 과학자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수학 물리학, 화학 신소재, 생명과학 등 10개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과학탐구상은 2018년 설립되었으며, 양전닝(杨振宁), 라오이(饶毅), 스이궁(施一公), 판젠웨이(潘建伟), 셰샤오량(谢晓亮) 등 14명의 저명한 과학자와 텐센트 창립자 마화텅(马化腾)이 공동 발의한 상이다. 수상자에게는 5년 동안 총 300만 위안(약 5억 5천만 원)의 상금이 지급되며, 연구와 개인적 사용에 제한이 없다. 주요 내용 과학탐구상은 수학 물리학, 화학 신소재, 천문∙지구과학, 생명과학, 의학과학, 정보 전자, 에너지 환경, 첨단 제조, 교통 건축, 다학제 융합 등 10개 분야로 나뉜다. 올해부터는 여성 연구원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신청 연령 제한을 45세에서 48세로 완화했다. 이로 인해 이번 수상자 중 7명이 여성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역대 최고 비율인 14%를 기록했다. 분야별 수상자 및 연구 내용 1. 수학 물리학 (6명) 루하이저우(난방커지대학교): 위상 물성의 양자
[더지엠뉴스] 푸장혁신포럼-일대일로 주제전문 포럼이 지난 9월 8일 상하이 장징 과학회당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일대일로" 공동 실험실 구축을 중심 주제로 다루며, 향후 5년 내 100개의 공동 실험실 설립을 목표로 설정했다. 현재까지 중국은 "일대일로" 국가와 함께 53개의 공동 실험실을 설립했으며, 이번 포럼에서는 정부 관계자, 공동 실험실 관리자, 싱크탱크 전문가들이 모여 경험과 도전 과제를 공유하고 미래 계획을 논의했다. 주요 일정 및 내용 1. 주제 강연 포럼은 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세션에서 세계 각국의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강연을 통해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1세션: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의 류둥메이 당위서기가 사회를 맡았으며, 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중국-포르투갈 공동 실험실 관계자들이 발표했다. 2세션: 상하이과학기술관리간부학원의 정팡 원장이 사회를 맡고,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학계 인사들이 참석해 공동 연구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 청년 혁신 포럼(Y-HUBs) 올해 처음 개최된 **청년 혁신 포럼(Y-HUBs)**에서는 40세 이하의 청년 혁신가들이 오픈 마이크와 원탁 토론 형
[더지엠뉴스] 2024 글로벌창업투자대회(WeStart)가 오는 9월 7일부터 10일까지 상하이 장장과학회당에서 개최됐다. 이 대회는 푸장포럼(浦江论坛)의 주요 행사 중 하나로, 창업 투자 포럼, 로드쇼 마라톤, 투자 기관 및 프로젝트 전시를 통해 글로벌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대회와 함께 열리는 'TOP100 창업 대회'는 약 2,000개의 기술 창업 프로젝트가 신청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출품한 우수 프로젝트가 다수 포함되어, 혁신 기술의 글로벌 무대를 더욱 빛내고 있다. 9월 7일 열리는 첫 로드쇼인 ‘대학 로드쇼 특별전’에서는 9개 대학의 12개 프로젝트가 생명공학, 신소재, 스마트 제조,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산업을 선보였다. 주요 프로젝트 소개 1. GPCR 혁신 바이오 의약 상하이과학기술대학 연구팀은 GPCR 구조 및 항체 약물 연구를 바탕으로 체중 감량과 대사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한 고분자 약물을 개발 중이다. GLP-1, AXX, CXX 수용체 등의 다중 표적 조합 기술이 핵심이다. 2. 보툴리눔톡신 신약 개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분자 설계를 통해 합성 생물학 생산 공정을 도입한 보툴리눔톡신은 안전
주요 행사 부대 행사 중국 최초의 과학기술 기업 엑스포로, 혁신 수요와 인재, 자본을 연결하며 기술 교류를 촉진한다.이번 엑스포는 ‘1+3+365’ 플랫폼을 통해 연중 기술 교류와 자원 공유를 지원하며, 글로벌 기업을 상하이로 유치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글로벌 창업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창업 투자 포럼과 로드쇼 마라톤 등을 통해 혁신 기업을 지원한다. TOP100 창업 대회에서는 대학과 연구기관의 우수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일대일로 국가들과 공동 실험실 구축을 목표로 하며, 현재 53개의 공동 실험실을 5년 내에 100개로 확대하는 계획을 논의한다. 40세 이하의 청년 혁신가들이 참여하며, 《MIT Technology Review》와 협력해 ‘35세 이하 기술 혁신 35인’ 아시아태평양 지역 발표식을 진행한다.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는 이번 포럼에서 한중과기혁신기업가포럼을 주최하며, 한중 간 기술 교류와 협력 기회를 확대한다. 푸장혁신포럼은 글로벌 기술 협력과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과학기술 발전과 협력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
-베이징대학 HSBC 경영대학원의 추산에 따르면 2기 웨강아오지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약 3.6%로, 광둥성(3.5%)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다만 1분기 GDP 성장률(4.68%)에 미치지 못했다. - 다완구 상반기 GDP 성장률은 약 4%로, 광둥성(3.9%)보다는 약간 높은 수치로 기록됐지만, 전국 성장률(5%)보다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더지엠뉴스] 웨강아오지역은 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 광둥성의 광저우시, 선전시, 주하이시, 포산시, 후이저우시, 둥관시, 중산시, 장먼시, 자오칭시 등 총 9개 도시와 2개의 특별행정구가 포함된다. 여기서 9개 도시란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한 9개 도시를 뜻한다. 1) 주강삼각주 9개 주요 도시 GDP *9개 도시 대부분 4% 이상의 산업 증가율 기록, 반면 광저우(广州)와 포산(佛山)은 제로에 가까운 성장 기록했다, -2024년 4월~5월 주강삼각주(珠三角) 9개 도시의 누적 산업 증가율는 1분기(1월과 2월)대비 하향 조정되었으나, 지난해 월별 수치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도시별로 보면 1월~5월 선전(深圳), 둥관(东莞), 후이저우(惠州), 주하이(珠海)의 산업 증가율은 각각 12.
[더지엠뉴스] 선전-차오산특별협력구(深汕特别合作区·선산특별협력구)는 광둥성의 특별협력구로, 웨강아오대완구(粤港澳大湾区)의 가장 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주강삼각주 평원(珠三角平原)과 차오산평원(潮汕平原) 사이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선산(深汕)에서 60km 떨어져 있다. 서쪽으로는 후이저우시(惠州)와, 동쪽으로는 산웨이시(汕尾)와 남쪽으로는 남해 훙하이완(红海湾)과 인접한다. 이곳은 중국 최초의 특별협력구로, 2011년에 설립됐으며 총 면적은 468.3 ㎢에 달한다. 2018년 12월 16일 선산특별협력구가 공식 출범한 후 7년 이상의 건설 및 발전 과정을 거쳐 선전시(深圳)의 ‘10+1구’로 승격됐다. 최근 선산특별협력구는 신재생에너지 저장 산업, 소재 산업, 스마트 제조 로봇 산업을 서브로 하는 ‘1개의 메인, 3개의 서브’ 산업 클러스터 판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2024년 상반기 선산특별협력구의 지역 국내총생산(GDP)은 100.65억 위안으로 전년비 65% 증가했다. 이 가운데 1차 산업 부가가치는 4.66 억위안으로, 전년비 16.2% 감소했으며, 2차 산업 부가가치는 77.04억 위안으로 153.9% 늘었다. 3차 산업 부가가치는
[더지엠뉴스-thegmnews] 우한(武汉)은 2019년 ‘우한시 대건강 산업 발전 계획(2019-2035년)(武汉市大健康产业发展规划, 2019-2035年)’과 ‘우한시 대건강 산업 발전 지원에 관한 의견(武汉市关于支持大健康产业发展的若干意见)을 발표하면서 ‘1성1단지3구(一城一园三区)’ 배치를 제안했다. 이 전략에서 ‘1성(一城)’은 광구 바이오성(光谷生物城)을 가리키며, ‘1단지(一园)는 광구난 대건강 산업단지(光谷南大健康产业园)를 뜻한다. 또 ‘3구(三区)’는 한양 대건강 산업 발전구(汉阳大健康产业发展区), 환퉁지-쉐허 국가 의료 서비스구(环同济—协和国家医疗服务区), 우한 창장 신도시 국제의학혁신구(武汉长江新城国际医学创新区)를 일컫는다. 광구 바이오성(光谷生物城) 광구 바이오성은 우한 둥후 국가자주혁신시범구(武汉东湖国家自主创新示范区)에 위치해 있으며, 중국 광구의 두 번째 국가급 산업 기지다. 2008년 11월 착공된 광구 바이오성은 바이오 의약, 바이오의학 공학, 바이오 농업, 정밀진단, 스마트 의료, 바이오 서비스 등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바이오 혁신 단지, 바이오 의약 단지, 바이오 농업 단지, 의료기기 단지, 의학 건강 단지, 스마트
[더지엠뉴스-thegmnews] 해항도시 항만의 경제 발전 규모는 경제 가치 및 GDP 비중에 따라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산업 유형 관점에서 보면 ‘북방은 전통 산업, 남방은 신산업 중심’의 특징을 보인다. 1) 랴오닝(辽宁)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랴오닝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2,179 억 위안에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국내총새산(GDP)의 3.5%를 차지했고, 랴오닝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4.8%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다롄(大连)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고, 잉커우(营口), 단둥(丹东), 진저우(锦州), 판진(盘锦), 후루다오(葫芦岛)는 상대 적으로 낮았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다롄의 항만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고, 판진의 항만 경제는 소폭 하락했다. 랴오닝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농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이 주를 이루며, 전통적인 산업 위주의 발전 모델을 기반으로 자원 유형의 제품 가공, 장비 제조 등 분야에 집중돼 있다. 2) 진지(津
[더지엠뉴스-thegmnews] ‘항만 경제(港口经济)’란 항만 및 항만 도시를 중심 기반으로, 각종 항만 관련 산업을 활용한 경제 활동들의 총합을 말한다. 항만, 산업, 도시가 상호 연계되고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함께 상생하는 개방형 경제다.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이 중국 동부 지역에 집중된 만큼, 항만 경제는 중국 동부 연해 지역 경제 발전의 중요한 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현황 2023년 중국 해항도시 항만 경제 가치는 6.2조 위안에 달한다. 중국 해항도시의 항만 경제는 전반적으로 '일핵(一核·상하이, 쑤저우 등 도시), 양구(两区·장강삼각주와 주강삼각주 지역), 다편(多片·장강삼각주와 주강삼각주 지역)'의 공간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 장강삼각주 지역 해항도시의 항만 경제 가치는 전국 해항도시의 44.7%를 차지하며, 중국 연해 지역 가운데 항만 경제가 가장 발달된 수준을 자랑한다. 항만 경제의 산업별 발전 현황 2023년 해항도시의 1차, 2 차, 3 차 산업 가운데 항만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5%, 22%, 8% 수준이다. 2차 산업에서 항만 경제는 여전히 전통 산업 위주다. 석유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