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샤오펑자동차가 3분기 실적을 대폭 끌어올리며 전기차·로봇·지능형 플랫폼을 아우르는 성장 축을 동시에 확장하고 있다. 기술 투자와 제품 전략이 맞물린 구조가 본격적으로 작동하면서 글로벌 사업 기반도 빠르게 넓어지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펑자동차는 3분기 매출 2038억 위안(약 40조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급증했고, 손실 폭도 큰 폭으로 축소했다. 개별 지표에서는 자동차 총이익률이 전년 대비 개선돼 비용 구조 조정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며, 종합 총이익률도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현금 보유액은 9월 말 기준 4833억 위안(약 95조 원)으로 늘어 기술 개발과 신차 투입 여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샤오펑자동차는 4분기 인도 목표를 최대 13만2000대로 제시해 판매 성장세를 유지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샤오펑자동차는 증강형 전기차 라인업 확대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26년 1분기에는 세 차종의 고성능 증강형 전기차를 출시하고, 연내 순수전기·증강전기를 결합한 네 개 모델을 추가해 시장 범위를 넓히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해외 시장에서는 스위스·오스트리아·헝가리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내년부터 전기차 수출에 대한 허가제를 전면 도입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품질 관리와 가격 질서를 강화한다. 이번 조치는 급격히 늘어난 수출 물량 속에서 ‘중국산’ 전기차의 신뢰도를 지키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5일 중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오는 2026년 1월 1일부터 순수 전기 승용차 수출에는 반드시 허가증이 필요하다.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차량은 이미 허가 관리 대상이었으며, 이번 확대 조치로 전기차도 동일한 체계에 편입된다. 수출 허가 신청은 자동차 제조사 또는 이들의 위임을 받은 공식 법인만 가능하다. 상무부는 공업정보화부, 해관총서, 시장감독총국과 협력해 심사 절차를 진행한다. 이 과정은 무분별한 저가 수출과 사후 서비스 부실 문제를 차단해 해외시장에서 중국산 전기차의 평가가 훼손되는 상황을 막기 위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생산에서 선적까지 필요한 행정 절차가 늘어나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그러나 당국은 시장 질서를 바로잡고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지난해 중국 전기차 수출은 165만 대로, 2022년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했다.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닝더스다이(宁德时代, CATL)가 배터리 생산을 넘어 전기차 완성차 판매 영역에 직접 진출했다. 남창에 신설된 자회사는 스마트 제어 시스템, 충전·교체 인프라, 전기차 판매를 아우르는 종합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다. 23일 중국 기업정보 플랫폼에 따르면, 남창시대전복과기유한공사가 최근 설립됐으며 등록 자본은 1000만 위안(약 190억 원)이다. 이 회사는 지능형 제어 시스템 통합, 전기차 충전시설 운영, 교체 스테이션 판매 등 다양한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지분 구조를 보면 모회사 시대전복과기유한공사가 전액 출자했으며, 이 모회사는 宁德时代가 100% 보유하고 있다. 사실상 宁德时代가 직접적으로 신설 법인을 통제하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행보가 단순한 배터리 공급을 넘어, 전기차 생산·판매·충전·교체로 이어지는 풀 밸류체인 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리튬광산 확보, 대규모 배터리 생산에 이어 완성차 판매까지 가세하며, 비야디와 같은 종합 전기차 기업과의 정면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