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한국인의 중국 방문이 빠르게 늘고 있다. 1∼8월 누적 방문자 수가 200만 명에 육박하며, 일본의 증가율을 훌쩍 넘어섰다. 8일 중국 정부와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인 일반 여권 소지자에게 30일 무비자 입국을 허용했고, 올해 들어 그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 1∼8월 동안 중국을 찾은 한국인은 198만7천547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0.6%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21만 명대였던 중국 방문객은 올해 들어 25만 명 안팎으로 꾸준히 유지되며 안정적인 상승세를 이어갔다. 연중 월평균 24만 명 이상이 중국을 찾았으며, 연말까지 지난해 전체 방문객(23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일본 방문은 5.1% 늘어나며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베트남과 필리핀, 태국 등 주요 동남아 목적지로 향한 여행객은 오히려 감소세를 보였다. 관광업계에서는 “무비자 정책에 더해 각 도시별 국제행사와 박람회가 외국인 유치를 촉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무비자 제도를 내년 12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유지하며, 비즈니스·관광·친지 방문·환승 등 목적의 15일 이내 체류를 허용하고 있다. 한국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한중 간 ‘한국전쟁 참전 중국군’ 유해 송환이 다시 진행된다. 올해 송환분은 30구로, 누적 송환 규모가 1000구를 넘어서게 된다. 8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중국 퇴역군인사무부와 한국 국방부는 제12차 유해 송환에 합의했으며, 오는 12일 인천국제공항에서 한국 측이 중국 측에 유해와 유품을 인도하기로 했다. 양국은 2014년부터 국제법과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중국 인민지원군 유해를 해마다 송환해왔다. 지난해까지 총 981구가 중국으로 돌아갔으며, 이번 송환을 더하면 1000구를 넘기게 된다. 한국 정부가 이번에도 인천공항에서 공식 인도식을 열지 여부가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 시기였던 지난해 11차 송환 때는 공개 행사를 생략하고 보도자료조차 내지 않는 절제된 방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당시 정부 소식통은 “중국에서 대대적인 기념 행사를 하는 것은 이해되지만, 우리가 같은 형식으로 행사를 갖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