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우울장애 환자의 장내 미생물 구성이 커피와 카페인 섭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가 제시되면서, 식습관을 활용한 정신건강 관리 전략에 시선이 모이고 있다. 커피가 단순한 각성 음료를 넘어 장내 미생물과 뇌 기능을 잇는 매개로 작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우울장애를 겪는 사람들의 일상 관리 방식을 재구성할 여지를 넓히고 있다. 21일 일본 쇼와의대 연구진에 따르면, 사나다 켄지 교수팀은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성인 32명과 건강한 대조군 34명을 비교해 커피·카페인 섭취량과 장내 미생물 구성을 함께 분석했다. 연구팀이 확보한 기본적인 그림은 단순했다. 우울장애 환자군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은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떨어져 있었고, 구성도 불균형한 양상을 보였다. 이 상태에서 커피나 카페인을 꾸준히 섭취하는 습관이 있는 참가자들의 장내에서는 특정 미생물 집단의 비율이 뚜렷이 달라졌다. 폴리페놀과 아이소플라본 같은 식물성 영양소를 대사하는 역할을 맡은 미생물 군이 대표적이다. 연구진은 커피를 꾸준히 마시는 우울장애 환자에게서 이 미생물 집단, 이른바 폴리페놀·아이소플라본 대사 관련 미생물의 점유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아졌다고 보고
[더지엠뉴스]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이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3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노르웨이 과학기술연구소 연구진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내용을 인용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이 인간의 수면과 각성 주기를 최대 17분까지 지연시킨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의료용 튜브와 수분 공급 파우치 등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PVC)과 폴리우레탄(PU) 성분을 추출해 인간 세포에 적용했다. 이들 성분은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해 정상적인 각성 신호 전달을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몸에 ‘아침이 왔다’는 신호를 전달하지만,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은 이를 활성화시켜 오히려 신호 전달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수면-각성 사이클이 흐트러지고, 이는 수면장애는 물론 당뇨병과 면역 이상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 메커니즘은 커피 속 카페인이 아데노신 작용을 막아 몸을 깨우는 방식과 유사하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이 카페인보다 약하지만, 세포에는 더 빠르게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마틴 바그너 박사는 “이번 실험은 플라스틱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단순한 환경오염을 넘어 인체 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