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국경 간 디지털 위안화 확산을 위한 국제운영센터를 상하이에 열며 금융 질서 재편 움직임을 가속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26일 센터가 공식 개소했다고 발표하며, 디지털 통화 인프라의 해외 확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26일 중국 중앙은행 발표에 따르면, 이 센터는 디지털 위안화 국제화를 목적으로 설계된 국경 간 결제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등을 기업과 금융기관에 홍보하는 기능을 맡는다. 루레이 인민은행 부행장은 “디지털 시대 화폐 체계의 발전은 역사적 필연”이라며,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결제 해법을 통해 국제 금융 네트워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가 지난 6월 상하이 루자쭈이 포럼에서 구상을 밝힌 뒤 불과 석 달 만에 현실화된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이 스테이블코인 열풍 속에 디지털 위안화를 글로벌 대안으로 내세우며 달러 중심 금융 구조에 도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은행간통신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위안화는 전 세계 결제에서 3.75% 비중을 차지해 달러(49%), 유로(21.74%), 파운드(6.94%)에 이어 네 번째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중 간 금융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 중앙은행 최고 책임자가 달러 중심 국제 금융질서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판궁성 인민은행 당서기 겸 행장은 달러화가 지정학적 이해관계 속에서 도구화되고 있다며 국제 통화체제와 국제기구의 구조 개편을 촉구했다. 17일 중국공산당 이론지 추스(求是, Qiushi)에 따르면, 판 행장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서 제안한 글로벌 거버넌스 구상을 근거로 국제 금융 분야의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달러가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해왔으나, 단일 통화 의존은 구조적 불안정을 낳고 위기 상황에서 세계적 파급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쟁이나 제재 상황에서 기축통화가 정치적 무기로 사용되는 현실을 비판했다. 판 행장은 유로화와 위안화 등 다수 통화가 경쟁하는 구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과 같은 다자적 기축통화 논의는 현실적 제약이 크다고 보면서도, 기존 국제 결제망이 정치화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다원화된 결제 인프라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IMF를 비롯한 국제 금융기구의 거버넌스 개혁도 요구했다. 주요 기구의 투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본토와 홍콩 간 금융 결제망을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크로스보더 페이(跨境支付通)' 서비스가 정식 출범했다. 디지털 결제를 통한 양 지역 경제 협력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 Zhongguo Renmin Yinhang)에 따르면 이날 오전 베이징에서 '크로스보더 페이' 출범식이 개최됐다. 행사에는 판궁성(潘功胜, Pan Gongsheng) 인민은행장, 왕링구이(王灵桂, Wang Linggui) 중앙홍콩마카오사무공작판공실 부주임 겸 국무원 홍콩마카오사무판공실 부주임, 위웨이원(余伟文, Yu Weiwen) 홍콩금융관리국 총재가 참석했다. 사회는 루레이(陆磊, Lu Lei) 인민은행 부행장이 맡았다. 이번 '크로스보더 페이'는 중국 본토의 인터넷 결제망과 홍콩의 '페이패스트(转数快)' 시스템을 직접 연결해, 양 지역 간 금융 거래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구조다. 두 지역 간 법률과 규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참여 은행과 결제기관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새 서비스는 오는 22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이를 통해 개인 간 송금은 물론 기업 간 무역결제까지 다양한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인민은행이 디지털위안화(디지털 인민폐) 국제 운영센터 설립과 외환선물 확대 등 8대 금융정책을 발표했다. 세계 금융질서 변화 속에서 상하이의 글로벌 금융허브 도약과 디지털위안화 국제화를 앞당기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18일 중국 정부와 매체에 따르면, 이날 상하이에서 개막한 2025 루자쭈이(陆家嘴, Lujiazui) 포럼에서 판궁성(潘功胜, Pan Gongsheng) 인민은행장은 개막연설을 통해 "디지털금융과 무역금융 개혁을 선도하는 8개 금융정책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경제 변화 속 금융개방 협력과 고품질 발전’을 주제로 이틀간 열린다. 핵심 정책 중 하나는 디지털위안화의 국제화 추진이다. 인민은행은 이를 위해 전담 국제 운영센터를 설립하고, 디지털금융 서비스 확대, 글로벌 결제 지원, 디지털위안화 수용성 확대 등을 본격화한다. 은행간 시장 거래정보 보고센터 설립 계획도 공개됐다. 채권, 통화, 파생상품, 금, 어음 등 금융시장의 거래 데이터를 집적·분석해 정책 결정과 시장 감독에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신규 개인신용정보 기관을 출범시켜 금융기관 대상 신용평가 서비스 고도화와 사회적 신용체계 강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금융당국과 상하이시가 공동 주최하는 ‘2025 루자쭈이(陆家嘴, Lujiazui) 포럼’이 18일 막을 올렸다. 세계 금융시장의 주목 속에서 중국은 이번 포럼에서 새로운 금융개혁 청사진을 제시할 전망이다. 18일 중국 외교부와 상하이시 당국에 따르면, 올해 포럼은 ‘글로벌 경제 격변 속 금융개방 협력과 고품질 발전’을 주제로 오는 19일까지 이틀간 진행된다. 중국인민은행 판궁성(潘功胜, Pan Gongsheng) 행장과 상하이시 궈정(龚正, Gong Zheng) 시장이 공동의장으로 나서며, 인민은행,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국가외환관리국 등 중앙 금융당국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여러 중대 금융정책이 발표될 예정이며, 이는 세계 금융시장과 중국 자본시장 개방에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올해 행사에서는 총 8개 본회의가 열린다. ‘글로벌 경제 격변 속 금융개방과 고품질 발전’을 비롯해, ‘글로벌 통화정책의 조율성 강화’, ‘자본시장 안정적 발전’, ‘상하이·홍콩 국제금융센터 협력’, ‘금융의 신질생산력 지원’, ‘AI 기반 금융혁신’, ‘포용적 금융 서비스 확대’, ‘녹색금융 정책·표준
[더지엠뉴스]중국 인민은행과 브라질 중앙은행이 통화스와프 협정 연장과 함께 금융 전략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14일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전날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과 브라질 대통령 룰라(Luiz Inácio Lula da Silva)의 공동 증인 하에, 판궁성(潘功胜, Pan Gongsheng) 인민은행장과 캄포스 네토(Roberto Campos Neto) 브라질 중앙은행 총재가 두 건의 핵심 협정에 서명했다. 먼저 체결된 ‘금융 전략 협력 양해각서’는 양국 간 금융시장의 장기적 협력을 제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금융시장 투자 환경 개선, 기술 교류 강화, 인프라 상호 연계, 투자자 진입 장벽 완화 등 구체적 과제가 명시됐다. 또한 QR코드 기반 결제 시스템 연동, 빠른 결제 시스템 협업 등을 통해 양국 간 디지털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가장 주목받은 것은 양국 본국 통화 간 통화스와프 협정의 연장이다. 이번에 갱신된 계약은 1900억 위안 또는 1570억 브라질 헤알 규모이며, 유효기간은 5년이다. 상호 합의 시 연장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 협정은 양국 간 무역 및 투자에서 자국 통화 활용을 촉진하
[더지엠뉴스]중국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과 정책금리를 동시 인하하며 대규모 유동성 공급에 나섰다. 7일 발표에 따르면 판궁성(潘功胜, Pan Gongsheng) 인민은행장은 전날 국가신문판공실 기자회견에서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를 통해 시장에는 중장기 기준 약 1조 위안의 유동성이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금리는 기존 1.5%에서 1.4%로 0.1%포인트 낮춰졌으며, 이에 따라 대출우대금리(LPR)도 유사한 수준으로 인하될 것으로 점쳐진다. 주택금리 인하도 병행됐다. 개인 주택적립금 대출금리는 0.25%포인트 낮아졌고, 특히 5년 이상 만기의 첫 주택금리는 2.85%에서 2.6%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기타 만기 구조도 전면적으로 손질됐다. 서비스 소비와 양로 분야에 대한 재대출도 신규 편성됐다. 인민은행은 5000억 위안 규모의 저비용 자금을 해당 영역에 투입해 소비 진작을 도모할 방침이다. 과학기술 혁신 및 기술 개조에 대한 재대출 한도도 확대됐다. 현행 5000억 위안에서 8000억 위안으로 3000억 위안 증가한 규모다. 이는 ‘양신(两新)’ 정책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다. 자본시장 유동성 공급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