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하루 걸음 수보다 ‘얼마나 끊김 없이 걷느냐’가 생명을 가르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심박수와 혈류가 충분히 상승하는 ‘10~15분 연속 걷기’가 심혈관 질환과 사망 위험을 낮춘다는 대규모 코호트 결과가 공개됐다. 30일 세계일보에 따르면, 시드니대와 스페인 유럽대 공동 연구팀은 영국 40~79세 성인 3만3000여 명을 9년 넘게 추적 관찰한 결과를 미국 내과학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는 하루 8000보 미만을 걷는 사람들 가운데서도 걷는 ‘패턴’이 건강 차이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5분 미만씩 자주 끊어 걷는 그룹의 전체 사망 위험은 4.36%로, 10~15분 미만(0.84%)과 15분 이상(0.8%) 그룹보다 5배 이상 높았다. 심근경색·뇌졸중 등 주요 심혈관 질환 위험 역시 5분 미만 그룹이 13.03%로 가장 높았고, 15분 이상 그룹은 4.39%로 가장 낮았다. 전문의들은 10분 이상 이어지는 걷기가 심박수와 혈류를 안정적으로 높이고 혈관 내피 기능을 활성화한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염증이 줄고 혈압과 혈당이 조절되며, 체지방 감소와 콜레스테롤 개선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다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치즈를 곁들이는 식사가 장기 추적에서 더 낮은 치매 발생률과 연결됐다는 결과가 확인됐다. 약 8000명을 추적 관찰한 일본 코호트에서 치즈 습관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한 위험 감소가 관찰됐고, 식습관·생활요인을 보정해도 차이가 유지됐다. 30일 뉴트리언츠(Nutrients)에 따르면, 일본 연구진은 성인 약 8000명을 평균 3년간 추적해 치즈 섭취와 치매 진단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에서 치즈를 주 1회 이상 먹은 집단의 치매 진단 비율은 3.39%였고, 섭취하지 않은 집단은 4.45%였다. 비만도, 흡연, 운동, 과일·채소·생선 등 식사 항목을 보정해도 상대위험은 약 21% 낮게 추정됐다. 연령대와 성별 분포가 유사한 하위 그룹에서도 감소 경향은 대체로 반복됐다. 섭취 유형을 보면 가공치즈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흰곰팡이 치즈(브리·카망베르 등)였다. 연구진은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K2, 항산화 펩타이드, 프로바이오틱스가 신경세포 손상 억제와 혈관 건강 유지에 기여할 가능성을 설명했다. 염분과 포화지방 섭취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20~30g 수준의 소량을 다른 식품군과 함께 구성하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뉴욕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 가수 소유가 장문의 입장을 냈다. 비행 전 라운지에서 식사와 함께 주류를 소량 마셨고, 탑승 후엔 식사 시간만 확인하려 했다는 설명이다. 21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소유는 인스타그램에 “한국행 항공기 탑승 과정에서 오해가 커졌고 이후 모멸감을 느낄 만한 장면이 이어졌다”고 적었다. 그는 탑승을 마친 뒤 짐을 정리하고 승무원에게 식사 제공 시점을 물었다고 밝혔다. 영어 소통이 매끄럽지 않아 한국어가 가능한 승무원을 요청했고, 그 과정에서 사무장과 보안 요원이 함께 왔다고 했다. 현장에 있던 한국어 구사 승무원이 상황을 설명하며 별문제가 없다고 확인했고, 항공편은 예정대로 운항됐다는 게 소유의 서술이다. 통로 대기 중 카트 이동을 위해 비켜 선 뒤에도 고압적 지시를 들었다고 주장했고, 동승 스태프가 한국어 메뉴판을 요청했으나 다른 언어 메뉴판이 전달되는 일이 반복됐다고 적었다. 전날부터 온라인에는 “만취 상태였다”는 목격담이 떠올랐고, 소유는 “라운지에서 소량만 음용했다”며 반박했다. 해당 게시물은 삭제됐으나 진술 공방은 이어지고 있다. 소유는 “보상이나 폭로가 목적은 아니다”라고 하면서, 동일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