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국내 기관들이 10월 둘째 주 들어 반도체 업종에 대거 몰리며 기술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있다. 단기 조정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반등과 인공지능(AI) 수요 확대가 맞물리며, 조용히 ‘업황 회복장’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19일 중국 증권시보(证券时报, Securities Times)에 따르면, 13일부터 17일까지 173개 상장사가 기관 투자자들의 현장 조사를 받았다. 그중 약 20% 종목의 주가가 상승했으며, 후이청환경(惠城环保)이 20.08%로 선두를 차지했다. 딤커주식(帝科股份), 넝커커지(能科科技), 아이펑의료(爱朋医疗) 등 반도체 관련 기업에는 100곳 안팎의 기관이 몰리며 이번 주 조사의 중심이 됐다. 메모리 시장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자 투자기관들은 반도체 밸류체인 전반을 재점검하고 있다. 딤커주식은 메모리 사업 확대를 위한 인수합병을 추진 중으로, 장쑤징카이(江苏晶凯) 인수 이후 DRAM 설계부터 패키징까지 일괄 생산 체계를 갖춘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대량 양산 구조가 확립되면 수익성 개선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커테크(深科技)는 “당사 수익 구조는 가공 단가 중심이라 제품 가격 변동에 직접적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전자음향업계의 대표 기업 거얼(歌尔, Goertek)이 추진하던 95억 위안(약 1조8천억 원) 규모의 인수 거래가 전격 중단됐다. 이번 거래는 지난 7월부터 약 세 달간 준비돼 왔으며, 업계에서는 정밀구조 부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형 전략으로 주목받았다. 19일 중국 경제매체 메이르징지신원(每日经济新闻, Meiri Jingji Xinwen)에 따르면, 거얼은 전날 발표를 통해 홍콩계 런펑상예그룹(Luen Fung Commercial Holdings)의 자회사 두 곳, 미야정밀기술(Mega Precision Technology)과 창훙실업(Channel Well Industrial) 지분 100% 인수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거얼은 실사 및 협상 과정에서 거래상대와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쳤지만 핵심 조건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번 결정이 양측의 우호적 협의와 신중한 검토 결과라며, 법적 책임이나 재무적 손실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인수 계획은 당초 정밀 구조 부품 사업의 수직 통합을 강화하고,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추진됐다. 하지만 실사 과정에서 자산 품질 및 평가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