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리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가 워싱턴을 찾아 미중 협상 재개에 나선다. 관세와 대두 수입 문제를 둘러싼 최대 갈등이 미국 수도에서 정면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리청강(李成钢, Li Chenggang)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가 워싱턴을 찾아 미국무역대표부와 재무부 고위 인사들을 만나며, 일부 미 기업 관계자와의 접촉도 예정돼 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그는 전날 캐나다 토론토에서 현지 무역위원회 인사들과 먼저 만난 뒤 워싱턴으로 향했다. 미국과의 본격 협상 직전 캐나다를 방문한 배경이 눈길을 끌었다. 이번 협상은 지난 11월 관세 인상을 유예하는 이른바 ‘관세전쟁 휴전’ 합의 이후 양국이 대화를 정례화하는 과정에서 성사됐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미국 수도에서 열리는 첫 협상이기도 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 축소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보다 4배 확대를 요구하면서 이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행정명령 서명 뒤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이 신속히 대두 주문을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대두나
중국 선전시 인민검찰원이 미얀마 북부 지역을 거점으로 활동한 대형 전자사기 조직 '바이(白) 범죄조직' 핵심 인물 21명을 최근 기소했다. 11일 중국 관영 CCTV는 선전 검찰이 바이수어청(白所成, Bay Saw Chain)과 바이잉창(白应仓, Bay Yin Chin)을 포함한 총 21명에 대해 전자통신 사기, 살인, 납치, 도박, 마약 제조 등 10여 개 범죄 혐의로 정식 기소했다고 보도했다. 이 조직은 지난 수년간 미얀마 북부 코깡(Kokang)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중국인 피해자를 겨냥한 거대 전자사기와 온라인 도박 사기를 벌였다. 현지 무장세력을 배경으로 범죄지역을 군사적으로 통제하며 사기 조직의 탈출을 막고 강제 노동과 폭력을 행사한 사실도 드러났다. 바이 조직은 2015년부터 코깡 내 41개의 사기 및 도박 거점을 운영했다. 이들 거점은 가짜 투자, 환급 사기, 경찰 사칭, 고객센터 사칭 등 수법으로 중국 본토의 시민을 조직적으로 속였다. 해당 범죄는 중국인 6명이 사망하고, 3만1천여 건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피해 금액은 106억 위안(약 2조 1천억 원)에 달한다. 이와 별도로 불법 도박 수익은 180억 위안(약 3조 6천억 원), 마약 제
[더지엠뉴스] 중국은 미국 정부가 신장위구르족 강제노동 혐의로 중국 기업 3곳을 추가로 수입 금지 명단에 올린 것에 대해 “미국은 중국 기업을 불법 제재하기 위해 허위 서사를 조작하고 유포했다”고 반발했다. 1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단호히 반대하고 강력하게 비난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린 대변인은 "신장의 발전 성과는 모두가 알고 있으며 중국 중앙 정부의 신장 관리 정책은 사람들의 마음에 깊이 새겨졌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미 소위 '강제 노동'과 '대학살'이 완전히 터무니없고 극소수의 반중분자들이 날조한 세기의 거짓임을 설명했다"면서 "그 목적은 신장을 어지럽히고 중국을 더럽히고 중국의 발전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린 대변인은 이어 "거짓을 근거로 미국은 일방적으로 강압적인 법을 시행하고 중국 기업을 관련 제재 목록에 포함하고, 중국 내정을 심각하게 간섭하며 시장의 정상적인 질서를 심각하게 교란하고 있다"면서 "또 국제 무역 규칙과 국제 관계의 기본 준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신장에서 '강제 실업'을 유발하고 인권을 명목으로 광범위한 신장 대중의 생존권, 고용권 및 발전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