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상무부는 네트워크 소매 시장 규모가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한 거래 확대를 넘어 ‘품질 전자상거래’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11일 국무원 신문판공실 브리핑에서 왕펑페이(王鹏飞, Wang Pengfei) 전자상거래정보화사 사장은 공급과 수요 양 측면에서 동시 추진해 소비의 질과 양을 함께 끌어올리겠다고 설명했다. 상무부는 우선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핵심 주체로 삼아 품질 상거래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다. 주요 플랫폼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구어짜이중궈·디지털소비카니발’ 행사에서 품질 상인 지원, 진위 확인 강화, 고객 서비스 개선 등 조치를 도입할 예정이다. 또 7년째 이어온 ‘쌍품 온라인 쇼핑축제’를 올해는 ‘품질 전자상거래’를 주제로 확대해, 현재까지 전국에서 200여 건의 지역별 품질 소비 행사가 진행됐다. 왕펑페이는 앞으로 세 가지 방향에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첫째, 품질 전자상거래 표준 체계를 연구해 상품 추적, 사후 서비스 등 세부 지표를 마련하고 업계 표준화를 강화한다. 둘째, 교육과 훈련을 통해 플랫폼과 상인의 품질 운영 역량을 높인다. 셋째, 플랫폼 규칙을 정비하고 품질 상인 인센티브
[더지엠뉴스] 중국이 미국의 새로운 관세 발표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공식화했다. 10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상생과 호혜라는 본질은 왜곡돼선 안 된다'는 사설을 통해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조치에 대해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날은 10일. 인민일보는 “중국은 무역전쟁을 바라지 않지만, 국민의 합법적 권익이 침해된다면 강력한 조치를 계속 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사설은 미국이 각국에는 관세 부과를 유예하면서도 중국에 대해서만 최대 1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직후에 공개됐다. 중국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행위가 상호 존중 원칙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며, 미국의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양국 관계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인민일보는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통계를 인용해 관세 부담의 대부분이 미국 내 수입업체와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미 양국 간에는 의견 충돌이 있을 수 있지만, 핵심은 평등한 대화와 상호 존중을 통해 해결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인민일보는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발표한 2만8천자 분량의 백서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