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리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가 워싱턴을 찾아 미중 협상 재개에 나선다. 관세와 대두 수입 문제를 둘러싼 최대 갈등이 미국 수도에서 정면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리청강(李成钢, Li Chenggang)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가 워싱턴을 찾아 미국무역대표부와 재무부 고위 인사들을 만나며, 일부 미 기업 관계자와의 접촉도 예정돼 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그는 전날 캐나다 토론토에서 현지 무역위원회 인사들과 먼저 만난 뒤 워싱턴으로 향했다. 미국과의 본격 협상 직전 캐나다를 방문한 배경이 눈길을 끌었다. 이번 협상은 지난 11월 관세 인상을 유예하는 이른바 ‘관세전쟁 휴전’ 합의 이후 양국이 대화를 정례화하는 과정에서 성사됐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미국 수도에서 열리는 첫 협상이기도 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 축소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보다 4배 확대를 요구하면서 이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행정명령 서명 뒤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이 신속히 대두 주문을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대두나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정을 직접 타결했다고 밝혔다. 정상 간 직접 협상을 강조하며, 본인의 리더십을 부각했다. 16일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는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훌륭한 협정이 인도네시아와 막 체결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들의 존경받는 대통령과 내가 직접 협상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발표는 지난 4월 트럼프가 인도네시아에 32%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한 달 만에 이뤄졌다. 당시 트럼프는 '미국 우선' 원칙을 앞세우며 동남아 국가들을 겨냥한 상호관세 정책을 내놓았고, 인도네시아도 그 대상 중 하나였다. 그로부터 불과 몇 주 만에 직접 협상을 통해 거래가 타결됐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반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는 “협상은 지도자 간에 직접 이뤄질 때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라며 이번 결과가 본인의 스타일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했다. 합의는 올해 초 베트남과의 무역 합의에 이어 두 번째 아시아 국가 사례로 기록됐다. 당시 트럼프는 베트남과도 비슷한 형태의 양자 무역 조정을 성사시켰다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