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대표적 소비 성수기인 중추절을 맞았지만, 올해 백주 시장은 기대와 달리 활기를 띠지 못했다. 평소라면 한 달 전부터 시작되던 수요 증가가 이번에는 절전 2주 전에서야 움직임을 보였고, 기간도 짧아졌다. 29일 란징신원에 따르면, 유명 백주의 가격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고, 재래식 도매 시장은 손님이 급감했다. 허난성 정저우의 바이룽 도매 시장은 변화의 상징처럼 보였다. 과거 9월이면 고급 백주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마오타이와 우량예 등 주요 브랜드까지 가격이 꺾였다. 마오타이의 경우 한때 1,830위안(약 34만 원)에서 1,800위안(약 33만 5천 원)으로 내려앉았고, 중급 브랜드 지앤난춘 역시 입지가 약화됐다. 분석가들은 성수기 반등에 실패하면 절후 더 큰 하락 압력이 온다고 경고한다. 현장의 도매상들은 “예전의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일부 브랜드는 상반기 과잉 출고로 재고가 쌓였고, 절전 8~9월 재고 투매가 작년보다 40% 가까이 늘어나 가격 혼란을 가중시켰다. 소비자들은 가격 변화를 기다리며 구매를 미루고, 도매상들은 보조금 정책에도 선뜻 물량을 확보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대표 백주(白酒) 브랜드 마오타이(茅台)가 최근 수요 둔화와 가격 하락 여파로 유통업체들의 큰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17일 중국 주요 플랫폼과 언론에 따르면, 중고 마오타이 회수 가격이 지난 한 달 새 급격히 떨어지면서 일부 회수상은 “벤츠 한 대 값에 해당하는 손실을 입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2023년산 마오타이 53도 제품의 회수가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3,200위안 수준을 유지했지만, 최근 들어 2,600위안 선까지 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수요 감소와 함께 일부 대형 유통업체들의 재고 처분이 맞물리며, 시장 전반의 가격 붕괴를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마오타이는 과거 ‘가격은 절대 떨어지지 않는 황금주’로 불리며 투자 목적의 구매가 활발했으나, 최근 들어 브랜드 가치에 대한 회의론과 소비 트렌드 변화가 겹치면서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마오타이는 이미 중산층의 선택지가 아니다”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고가 백주에 대한 피로감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편, 마오타이 본사인 구이저우마오타이(贵州茅台, Kweichow Moutai) 주가는 최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