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주요 부동산 기업들의 채무 재조정이 가시적인 진전에 접어들고 있다. 경색된 자금 흐름을 뚫기 위해 현금 상환, 자산 전환, 주식 배분 등 다양한 방식을 조합한 다층적 구조조정이 속속 승인되면서, 업계는 채무 해소의 실질적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중국 증권보에 따르면 ST진커(金科), 시대중국(时代中国), 룽광(龙光)그룹 등은 최근 일제히 재조정 진척 상황을 발표했다. 특히 ST진커는 지난 10일 기준 재조정 투자금 26억2,800만 위안(약 5,050억 원)을 전액 수령하고, 자회사 지분 이관 및 주식 전환 등 실무 이행 단계에 들어섰다. 시대중국 역시 29억500만 달러(약 4조 원) 규모의 채권자 투표에서 압도적 동의를 확보했다. 오는 30일 홍콩 법원이 최종 인가 여부를 심사할 예정이다. 룽광그룹은 21건의 국내 채권과 자산지원증권 관련 재조정안을 모두 통과시키고, 채무 상환 조건에 따라 자산 전환, 채권 현금 회수, 주식 교환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중지연(中指研究院)은 “출현 위험 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실행 단계에 진입했다”며 “중대형 기업이 구조조정의 중심에 서 있으며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건설기업과 지방 국유투자회사가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공급자로 부상했지만, 이들이 주도한 아파트 단지는 판매 부진에 직면하고 있다. 중앙정부 지원과 자금력을 바탕으로 대거 토지를 매입했지만, 정작 분양 시장에서 대중의 외면을 받고 있다. 27일 중국 경제전문 매체 제일재경(第一财经)에 따르면, 광저우(广州)를 비롯한 대도시에서 중건(中建)계열, 철도건설계열, 지방 도시투자회사(城投) 등이 추진한 신규 주택의 다수가 ‘한 자릿수’ 판매율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건오국(中建五局) 계열인 중건신허(中建信和)는 2023년 광저우 하이주(海珠)구의 택지를 약 19억 위안(약 3,900억 원)에 매입해 중건톈위(中建天钰)라는 이름으로 개발을 시작했다. 올해 2월 148세대 규모로 분양을 시작했으나, 4월 말까지 계약된 건수는 고작 4세대였다. 이에 회사 측은 즉각 분양가를 100만 위안 이상 낮췄다. 89㎡ 주택의 가격은 498만 위안에서 398만 위안(약 8억 원)까지 인하됐으나, 5월 말까지도 총계약 건수는 9세대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이 지역이 중심지임에도 도로 소음, 노후된 인근 단지, 평범한 교육·상업 인프라 등으로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80조 원 규모의 자금을 국유은행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26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이 6대 국유은행 중 농업은행, 교통은행, 우정저축은행 등 3곳에 4천억 위안(약 80조 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있는 대규모 금융 지원 조치다. 이번 자금 투입은 특별 국채 발행을 통해 조달되며, 각 은행별 지원 규모는 아직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국유은행의 부실채권 문제를 완화하고, 지속된 경기 둔화 속에서 금융시장의 안정을 꾀할 계획이다. 최근 중국 경제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금리 인하로 인한 은행 수익성 악화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당국은 1조 위안(약 200조 원) 규모의 추가 자금 투입도 검토 중이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중국 정부가 작년 말 3조 위안(약 592조 원) 상당의 특별 국채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중국의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다음 달 4일 개막을 앞두고 있어, 경기 부양과 관련된 추가 정책이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