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독자 개발한 6000m급 원격조종심해탐사기 하이친(Haiqin)이 남중국해에서 심해 임무를 마쳤다. 장시간 운용 시험에서 4140m 수심까지 내려가 표식 설치, 영상 촬영, 정밀 호버링 등 성능을 입증했다. 25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상하이자오퉁대(上海交通大学,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가 설계·제작한 하이친은 고화질 카메라, 로봇 팔, 소나 및 각종 센서를 탑재했다. 이번 실험에서 자동 방향 제어와 정밀 위치 유지 기능도 구현했다. 탐사 과정은 중산다쉐(中山大学, Zhong Shan Da Xue) 연구선에서 진행됐다. 연구원들은 장비를 해저로 투입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했으며, 임무를 마친 후 장비를 안전하게 회수했다. 연구팀은 하이친이 자국 심해 연구 역량을 크게 확장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보하이만에서 해상 중질유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1억톤 규모의 켄리 10-2 유전이 정식 가동에 들어갔다. 22일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에 따르면, 텐진에서 약 245km 떨어진 보하이만 남부 해역에 위치한 켄리 10-2 유전이 이날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 해당 유전은 수심 약 20m의 얕은 해역에 있으며, 보하이만 분지의 함몰지대에서 발견된 최초의 1억톤급 층상지질 유전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국이 처음으로 해상에서 ‘가지형 분포 중질유’를 개발하는 사례로 꼽힌다. 유전 내 석유와 가스는 나뭇가지처럼 얽힌 곡선형 사층구조에 흩어져 분포돼 있어, 기존 개발 방식으로는 채굴이 매우 까다롭다. 유체 점성도 다양하고 지질 조건도 복잡해 기술적 난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이번 가동으로 중국 해양 중질유 개발은 새로운 기술적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켄리 10-2는 향후 유사 구조 유전 개발에 기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올해 보하이유전의 4천만톤 생산 목표 달성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는 해양경제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설정하며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해양관광, 수산업, 운송, 석유